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의자차 및 의자차 사용아동의 특성
2. 외국의 편의시설, 설비기준의 탐색
3. 우리나라 편의시설의 실태
III. 연구방법
1. 대 상
2. 연구방법
3. 자료처리
IV. 결과 및 해석
1. 의자차 사용아동의 경사로 각도간 이동 평균 시간의 차이
2. 의자차 사용아동에 있어서 경사로 2。, 3。, 4。, 5。각도와 6。간의 경사로 이동 시간 비교
3. 의자차 사용 경사로 규정 각도 5。에 있어서 각 집단간 비교
V. 결론 및 제언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의자차 및 의자차 사용아동의 특성
2. 외국의 편의시설, 설비기준의 탐색
3. 우리나라 편의시설의 실태
III. 연구방법
1. 대 상
2. 연구방법
3. 자료처리
IV. 결과 및 해석
1. 의자차 사용아동의 경사로 각도간 이동 평균 시간의 차이
2. 의자차 사용아동에 있어서 경사로 2。, 3。, 4。, 5。각도와 6。간의 경사로 이동 시간 비교
3. 의자차 사용 경사로 규정 각도 5。에 있어서 각 집단간 비교
V.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등도
15
5
4.423
5.956
1.114 0.849
19
7.822
0.011*
경사로 설치기준 기울기 5도에 있어서 장애 정도 집단간에는 유의수준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P=0.011)
(6) 부위
표4-14 설치기준 경사로 기울기 5도(12:1)에 있어서 장애 부위
집단간 이동시간의 비교
부위
N
M
SD
df
F
p
양마비
사지마비
편마비
양하지마비
10
5
2
3
4.944
5.824
4.080
3.136
1.098 0.879
0.396
0.296
19
5.517
0.008*
경사로 설치기준 기울기 5도에 있어서 장애부위 집단간에는 유의수준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P=0.008)
Ⅴ. 결 론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아동의 경사로의 적정 기울기를 알아 보기 위한 것으로 2도, 3도, 4도, 5도, 6도의 경사로에서 이동시간을 재었으며 1998년 5월 7일부터 10일 까지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휠체어 사용 아동의 경사로 기울기간 평균이동시간의 차이는 5도와 6도 사이에서 P =0.000 ( P < 0.005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 었다.
2. 휠체어 사용에 있어서 경사로 2도, 3도, 4도, 5도, 6도간 경사로 이동시간의 비교에서 2도와 6도에서 P = 0.002, 3도와 6도에서 0.001, 4도와 6도에서 0.000, 5도와 6도에서 0.000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인 경사로 기울기 5도에서 각 집단간의 비교는 성별, 나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병명간 집단간에서는 P = 0.027, 장애유형 집단간에서는 P = 0.034 장애정도간에서는 P = 0.011, 장애부위에서는 P = 0.008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참 고 문 헌
곽준기 외, 지체부자유 학교 시설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재활연구, 삼 육재활원, 1989, pp.42-43.
김송석, 김정주, 지체부자유학생의 사회, 심리적 재활을 위한 도심환경 적응훈련의 효과, 재활연구, 삼육재활원, 1991, 44.
김승국, 특수교육학개론, 서울 : 양서원, 1995, p.166.
박용훈, 장애인을 위한 특별교통수단 운영방안 연구, 재활재단논문집, 제5호, 1996, 22.
신희영, 초등학교의 장애인용 편의시설 실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청구논문, 1995, pp.18-19.
박을종,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의 변천, 한국장애인복지변천사, 한국재활 재단, 1996, p.342.
이기희, 신체장애자를 위한 외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1983, p.24.
이한석, 척수손상환자에서 의자차 추진의 생리학적 반응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청구논문, 1994, p.2.
이현우,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Rehabilitation Center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석사청구논문, 1982, p.16.
조철호, 장애인 편의시설 세부항목 개발에 관한연구, 아태장애인10년연 구모임, 1995, pp.270-272.
Bhambhani Y.N., et al., Anaerobic threshold in wheelchair athletes with cerebral palsy, Validity and Reliability, Arch Phys Med Rehabilitation, 1993, Vol. 74, p.350.
Lorraine W.P., Gregory S., Wheelchair and wheelchair transfers, Mehod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hysical dysfunction, 1985, p.382.
Paul M. Ellwood, JR., Prescription of wheelchairs,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3rd ed., Philadelphia : Sanders Company, 1982, p.492.
Shin Young Yim et al., Effect of wheelchair ergometer training on spinalcord-injured paraplegia, Yonsei Medacial Journal, 1993, Vol.34, 1993, p.26.
UN, Designing with Care, International Year of Disabled Persons, 1981, p. 47.
기타
장애인 편의시설 및 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1994.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 1993.
건축법시행령,1993
ABSTRACT
THE OPTIMUM GRADIENT OF RAMP FOR DISABLED CHILDREN USING WHEEL CHAIR
KIM JIN SOOK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EDUCATIONAL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 KIM SEUNG-K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NESS OF GRADIENT IN RAMP FOR DISABLED CHILDREN USING WHEEL CHAIR.
THE WERE 20 CHILDREN FROM THE SPECIAL SCHOOL WITH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GRADIENT WERE MADE INTO 2。 3。 4。 5。 6。 WAS EXAMINED TO THE CHILDREN INDIVIDUALLY AND THE TIMES WERE CHECKED, USING THE TIME WAT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IN MOVING TIME BETWEEN 5。 AND 6。 IN THE GRADIENTS OF RAMP OF HANDICAPPED CHILDREN USING WHEEL CHAIR IS
15
5
4.423
5.956
1.114 0.849
19
7.822
0.011*
경사로 설치기준 기울기 5도에 있어서 장애 정도 집단간에는 유의수준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P=0.011)
(6) 부위
표4-14 설치기준 경사로 기울기 5도(12:1)에 있어서 장애 부위
집단간 이동시간의 비교
부위
N
M
SD
df
F
p
양마비
사지마비
편마비
양하지마비
10
5
2
3
4.944
5.824
4.080
3.136
1.098 0.879
0.396
0.296
19
5.517
0.008*
경사로 설치기준 기울기 5도에 있어서 장애부위 집단간에는 유의수준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가 나타났다.(P=0.008)
Ⅴ. 결 론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아동의 경사로의 적정 기울기를 알아 보기 위한 것으로 2도, 3도, 4도, 5도, 6도의 경사로에서 이동시간을 재었으며 1998년 5월 7일부터 10일 까지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휠체어 사용 아동의 경사로 기울기간 평균이동시간의 차이는 5도와 6도 사이에서 P =0.000 ( P < 0.005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 었다.
2. 휠체어 사용에 있어서 경사로 2도, 3도, 4도, 5도, 6도간 경사로 이동시간의 비교에서 2도와 6도에서 P = 0.002, 3도와 6도에서 0.001, 4도와 6도에서 0.000, 5도와 6도에서 0.000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인 경사로 기울기 5도에서 각 집단간의 비교는 성별, 나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병명간 집단간에서는 P = 0.027, 장애유형 집단간에서는 P = 0.034 장애정도간에서는 P = 0.011, 장애부위에서는 P = 0.008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참 고 문 헌
곽준기 외, 지체부자유 학교 시설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재활연구, 삼 육재활원, 1989, pp.42-43.
김송석, 김정주, 지체부자유학생의 사회, 심리적 재활을 위한 도심환경 적응훈련의 효과, 재활연구, 삼육재활원, 1991, 44.
김승국, 특수교육학개론, 서울 : 양서원, 1995, p.166.
박용훈, 장애인을 위한 특별교통수단 운영방안 연구, 재활재단논문집, 제5호, 1996, 22.
신희영, 초등학교의 장애인용 편의시설 실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청구논문, 1995, pp.18-19.
박을종,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의 변천, 한국장애인복지변천사, 한국재활 재단, 1996, p.342.
이기희, 신체장애자를 위한 외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1983, p.24.
이한석, 척수손상환자에서 의자차 추진의 생리학적 반응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청구논문, 1994, p.2.
이현우,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Rehabilitation Center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석사청구논문, 1982, p.16.
조철호, 장애인 편의시설 세부항목 개발에 관한연구, 아태장애인10년연 구모임, 1995, pp.270-272.
Bhambhani Y.N., et al., Anaerobic threshold in wheelchair athletes with cerebral palsy, Validity and Reliability, Arch Phys Med Rehabilitation, 1993, Vol. 74, p.350.
Lorraine W.P., Gregory S., Wheelchair and wheelchair transfers, Mehod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patients with physical dysfunction, 1985, p.382.
Paul M. Ellwood, JR., Prescription of wheelchairs,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3rd ed., Philadelphia : Sanders Company, 1982, p.492.
Shin Young Yim et al., Effect of wheelchair ergometer training on spinalcord-injured paraplegia, Yonsei Medacial Journal, 1993, Vol.34, 1993, p.26.
UN, Designing with Care, International Year of Disabled Persons, 1981, p. 47.
기타
장애인 편의시설 및 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1994.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 1993.
건축법시행령,1993
ABSTRACT
THE OPTIMUM GRADIENT OF RAMP FOR DISABLED CHILDREN USING WHEEL CHAIR
KIM JIN SOOK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EDUCATIONAL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 KIM SEUNG-K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TNESS OF GRADIENT IN RAMP FOR DISABLED CHILDREN USING WHEEL CHAIR.
THE WERE 20 CHILDREN FROM THE SPECIAL SCHOOL WITH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GRADIENT WERE MADE INTO 2。 3。 4。 5。 6。 WAS EXAMINED TO THE CHILDREN INDIVIDUALLY AND THE TIMES WERE CHECKED, USING THE TIME WAT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IN MOVING TIME BETWEEN 5。 AND 6。 IN THE GRADIENTS OF RAMP OF HANDICAPPED CHILDREN USING WHEEL CHAIR IS
추천자료
척추손상과 케이스
현대기아자동차의 사회공헌 방향
장애인 복지(뇌성마비에 대해서)
환자간호 및 환자관리
[페럼림픽] 장애인올림픽(페럼림픽)의 기원과 발전과정 및 현실과 문제점 방안
‘기적은 당신 안에 있습니다’를 읽고
대한민국 장애인의 인권현황
[노인운동][노인운동프로그램][노인운동의 중요성][노인운동의 목적][노인운동의 프로그램][...
08.11 FIM정리레
PEDcase - 소아과 폐렴 케이스 스터디
인간행태와심리레포트
화물운송자 자격시험 요약집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아동)와 보치아운동, 뇌성마비(뇌성마비장애인, 뇌성마비...
간호과정 02 - 석고 붕대와 관련된 활동장애 & 외상으로 인한 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