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다비드의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반항
1. 다비드의 신고전주의
2. 낭만주의의 반항
제 2장 앵그르 이후와 사실주의의 대두
1. 앵그르와 그 이후의 아카데미
2. 사실주의의 대두
3. 바비종 화파와 자연
제3장 마네와 인상주의자들
1. 마네와 이른바 `모던`한 화풍
2. 인상주의자들과 색의 자유
3 쇠라와 신 인상주의
제 3장 후기 인상주의
1.세잔느
2. 반 고흐
맺음말 인상주의 회화의 본질과 그 한계
1. 다비드의 신고전주의
2. 낭만주의의 반항
제 2장 앵그르 이후와 사실주의의 대두
1. 앵그르와 그 이후의 아카데미
2. 사실주의의 대두
3. 바비종 화파와 자연
제3장 마네와 인상주의자들
1. 마네와 이른바 `모던`한 화풍
2. 인상주의자들과 색의 자유
3 쇠라와 신 인상주의
제 3장 후기 인상주의
1.세잔느
2. 반 고흐
맺음말 인상주의 회화의 본질과 그 한계
본문내용
속에 거주하고 있다라는 점을 알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거친 것과 부드러운 것은 우리의 몸 자체가 그것을 느끼지만 그것은 어떠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일 뿐이다. 따라서 감각은 우리들 밖에 있는 대상의 본질이 아니라, 우리가 그러한 대상들과 접촉함에 의해서 촉발된 내적인 반응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외부 세계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얻기란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실증주의의 콩트는 경험과학의 방법에 의해 적어도 원리상 검증될 수 없는 어떠한 진술도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 칸트가 회의적이고 과학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반면 콩트는 과학 중요시하였으며 형이상학 전체를 거부한다. 19세기에 접어들자 이러한 사고 방식은 전 사회에 걸쳐 확대되었고 과학은 사회의 중요한 가치로 자리잡는다.
이처럼 우리의 판단을 확실한 증거에 입각시키는 경험 과학적 태도는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안정에 대한 모든 전통적인 생각들을 의심에 빠뜨릴 수 있는 일이었다. 어떤 의미로 볼 때 인상주의자들은 이와 같이 고전 미술의 전통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였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이치에 맞는 기법이나 이론을 찾아간 과정을 겪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기존의 지식에 대한 실증주의적 혁명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다윈의 종의 기원 또한 그렇고 에밀졸라 같은 문학 분야에서도 이런 과정을 겪는다.
인상주의는 일종의 사실주의였고 사실주의는 자연 혹은 세계에 대한 객관적 과학적 태도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라 할 때 인상주의 그것은 감각은 실재의 기본을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가 있으며, 그 근저에서 작용하고 잇는 경험적 실증주의의 정신 ,곧 객관적 과학적 정신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적으로 말할 수 있다.
2. 본질과 그 기본 원리들
인상주의 화가들이 활동하기 이전에는 그 어떤 화가도 그들만큼 생생하게 살아 있는 빛으로 가득 찬 자연을 그려내지 못했다. 본질적으로 순간적인 것을 재현하기 위해서 모네와 같은 인상주의 화가들은 하루 낮 동안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한 장소의 여러 다양한 장면들을 추적한 연작들을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한마디로 인상주의 회화의 본질은 자연과 빛과 순간과 인상과 기록이라는 말들로 압축되어 이해될 수가 있다.
따라서 인상주의는 불가피하게 자유롭고 순간적인 즉석화의 기법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들의 위대한 독창성은 이 즉석화의 기법에 있다. 그들은 아스라이 사라져 가는 빛의 한 장면을 포착하려 하였으며 그것을 전부로 삼으려고 하였다. 이러한 사실에서 주목할 것은 화가는 냉정한 방관자가 된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화가에게 보이는 모든 요소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데 동등하게 중요했다.
반면 전통적 화가들에겐 빛을 차단하여 그림자를 만들어 놓고 있는 대상의 입체적 형태를 실재로 간주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통적 화가에게 빛은 그림자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실체는 눈에서 느끼는 감각이었다. 따라서 인상주의자들의 물감은 명암이나 밝고 어두움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모두가 빛을 재현하고 있었다. 아무리 어두운 그림자의 색조라 할지라도 역시 광선의 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캔버스의 구석구석은 빛의 표현에 있어서 그 중요성과 무게가 동일했으며 캔버스의 모든 부분은 동일한 택스처, 조심스럽게 균일화된 텍스처로서 채색되어야한 했다.
이렇게 등가화된 화면은 브러쉬의 사용법을 결정지었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작품마다 단일한 브러쉬 스트로크를 사용했다 또한 그것은 작품 전체적으로 중립적인 것을 채택했다. 또한 붓이 형태를 따라 그리는 것이 아니라 단일한 브러쉬 패턴을 반복하여 형태를 만들어 냈다. 그리하여 모네는 물감을 발랐으며 피사로는 색종이를 뿌렸고 쇠라는 물방울 점을 찍었다. 따라서 이러한 브러쉬 스트로크를 양식화하여 똑같은 식으로 그림 속의 사물을 그림으로써 어떠한 손이나 손놀림의 매너리즘 때문에 자연물에 대해 화가가 가지는 인상의 객관적 명료성이 흐트러지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3. 의의와 한계
과거의 그림에 비해 인상주의가 성취한 것 중에 다섯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① 르네상스이래 고전주의적 전통의 아카데미 회화에서 주제의 의미를 상대적으로 감소 시 켰다.--- 물론 인상주의자들의 그림에도 주제적 요소가 들어 있었지만 그것은 전통적인 의미로서의 주제가 아니라 빛을 단순히 반사하는 대상이었을 뿐이다.
②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반사하는 빛의 색을 기록하려 했던 만큼 인상주의 자 들은 기록하고 칠해가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원근법과 고유색의 원리가 파기되는 중에 전통적으로 그렇게 중요시되었던 드로잉이 의미가 없게 된 채 회화에 있어서 제일 중요 한 것은 색이 되었다.
③ 인상주의 자들에게 있어 원칙적으로 선은 사라 졌다. 그리하여 색과 색면으로만 그림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입장에서 인상주의자들은 그들의 그림을 평면적으로 구성하였다.
④ 이렇게 평면화 된 화면은 자유로운 구성이라는 개념을 인도한다.
⑤ 인상주의자의 관심의 중심과 핵심이 자연과 사물의 아름다운 빛이었으므로 무리하지 않 고 그들의 적합한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인상주의 그림은 예술로서의 결함과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인상주의 그림은 입체감을 결핍하고 있었으며 정신성이 없었다. 그리하여 인상주의는 감각적 유희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래서 후기 인상주의에 오면서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세잔느 같은 사람은 인상주의자들의 그림에 결핍되고 있는 입체감이나 실체성을 다시 회복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고흐는 정신적 내용을 그림에 담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삼차원 공간을 구현하고 잇는 르네상스 회화와 그 같은 공간적 깊이를 상실하고 있는 인상주의 회화간의 차이는 과학적 정신으로서의 합리주의 대 경험주의, 이성 대 감각, 그리고 방법으로서의 원근법 대 광학론 간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과 실제간에 벌어진 오차 때문에 인상주의는 입체성을 상실해 버렸지만 바로 그 점 때문에 인상주의 화가들은 예술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현대 미술로 인도되는 많은 기법상의 특징을 성취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실증주의의 콩트는 경험과학의 방법에 의해 적어도 원리상 검증될 수 없는 어떠한 진술도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 칸트가 회의적이고 과학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반면 콩트는 과학 중요시하였으며 형이상학 전체를 거부한다. 19세기에 접어들자 이러한 사고 방식은 전 사회에 걸쳐 확대되었고 과학은 사회의 중요한 가치로 자리잡는다.
이처럼 우리의 판단을 확실한 증거에 입각시키는 경험 과학적 태도는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안정에 대한 모든 전통적인 생각들을 의심에 빠뜨릴 수 있는 일이었다. 어떤 의미로 볼 때 인상주의자들은 이와 같이 고전 미술의 전통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였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이치에 맞는 기법이나 이론을 찾아간 과정을 겪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기존의 지식에 대한 실증주의적 혁명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다윈의 종의 기원 또한 그렇고 에밀졸라 같은 문학 분야에서도 이런 과정을 겪는다.
인상주의는 일종의 사실주의였고 사실주의는 자연 혹은 세계에 대한 객관적 과학적 태도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라 할 때 인상주의 그것은 감각은 실재의 기본을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가 있으며, 그 근저에서 작용하고 잇는 경험적 실증주의의 정신 ,곧 객관적 과학적 정신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적으로 말할 수 있다.
2. 본질과 그 기본 원리들
인상주의 화가들이 활동하기 이전에는 그 어떤 화가도 그들만큼 생생하게 살아 있는 빛으로 가득 찬 자연을 그려내지 못했다. 본질적으로 순간적인 것을 재현하기 위해서 모네와 같은 인상주의 화가들은 하루 낮 동안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한 장소의 여러 다양한 장면들을 추적한 연작들을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한마디로 인상주의 회화의 본질은 자연과 빛과 순간과 인상과 기록이라는 말들로 압축되어 이해될 수가 있다.
따라서 인상주의는 불가피하게 자유롭고 순간적인 즉석화의 기법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들의 위대한 독창성은 이 즉석화의 기법에 있다. 그들은 아스라이 사라져 가는 빛의 한 장면을 포착하려 하였으며 그것을 전부로 삼으려고 하였다. 이러한 사실에서 주목할 것은 화가는 냉정한 방관자가 된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화가에게 보이는 모든 요소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데 동등하게 중요했다.
반면 전통적 화가들에겐 빛을 차단하여 그림자를 만들어 놓고 있는 대상의 입체적 형태를 실재로 간주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통적 화가에게 빛은 그림자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실체는 눈에서 느끼는 감각이었다. 따라서 인상주의자들의 물감은 명암이나 밝고 어두움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모두가 빛을 재현하고 있었다. 아무리 어두운 그림자의 색조라 할지라도 역시 광선의 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캔버스의 구석구석은 빛의 표현에 있어서 그 중요성과 무게가 동일했으며 캔버스의 모든 부분은 동일한 택스처, 조심스럽게 균일화된 텍스처로서 채색되어야한 했다.
이렇게 등가화된 화면은 브러쉬의 사용법을 결정지었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작품마다 단일한 브러쉬 스트로크를 사용했다 또한 그것은 작품 전체적으로 중립적인 것을 채택했다. 또한 붓이 형태를 따라 그리는 것이 아니라 단일한 브러쉬 패턴을 반복하여 형태를 만들어 냈다. 그리하여 모네는 물감을 발랐으며 피사로는 색종이를 뿌렸고 쇠라는 물방울 점을 찍었다. 따라서 이러한 브러쉬 스트로크를 양식화하여 똑같은 식으로 그림 속의 사물을 그림으로써 어떠한 손이나 손놀림의 매너리즘 때문에 자연물에 대해 화가가 가지는 인상의 객관적 명료성이 흐트러지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3. 의의와 한계
과거의 그림에 비해 인상주의가 성취한 것 중에 다섯가지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① 르네상스이래 고전주의적 전통의 아카데미 회화에서 주제의 의미를 상대적으로 감소 시 켰다.--- 물론 인상주의자들의 그림에도 주제적 요소가 들어 있었지만 그것은 전통적인 의미로서의 주제가 아니라 빛을 단순히 반사하는 대상이었을 뿐이다.
② 대상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반사하는 빛의 색을 기록하려 했던 만큼 인상주의 자 들은 기록하고 칠해가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원근법과 고유색의 원리가 파기되는 중에 전통적으로 그렇게 중요시되었던 드로잉이 의미가 없게 된 채 회화에 있어서 제일 중요 한 것은 색이 되었다.
③ 인상주의 자들에게 있어 원칙적으로 선은 사라 졌다. 그리하여 색과 색면으로만 그림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입장에서 인상주의자들은 그들의 그림을 평면적으로 구성하였다.
④ 이렇게 평면화 된 화면은 자유로운 구성이라는 개념을 인도한다.
⑤ 인상주의자의 관심의 중심과 핵심이 자연과 사물의 아름다운 빛이었으므로 무리하지 않 고 그들의 적합한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인상주의 그림은 예술로서의 결함과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인상주의 그림은 입체감을 결핍하고 있었으며 정신성이 없었다. 그리하여 인상주의는 감각적 유희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래서 후기 인상주의에 오면서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세잔느 같은 사람은 인상주의자들의 그림에 결핍되고 있는 입체감이나 실체성을 다시 회복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고흐는 정신적 내용을 그림에 담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삼차원 공간을 구현하고 잇는 르네상스 회화와 그 같은 공간적 깊이를 상실하고 있는 인상주의 회화간의 차이는 과학적 정신으로서의 합리주의 대 경험주의, 이성 대 감각, 그리고 방법으로서의 원근법 대 광학론 간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과 실제간에 벌어진 오차 때문에 인상주의는 입체성을 상실해 버렸지만 바로 그 점 때문에 인상주의 화가들은 예술적으로 성공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현대 미술로 인도되는 많은 기법상의 특징을 성취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