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분류사의 인지의미론적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식물 분류사의 목록과 기본 의미

3. 분류사의 일반적 특성과 식물 분류사의 의미
3.1 수량화와 정보의 초점
3.2 범주화와 선택자질
3.3. 식물 분류사의 의미와 화용적 고찰

4. 식물 분류사의 의미분류 기준

5. 결론

본문내용

는 것인가에 따라 '그루' '포기'와 '송이', '떨기' '줄기', '뿌리'로 갈라진다. 그 다음 '그루'와 '포기'는 '이동의 용이함' 혹은 '옮겨심기의 용이함'이라는 기준에 의해서 이러한 의미성분이 있으면 '포기'가 되고 그런 성분이 없으면 '그루'가 된다.
'그루'와 '포기'가 식물의 전체적인 모습에 관심이 있다면 '송이', '떨기'는 '꽃'부분에 관심이 모아진다. 그러나 '포기'와 겹쳐지는 부분도 있는데 이것은 '꽃'부분에 의미의 초점이 있는 경우는 '포기'와 어울릴 수 없지만 의미의 초점이 '꽃'에서 '나무'로 옮아가면 '포기'도 가능하다. 이것은 식물의 명사와 분류사의 선택이 구속적인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며 우리의 인식이 옮김에 따라 분류사의 선택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식물의 부분을 지칭하던 명사가 그대로 분류사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 것으로는 '뿌리'와 '줄기'가 있다. '뿌리'는 식물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기능이 사회와 인간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그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의미의 확대가 이루어져서 쓰이게 되었고 '줄기'는 그 생김새에 말미암아 그와 비슷한 형상을 가진 것들을 지칭하게 되고 '뿌리'와 마찬가지로 자연현상. 그리고 인간의 사회에까지 의미영역이 넓어졌다.
이상과 같은 기준에 따라 식물명사와 분류사가 선택되어 쓰이는데 이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분 류 사
지 시 물
이동의
용이함
기 능
인지의 촛점
그 루
포 기
송 이
떨 기
줄 기
뿌 리
+전 체
+전 체
-전 체
-전 체
-전 체
-전 체
-
+
+
+
±
±
수 량
수량+어휘의미




개체성
개체성
군집·개체성
군집성
형상성
기능성
5. 결론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겠다.
1. 식물명사 뒤에 붙어서 수량사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분류사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휘들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어휘적 의미가 분류사의 기능
본래 분류사의 기능
줄기, 포기, 떨기, 송이, 단
송아리 , 뿌리, 두름, 그루
접, 동
이들 분류사들 가운데 '줄기, 뿌리, 송이, 떨기, 포기, 그루 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2. 이들 분류사들이 서로 의미의 겹침관계에 있는 것들이 있어서 그 쓰임이 서로 넘나듬의 관계에 있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런 현상은 식물명사와 분류사 사이의 의미성분과 의미영역이 일치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여러 의미자질들 가운데 서로 교체할 수 의미자질의 동질성에 대한 한계선이 있거나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의미자질의 성분이 있는데 가장 필수적인 의미자질이라고 여겨지는 것이 분류사 구분의 기본조건이 된다. 이 기본조건은 우리의 인식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에 있고 그 나머지 조건들은 부차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기본조건이 맞으면 분류사들의 교체가 가능하고 이 기본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는 교체가 불가능하다.
3. 명사가 수량사와 분류사와 더불어 나타날 경우는 '명사 + 수량사 + 분류사'의 형식과 '수량사 + 분류사 + 명사'의 형식으로 나타나는데 수량에 초점이 있는 경우는 전자의 형식으로, 명사의 존재에 관심이 있는 경우는 후자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4. '송이' 떨기'는 식물 가운데서도 꽃이 있는 식물 특히 꽃 그 자체를 지시할 때 사용되고 '포기'는 주로 식물 전체를 지시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우리의 인지가 '꽃'에 존재가치를 두었던 것을 그 나무 전체로 가치를 옮기면 '포기'가 쓰일 수 있고 또 그 식물 전체에 존재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외형상 어느 한 부분이 그 식물 전체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할 때는 '포기'가 쓰일 수 있다. 이로써 우리가 분류사의 선택은 우리의 인지 작용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뿌리'와 '줄기'는 식물의 한 부분을 지칭하는 명사였지만 그 생김새와 기능에 의미의 초점이 맞춰져 그와 비슷한 생김새를 가졌거나 기능을 하는 것에로 인식의 확대 적용이 이루어져 다른 자연이나 인간의 논리에도 적용을 시킨다. 그 결과 '뿌리'가 '근원이나 토대'들을, '줄기'는 '뿌리'에서 나온 '주변적인 어떤 것들' '어디에서 파생된' 이란 의미를 갖게 된다. 6. '그루'는 나무 전체를 지칭하는 분류사인 점에서는 '포기'와 의미상 겹쳐지는 부분도 있지만 '포기'가 가지는 '옮겨 심을 수 있는 작은 나무'나 그 식물의 '전체'라는 의미 때문에 '그루'와 차별화가 된다. '그루'는 나무의 밑동이라는 의미는 '밑동'에 넘기고 순수한 나무의 수효를 지칭하는 기능만 가졌다.
어휘적
의미가
뷴류사의
기능을
하는 것
자질
종류
지시물
이동의
용이함
기 능
인지의 초점
그 루
포 기
송 이
떨 기
줄 기
뿌 리
( 단 )
+ 전 체
+ 전 체
- 전 체
- 전 체
- 전 체
- 전 체
-
+
+
+
±
±
수 량
수량+어휘의미




개 체 성
개 체 성
군집·개체성
군 집 성
형 상 성
형 상 성
본래 분류사의 기능만하는 것
접, 동,
* 참고문헌
김영희.1981. "부류 셈숱말로서의 셈 가름말," 배달말 6. 배달말학회.
서정수.1994. 국어문법. 뿌리깊은 나무.
오상룡.1995. "Korean numerral classifiers: Semantics and universals". 담화와 인지1. 담화 인지어학회
우형식.1997. "국어 분류사의 의미범주화 분석".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유동준.1983. "국어 분류사와 수량화", 국어국문학 89. 국어국문학회.
이기우.(옮김).1987. 인지 의미론 -언어에서 본 인간의 마음-. 한국문화사.
임홍빈.1991a. "국어 분류사의 성격에 대하여",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김완진 선생 회갑기념논총.
임홍빈.1991b. "국어 분류사의 변별 기준에 대하여", 석정 이승욱 선생 회갑기념논총1. 간행 위원회.
조명원. 나익주(옮김).1997. 인지 언어학이란 무엇인가?, 한국문화사.
채 완,1983. "국어 수사 및 수량사구의 유형적 고찰". 어학연구 19권 1호. 서울대어학연구 소.
채 완.1990. "국어 분류사의 기능과 의미", 진단학보 70, 진단학회.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