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교육의 필요성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인생과 문자의 관계

Ⅱ. 한민족, 한글, 한문자의 관계

Ⅲ. 한글, 한문자 혼용과 한글 전용 이자의 상호 조정

Ⅳ. ‘혼용’, ‘전용’ 이파의 지행 자세

본문내용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혹 있다면 듣기 거북한 말이라고 여길지 모르나, 유념해야 할 말이라고 생각한다. "生平四方志, 不獨爲功名"이란 말 말이다. '나라', '國家', '民族', '겨레' 참 좋은 말들이다. 그러나 언제 이런 말이 진정 公益的으로 쓰인 적이 있었던가 하는 것을 깊이 反省해야 할 것이다. 漢文字를 그대로 상당량 쓰고 있는 地域의 經濟的, 文化的인 정도가 어떤가도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文字는 그저 한갖 工具에 不過하다고 해도, 곧 "至道離文字"이지만, 이런 내용을, 이런 理致를 남에게 알리고 싶을 때 무슨 工具를 사용해야 하나? "默而識之"도 있고, "拈花示衆"도 있고, "以心傳心"도 있고, "得意忘言"이란 말도 있는데, 이런 말은 또 어떤가? 向後, 向內의 猛省이 바람직하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2.03.13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