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교육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서양 교육사>
1.고대 교육
2.중세교육(서로마 멸망 ~ 동로마 멸망)
3.인문주의 교육(15C ~ 16C)
4.종교 개혁 교육
5.실학주의 교육
6.계몽주의 교육
7.신인문주의(18세기 말 ~ 19세기)
8.신교육 운동(19세기 ~ 20세기초)

본문내용

다.
2) 루소(print 참조)
4. 범애주의
1) 루소의 사상 + 기독교의 사상 -> 인류의 사상
2) 직관 교수, 체육의 중요성, 인류애, 훈육 등을 강조
3) 바제도우 -> 범애학교의 창시자. 초등 독본, 초등 교본(18세기의 세계도회)
4) 짤즈만 -> 동노 조합 결성
신인문주의(18세기 말 ~ 19세기)
1. 종류
1) 심리적 계발주의(신인문주의의 대표)
① 아동의 내면적, 심리적 특성을 중요시함
②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2) 국가주의
① +- 자연적 국가주의 : 스파르타(교육 -> 군인 -> 국가부강)
+- 문화적 국가주의 : 19세기 독일(교육 -> 문화 -> 국가부강)
② 피히테, Krieck, 슐라이어 마허
[독일국민에게 고함]
나폴레옹 전쟁에서 패한 원인을 이기심과 도덕성의 상실로 보고, 교육을 통해서 독일국민 의 단결과 도덕성의 회복성을 강조하는 연설문을 모은 책 -> 독일 국가의 부강 주장
3) 과학적 실리주의
① 과학적 지식과 실제적, 경험적 지식 중시
② 스펜서
㉠ 교육목적 - 성인생활의 완전한 준비과정
㉡ 생리학(생물학) - 성인 생활에 필요
2. 사상가(print 참조)
신교육 운동(19세기 ~ 20세기초)
1. 새로운 학교의 출현
1) 세실, 레디, 도모랑 -> 신학교
2) Litz -> 전원학교
3) 죤 듀이의 실험학교
4) 타고르 -> 평화의 집
5) 몬테소리 -> 아동의 집
6) Neil -> Summer Hill School
7) 반더 포겔과 보이스카웃 운동
2. 사상가
1) Condorcet -> "공교육 개혁한" ☆☆☆☆☆
① 공교육은 국가가 담당해야할 당삼한 의무이다.
② 공교육은 국민들에게 교육 기회 균등을 제공해 줘야 한다.
(의무교육, 무상교육, 평생교육, 계속교육, 학교의 균등한 분포)
③ 공교육은 진리로운 지식만을 전달해야 한다.
-> 지적인 교육은 학교가 담당, 정의적인 교육은 가정이 담당
④ 공교육은 모든 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정치/종교).
⑤ 공교육은 교육의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가르치고 배울 자유).
* 우리나라 헌법 31조
① 교육 기회 균등
② 의무 교육
③ 무상 교육
④ 교육의 자주성, 정치적 독립성, 대학의 자율성
⑤ 평생교육
⑥ 교육에 관한 법률 규정
헌법 -> 교육법(법률) -> 교육법 시행령(명령) -> 조례, 규칙
2) 죤 듀이
Gotha 교육령(1642)
메사추세츠 교육령(1642)
① 고타의 영주 Ernst 경이 자신의 영지에 있는 학교운영에 관한 규칙을 발표
② 시행령적 의미
③ 중앙 집권적
④ 루터, 코메니우스 사상에 영향받음
①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청교도 이민단이 학교의 설립을 요구한 것.
② 헌법적 의미
③ 지방 분권적
④ 칼빈의 영향 받음
* 공통점 : 아동의 취학 의무 규정
※ 산업혁명 시대의 빈민학교(산업혁명시대때 공장 노동자였던 어린이와 부녀자들의 아이들을 모아서 교육시킨 곳.)
① Raikes "일요학교"
② Bell과 Lancaster "조교학교"
③ Owen "유아학교"
④ 기독교 보급협회의 "자산학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2.04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