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적 건강증진 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연구방법
1. 연구자료
2. 분석방법

3) 결과 : 전통적 건강증진 활동
1. 자연환경(自然環境)에 순응(順應)
2. 절도(節度) 있는 생활(生活)
3. 심리적 조절(心理的 調節)

4) 결 론

본문내용

방(豫防) : 인간을 자생적 존재로 보는 까닭에 건강은 신체적 특정상태를 말하기 보다는 자연의 변화의 더불어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자연과의 조화를 의미한다. 이와같이 동양의 건강관이 자연조화 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예방적이며 평소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건강을 잘 지키는 것은 부모에 대한 효의 근원으로 인식하였으므로 항상 병이 나지 않도록 그리고 몸을 사하지 않도록 관리, 보존하는 예방적 접근이 중요시 되었다.
5. 한국인의 전통적 건강개념에는 천인합일적(天人合一的) 전일성(holism)이 하나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간을 소우주로 보고 자연과 인간을 분리시키지 않고 하나의 통일된 형태로 보았다. 즉 인간은 유기체적 자연의 한 부분이며 결코 기계적 한 부분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한국의 전통적 건강유지는 자연과의 관계속에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1. 葛洪(연대미상). 抱朴子(김봉영 역). 서울:민음사.
2. 김길환(1981). 동양윤리사상. 서울:일지사.
3. 김두종(1981). 한국의학사. 서울:탐구당.
4. 김완희, 양기상, 김길선, 홍무창(1982). 한의학 원론. 서울:성보사.
5. 김우호(1986). 養生導引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6. 박성래(1992). 한국인의 전통적 과학 탐구 정신; 현대 과학문명과의 관계. 신실학의 탐구. 서울:열린책들.
7. 素女經(연대미상). 박승훈(역). 서울: 청아출판사.
8. 용백견(1988). 皇帝內徑槪論.(백정의, 최일범 역). 서울:논장.
9. 유호통, 노중래, 박윤덕(1989). 鄕藥集成方.(신님재 외 역). 서울:영민사.(최초발행, 1433)
10. 안덕균(1985). 세종시대의 보건위생. 서울 ;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11. 이수광(1976). 芝峰類說(上, 下). (남만성 역). 서울:을유문화사. (최초간행 1615).
12. 이진수(1988). 조선 양생사상의 성립에 관한 고찰 (1), 도교와 한국 문화. 한국 도교사상 연구회, 아세아 문화사.
13. 이진수(1989). 조선 양생사상의 성립에 관한 고찰 (2), 한국 도교와 도가 사상. 아세아 문화사.
14. 이부영(1982). 한국 무속의 심리학적 고찰, 김인회 외 편 한국 무속의 종합적 고찰.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출판부.
15. 정해철(1976). 醫林養神. 서울: 동서문화원.
16. 최태섭(1990). 한국의 보약. 서울: 열린책들.
17. 허 준(1988). 東醫寶鑑.(동의보감 국역위원회 역). 서울: 남산당. (최초간행 1613).
18. 홍만선(1982). 山林經濟 I, II. (민족문화추진회 역). 민족문화연구회. (최초간행 : 연대미상)
19. 홍만종(1979). 旬五志. (김규태 역). 서울: 을유문화사. (최초간행 1647).
20. 홍원식(1973). 蝗災內徑 素問解繹. 서울: 괴문사.
21. Chan, Wing-tsit.(1967). Chinese theory and practice, with special reference to humanism. in C. Moore (Ed.), The Chinese mind (pp 11-30). Honolulu : East-West Center.
22. Dubos, R,(1979). Preface.in D. Sobel (Ed.), Ways of Health: Holistic approaches to ancient and contemporary medicine. (Xi). New York: Harvest/HBJ Books.
23. Needham, J. & Lu gwei-djen.(1962) Hygiene and prevention medicine in ancient China. Journal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Allied Sciences, 17, 429-478.
24. Pokert, M.(1979). Chinese medicine: A traditional healing science, in D. Sovel (Ed.), Ways of health (pp 147-172). New York: Harvest/HBJ Books.
25. Strauss, A. and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Sage.
26. Waltz, C., Strickland, O. & Lenz, E.(1984). Measurement in nursing research. Philadelphia: F. A. Davis.
영문초록:
Patterns of Traditional Health
Promotion in Korea
Young-Ja Lee
The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atterns of tradition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Korea. The method employed in the study were the modified content analysis and the open coding method of grounded theory approach.
Three principles of health promotion, conformity with universal law, temperance, and self-regulation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The subcategories of the three principles were natural order, harmony, activity and rest, diet, sexual life, convetousness, temperanment, and apprehension. These principles stressed the harmony with nature and means of activities in everyday life. The principles also implied the Oriental holism and prevention of disease.

키워드

한국,   전통,   자연,   건강,   심리적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2.15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