목차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논문의 구성
제 2 장 인터넷 방송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인터넷 방송의 개념
1. 인터넷 방송의 정의
2. 인터넷 방송의 특징
제2절 인터넷 방송의 현황
1. 해외 인터넷 방송의 현황
2.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황
제3절 인터넷 방송의 수익 구조 분석
1. 수익 모델 분석
2. 인터넷 방송 수익원 분석 및 문제점
3. 유료화와 관한 인터넷 방송사 실사조사 분석
제3장 인터넷 방송 수익구조의 발전방향
제1절 연구결과
제2절 연구에 대한 토의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의의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참고문헌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논문의 구성
제 2 장 인터넷 방송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인터넷 방송의 개념
1. 인터넷 방송의 정의
2. 인터넷 방송의 특징
제2절 인터넷 방송의 현황
1. 해외 인터넷 방송의 현황
2. 국내 인터넷 방송의 현황
제3절 인터넷 방송의 수익 구조 분석
1. 수익 모델 분석
2. 인터넷 방송 수익원 분석 및 문제점
3. 유료화와 관한 인터넷 방송사 실사조사 분석
제3장 인터넷 방송 수익구조의 발전방향
제1절 연구결과
제2절 연구에 대한 토의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의의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터넷 방송의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수익다각화의 모델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앞에서의 분석한 흐름에 따르면 컨텐츠를 중심으로 한 다중매체 전략이 수익창출에 가장 유리하며 극대화된 수익을 보장해 줄 것이다. 인터넷 방송 산업은 결국 컨텐츠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인 만큼 질 좋은 컨텐츠의 안정적 확보는 결국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해 주는 기반인 것이 될 것이다.
컨텐츠 구분
인터넷 방송사 수
장 편 영 화
1
단 편 영 화
1
인터넷 전용 영화
2
애니메이션
3
뮤직비디오/음악뉴스
12
광 고
5
다큐멘터리
5
드 라 마
7
뉴스/경제정보,산업동향
7
쇼,엔터테인먼트/연예정보
18
교육 컨텐츠
15
성 인 정 보
3
여성정보/요리
3
전자상거래
6
기 타
9
<표 3-5> 인터넷 방송사들의 주력 컨텐츠
자료 :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 현황과 시사점, 김병준, 정보통신 정책 연구원 (2001.2.19)
또한 위의 연구결과는 향후 몇년동안 수익구조의 초점이 컨텐츠의 유료화에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이후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컨텐츠의 확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앞서 본 인터넷방송사들이 제공하고 있는 주력 컨텐츠들로는 쇼나 엔터테인먼트/연예정보가 역시 주를 이루고 있고, 교육컨텐츠와 음악컨텐츠가 뒤를 잇고 있다. 각 인터넷 방송사들의 주력 컨텐츠 현황이 위의 <표3-5>에 나타나 있다. 위 현황은 기존의 단순한 엔테테인먼트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컨텐츠가 부족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와 관련된 컨텐츠들이 확실한 수익을 보장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런 컨텐츠의 편중화는 결국 인터넷 방송사의 수익구조를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주류의 컨텐츠 분야의 개발이나 두 분야 이상의 컨텐츠의 결합 등의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가 나타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아울러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컨텐츠의 확보방법에는 자체, 기존 컨텐츠를 가공하여 차별화된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방법, 외부로부터 컨텐츠를 사오는 방법, 계약을 통해 컨텐츠를 협찬 혹은 대여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다양한 확보방법들은 향후 수익구조에 있어서 컨텐츠를 통한 새로운 수익구조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의의
지금까지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와 관련한 논의에서 인터넷방송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파악하고, 우리 나라의 대표적 인터넷방송사 38개사에 대한 실사 및 문헌 연구를 통해 현실에서 이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다른 연구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는 논의들을 전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로 현재 시점에서 인터넷 방송사의 수익구조에서 유료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앞으로의 주요 수익원으로써 자리잡을 것을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부가적인 인터넷방송국들의 컨텐츠 개발의 방법고려와 기술, 정책 등의 필요성을 감지할 수 있었다.
초기에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던 인터넷 관련 사업들에 대한 기대는 퇴색하고, 거품의 해소와 수익모델에 대한 냉정한 평가과정을 거쳐 현재는 오히려 이들에 대한 지나치게 비관적인 전망이 압도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기대와 실망이 너무 이른 것이 아니었나를 스스로 자문해야할 것이다. 새로운 사업들은 이제서야 사업으로서의 뿌리를 내리고 시장에 침투하여 이윤을 내려하고 있다.
향후 2∼3년간 이중 어느 정도의 인터넷 방송사가 살아남을지는 지상파방송국과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을 위시한 타매체의 컨텐츠에 비해 얼마만큼 차별화되고 경쟁력있는 컨텐츠를 확보해 이용자들의 틈새시장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본 연구가 대표성 있는 기업들에 대한 조사를 담고 있지만, 이는 인터넷방송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 아닌 현재의 단면을 묘사한 것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시장의 평가가 달라진다 해도 '디지털 컨텐츠의 인터넷 전송'이 내포한 혁명적인 의미는 조금도 퇴색하지 않는다.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새로운 가치가 매겨지고 있으며, 새로운 매체에 대한 새로운 해법들도 강구되고 있다. 진실로 인터넷방송에 대한 논의는 지금부터라 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제작-배급-유통에 이르는 고전적인 과정이 새롭게 재편될 시점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통신-방송간 융합과 더불어 점차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인터넷을 통한 동시적 배급이 주는 의미가 시장에서 확인될 것이다. 지금은 그러한 실태가 모두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방송위원회 정책연구-방송과 통신 용합에 적합한 유사방송 서비스의 정책수립 연구, 이영음 2000.3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인터넷 방송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초성운, 한은영, 2001
웹 pd 김용섭의 알기쉬운 인터넷 강의 , 인터넷 방송, 현암사, 김용섭
국내현황에 맞는 인터넷방송 구축과 운영 및 21C 인터넷방송 기업의 생존전략 2001.1.28
월간 방송 21-인터넷 유료화는 기대 이상의 정보 주어야 성공한다. 김재언 2001.11
-지상파방송의 인터넷 컨텐츠 유료화 현황과 전망- 신진상 한국 전산원 <2000한국인터넷백서>(정보시대.2000)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 현황과 시사점, 정보통신 정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2
인터넷 방송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영,(한국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정보 제 45-1호
인터넷방송의 현황 및 특성에 따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함현. 2001
인터넷방송의 효율적 운영과 편성전략에 관한 연구- TV3사의 인터넷방송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김규진.2000
인터넷방송 웹진(http://i.kebi.lycos.co.kr/∼jizi/real1.htm)
한국인터넷방송협회(http//www.kwn.or.kr),IWA세계인터넷방송협회(http://www.webcasters.org/)
한국 인터넷 정보센터(http://www.nic.or.kr/index.html) -인터넷 통계
컨텐츠 구분
인터넷 방송사 수
장 편 영 화
1
단 편 영 화
1
인터넷 전용 영화
2
애니메이션
3
뮤직비디오/음악뉴스
12
광 고
5
다큐멘터리
5
드 라 마
7
뉴스/경제정보,산업동향
7
쇼,엔터테인먼트/연예정보
18
교육 컨텐츠
15
성 인 정 보
3
여성정보/요리
3
전자상거래
6
기 타
9
<표 3-5> 인터넷 방송사들의 주력 컨텐츠
자료 :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 현황과 시사점, 김병준, 정보통신 정책 연구원 (2001.2.19)
또한 위의 연구결과는 향후 몇년동안 수익구조의 초점이 컨텐츠의 유료화에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이후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컨텐츠의 확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앞서 본 인터넷방송사들이 제공하고 있는 주력 컨텐츠들로는 쇼나 엔터테인먼트/연예정보가 역시 주를 이루고 있고, 교육컨텐츠와 음악컨텐츠가 뒤를 잇고 있다. 각 인터넷 방송사들의 주력 컨텐츠 현황이 위의 <표3-5>에 나타나 있다. 위 현황은 기존의 단순한 엔테테인먼트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컨텐츠가 부족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와 관련된 컨텐츠들이 확실한 수익을 보장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런 컨텐츠의 편중화는 결국 인터넷 방송사의 수익구조를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주류의 컨텐츠 분야의 개발이나 두 분야 이상의 컨텐츠의 결합 등의 새로운 형태의 컨텐츠가 나타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아울러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컨텐츠의 확보방법에는 자체, 기존 컨텐츠를 가공하여 차별화된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방법, 외부로부터 컨텐츠를 사오는 방법, 계약을 통해 컨텐츠를 협찬 혹은 대여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다양한 확보방법들은 향후 수익구조에 있어서 컨텐츠를 통한 새로운 수익구조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제 4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의의
지금까지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와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와 관련한 논의에서 인터넷방송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파악하고, 우리 나라의 대표적 인터넷방송사 38개사에 대한 실사 및 문헌 연구를 통해 현실에서 이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다른 연구의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는 논의들을 전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로 현재 시점에서 인터넷 방송사의 수익구조에서 유료컨텐츠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앞으로의 주요 수익원으로써 자리잡을 것을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부가적인 인터넷방송국들의 컨텐츠 개발의 방법고려와 기술, 정책 등의 필요성을 감지할 수 있었다.
초기에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던 인터넷 관련 사업들에 대한 기대는 퇴색하고, 거품의 해소와 수익모델에 대한 냉정한 평가과정을 거쳐 현재는 오히려 이들에 대한 지나치게 비관적인 전망이 압도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기대와 실망이 너무 이른 것이 아니었나를 스스로 자문해야할 것이다. 새로운 사업들은 이제서야 사업으로서의 뿌리를 내리고 시장에 침투하여 이윤을 내려하고 있다.
향후 2∼3년간 이중 어느 정도의 인터넷 방송사가 살아남을지는 지상파방송국과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을 위시한 타매체의 컨텐츠에 비해 얼마만큼 차별화되고 경쟁력있는 컨텐츠를 확보해 이용자들의 틈새시장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본 연구가 대표성 있는 기업들에 대한 조사를 담고 있지만, 이는 인터넷방송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 아닌 현재의 단면을 묘사한 것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시장의 평가가 달라진다 해도 '디지털 컨텐츠의 인터넷 전송'이 내포한 혁명적인 의미는 조금도 퇴색하지 않는다.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새로운 가치가 매겨지고 있으며, 새로운 매체에 대한 새로운 해법들도 강구되고 있다. 진실로 인터넷방송에 대한 논의는 지금부터라 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제작-배급-유통에 이르는 고전적인 과정이 새롭게 재편될 시점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통신-방송간 융합과 더불어 점차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인터넷을 통한 동시적 배급이 주는 의미가 시장에서 확인될 것이다. 지금은 그러한 실태가 모두 드러나지 않았으므로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방송위원회 정책연구-방송과 통신 용합에 적합한 유사방송 서비스의 정책수립 연구, 이영음 2000.3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인터넷 방송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초성운, 한은영, 2001
웹 pd 김용섭의 알기쉬운 인터넷 강의 , 인터넷 방송, 현암사, 김용섭
국내현황에 맞는 인터넷방송 구축과 운영 및 21C 인터넷방송 기업의 생존전략 2001.1.28
월간 방송 21-인터넷 유료화는 기대 이상의 정보 주어야 성공한다. 김재언 2001.11
-지상파방송의 인터넷 컨텐츠 유료화 현황과 전망- 신진상 한국 전산원 <2000한국인터넷백서>(정보시대.2000)
인터넷방송의 수익구조 현황과 시사점, 정보통신 정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2
인터넷 방송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영,(한국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정보 제 45-1호
인터넷방송의 현황 및 특성에 따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함현. 2001
인터넷방송의 효율적 운영과 편성전략에 관한 연구- TV3사의 인터넷방송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김규진.2000
인터넷방송 웹진(http://i.kebi.lycos.co.kr/∼jizi/real1.htm)
한국인터넷방송협회(http//www.kwn.or.kr),IWA세계인터넷방송협회(http://www.webcasters.org/)
한국 인터넷 정보센터(http://www.nic.or.kr/index.html) -인터넷 통계
추천자료
인터넷- 방송국 및 규제현황
인터넷 방송 산업에 대한 산업조직론적 접근
방송과 IT의 융합 - [DMB, 데이터방송, 인터넷 방송, IPTV, 미디어 등 정리)
인터넷 방송과 IPTV의 정의 및 향후 전망
[인터넷비즈니스]비즈니스 수익모델로서의 '한게임'의 현재와 미래
인터넷활용 국어교육자료, 수학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인터넷활용 사회교육자료(교수학습자...
[경쟁구조, 경쟁구조와 시장, 경쟁구조와 방송산업, 경쟁구조와 소프트인프라, 경쟁구조와 점...
[방송구조, 방송구조와 방송통신융합, 방송구조와 공영방송제도, 방송구조와 퍼블릭액세스, ...
[방송소유구조, 방송사]방송소유구조와 방송사, 지상파방송, 방송소유구조와 지역방송, 공익...
[이자율기간구조, 이자율기간구조와 기간구조모형, 이자율기간구조와 무위험채권, 국고채]이...
[재원구조, 재원구조와 공영방송, 재원구조와 지상파방송, 재원구조와 교육방송(EBS), 재원구...
이비즈니스(E비즈니스, E-BIZ, 인터넷비즈니스) 개념, 성격, 이비즈니스(E비즈니스, E-BIZ, ...
[방송유통][공정거래질서확립]방송유통의 종류, 방송유통의 2차유통, 방송유통의 공정거래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