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인복지란 무엇인가
2. 노인들을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가?
3. 여성노인은 누구인가
4. 생활 속의 노인복지
5. 여성노인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
2. 노인들을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가?
3. 여성노인은 누구인가
4. 생활 속의 노인복지
5. 여성노인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
본문내용
것이며 노인들 스스로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정보제공 및 접
근성 강화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 한편으로는 여성노인들이 장기화 되고 있는 노년기를 보다 건강하고 만족스럽게 보낼
수 있도록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으로는 경
제활동, 취미활동,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학술활동 등 자기 자신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활
동이 있고, 자원봉사와 같은 타인을 위한 활동도 있다.
특히 자원봉사활동은 지역사회와 이웃에 유익한 활동일 뿐만 아니라 자아를 실현하고 궁극
적으로는 다같이 더불어 잘사는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오늘날 자원활
동을 통하여 상실된 사회적 역할을 찾고 보람된 삶들 갖고자 하는 노인들이 많아지고 있으
며 노인들이 사회복지나 지역사회발전을 위하여 봉사할 수 있는 활동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노인들의 특성과 능력에 맞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노인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를 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살펴보면 첫째, 자원봉사자로서 맡
겨진 일들을 긍지를 가지고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자신이 아직도 사회에 중요한 공헌을 하
고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 셋째, 노년기에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된다, 넷째, 가정에서 소
일해야 되는 소외감을 극복하고 새로운 친구관계를 맺는다 등을 들수 있다 (한국노인의 전
화, 1996).
노인에게 적합한 자원봉사활동으로는 △ 혼자 사는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재가노인, 시
설에 있는 노인과 같은 노인세대를 돕는 일 (말벗, 외출동행, 가사도우미 등) △ '수양할머
니
프로그램'과 같이 결손가정의 어린이나 청소년, 맞벌이 가정의 아이들을 돌보는 일, △ 환경
보호 켐페인 참여 △ 역사적 유물의 보존, 전통적인 생활양식의 전수 등 사쇠 각 부문에서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오늘날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보다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
을 강조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활기찬 노년기를 보내는 '신세대 노인'의 모습이 대두되고 있
다. 노인인구 가운데 남성보다 더 많고 평균수명이 더 긴 여성노인들은 개인의 특성에 맞는
사회활동을 적극적으로 찾음으로써 보다 건강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영란. (1997). "고령화 사회의 여성노인과 복지정책," 「여성」, 통권355호.
이가옥. (1995). "2000년대를 대비한 한국 노인복지의 정책과제," 「한국의 노인과
세계
의 노인」자료집.
이가옥 외 (1994)「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 외 (1999) 「199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정무장관 (제2)실. (1996). 「여성노인과 삶의 질」, 여성주간 기념 학술 세미나 자료집.
참여연대 사회복지특별위원회 (1999). 「서울시민 복지정보 가이드」 참여연대.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7). 'UN이 수행하는 노인관련사업', 「노인복지정책연
구」제2
권 제4호, pp. 163-187.
Baldock, J. (1997). Social Care in Old Age: More Than a Funding Problem.
Blackwell Publishers LTD.
Barusch, A. S. (1995). Programming for family care of elderly dependents:
Mandates, incentives, and service rationing. Social Work, Vol. 40 (3),
315-322.
Blancato, R.B. (1994). The 1995 White House Conference on Aging.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Vol.6(1/2)
Kane, R. A. & R. L. Kane. (1987). Long-Term Care: Principles, Programs,
and Policie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Liebig, P.S. (1994). Decentralization, Aging Policy, and the Age of Clint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leles.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Vol.6(1/2)
근성 강화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 한편으로는 여성노인들이 장기화 되고 있는 노년기를 보다 건강하고 만족스럽게 보낼
수 있도록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으로는 경
제활동, 취미활동,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학술활동 등 자기 자신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활
동이 있고, 자원봉사와 같은 타인을 위한 활동도 있다.
특히 자원봉사활동은 지역사회와 이웃에 유익한 활동일 뿐만 아니라 자아를 실현하고 궁극
적으로는 다같이 더불어 잘사는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오늘날 자원활
동을 통하여 상실된 사회적 역할을 찾고 보람된 삶들 갖고자 하는 노인들이 많아지고 있으
며 노인들이 사회복지나 지역사회발전을 위하여 봉사할 수 있는 활동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노인들의 특성과 능력에 맞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노인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를 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살펴보면 첫째, 자원봉사자로서 맡
겨진 일들을 긍지를 가지고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자신이 아직도 사회에 중요한 공헌을 하
고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 셋째, 노년기에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된다, 넷째, 가정에서 소
일해야 되는 소외감을 극복하고 새로운 친구관계를 맺는다 등을 들수 있다 (한국노인의 전
화, 1996).
노인에게 적합한 자원봉사활동으로는 △ 혼자 사는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재가노인, 시
설에 있는 노인과 같은 노인세대를 돕는 일 (말벗, 외출동행, 가사도우미 등) △ '수양할머
니
프로그램'과 같이 결손가정의 어린이나 청소년, 맞벌이 가정의 아이들을 돌보는 일, △ 환경
보호 켐페인 참여 △ 역사적 유물의 보존, 전통적인 생활양식의 전수 등 사쇠 각 부문에서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오늘날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보다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
을 강조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활기찬 노년기를 보내는 '신세대 노인'의 모습이 대두되고 있
다. 노인인구 가운데 남성보다 더 많고 평균수명이 더 긴 여성노인들은 개인의 특성에 맞는
사회활동을 적극적으로 찾음으로써 보다 건강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영란. (1997). "고령화 사회의 여성노인과 복지정책," 「여성」, 통권355호.
이가옥. (1995). "2000년대를 대비한 한국 노인복지의 정책과제," 「한국의 노인과
세계
의 노인」자료집.
이가옥 외 (1994)「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경희 외 (1999) 「199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정무장관 (제2)실. (1996). 「여성노인과 삶의 질」, 여성주간 기념 학술 세미나 자료집.
참여연대 사회복지특별위원회 (1999). 「서울시민 복지정보 가이드」 참여연대.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7). 'UN이 수행하는 노인관련사업', 「노인복지정책연
구」제2
권 제4호, pp. 163-187.
Baldock, J. (1997). Social Care in Old Age: More Than a Funding Problem.
Blackwell Publishers LTD.
Barusch, A. S. (1995). Programming for family care of elderly dependents:
Mandates, incentives, and service rationing. Social Work, Vol. 40 (3),
315-322.
Blancato, R.B. (1994). The 1995 White House Conference on Aging.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Vol.6(1/2)
Kane, R. A. & R. L. Kane. (1987). Long-Term Care: Principles, Programs,
and Policie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Liebig, P.S. (1994). Decentralization, Aging Policy, and the Age of Clint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leles.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Vol.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