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치의 개념적 원리와 현실사례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개념적 원리 : 생활정치와 페미니즘
1) 참여 민주주의와 자원성의 원리
2) 대안적 가치와 여성주의 가치
3) 공/사 이분틀의 해체와 재구성
4) 공공성(사회정의) 확보의 문제

3. 생활정치 사례 분석

4. 결론 : 생활정치에서의 여성 참여의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 보울링 클럽, 학교의 학부모위원회, 체스클럽 등 각종 레저 모임과 동호인 모임 등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사람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자본이 단지 개인과 가정의 이해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사회와 국가적 차원을 위한 목적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생활정치에서 여성주의를 강화시켜야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생활정치의 대부분의 사례들에서 여성주의를 전면에 내걸거나 핵심 목표로 내세운 운동들은 극히 희박했는데, 이는 여성주의 측면에서 생활정치를 이룩하는 데 한계를 보여준다. 생활정치가 생활적인 문제들과 밀접하고 여성 주체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안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면, 여성 주체와 여성들의 사고, 생활에 기반한 여성주의적 지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공/사의 이분법을 폐지하고 소외된 주제와 주체를 도외시하지 않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성별적인 가부장적 억압체계를 해체하려는 페미니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현재 생활정치 운동들에서 표면화되고 있지 않은 여성주의를 강화하려는 노력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현재 생활정치 사례들에서 많은 여성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여성들의 활동과 존재는 올바로 평가되고 있지 못하며, 이들 생활정치는 여성주의적 측면에서 표상되거나 인식되고 있지 못하다. 생활정치에 참여하는 대다수가 여성인 만큼, 이러한 여성들의 현실은 현재의 생활정치가 공적 정치를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의미를 지닌 대안적 정치로서 충분히 자리하고 있지 못함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여성들의 참여를 사회적으로 존중하고 인정하는 평가체계 마련을 비롯하여 여성들의 감수성과 경험에 민감한 여성주의 문화 형성 등의 노력이 좀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기성, 2001, “시민자치와 정치적인 것의 변화 - 일본 사회의 실험을 중심으로-” http://www.juja.net 자료실.
김종미, 2000, “지역 여성운동: 지역여성의 세력화”, 한국기독교 사회발전협회편, 『21세기 대안적 지역 주민운동 모색』, 한국 기독교 사회발전협회.
김칠준, 2000. “아파트, 외로운 섬인가!- 아파트 공동체운동의 비전과 전략”, 살맛나는 자치공동체 만들기 2000 아파트 시민학교, 참여자치와 환경보전을 위한 범도민회 아파트 공동체모임.
데이비드 허시만, 2000, “남아프리카 시민사회와 여성”, 조효제편,『NGO의 시대』, 창작과 비평사.
박상필, 2001, 『NGO와 현대사회,』, 아르케.
신명호, 2000, “한국 지역주민운동의 특성과 교훈”, 조효제편,『NGO의 시대』, 창작과 비평사
신필균, 1997, “스웨덴 GAP(Global Action Plan for the earth)운동의 성과”, 한국여성민우회,『97 세계환경의 날 기념 심포지엄 ‘환경자치시대와 여성의 역할-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환경 공동체의 실천 만들기』자료집.
엠네스티 인터내셔널, 2000, “지구화와 사회운동”, 조효제편,『NGO의 시대』, 창작과 비평사.
오동석, 1999, “주민참여적 지방자치의 헌법적 정당성”, 연세대 법학과 헌법학 박사학위 논문.
오오가이 토쿠코(大海 篤子), 1997, “일본 생활클럽생협의 워커즈컬렉티브 활동과 환경운동”, 한국여성민우회, 『97 세계 환경의 날 기념 심포지엄 ‘환경자치시대와 여성의 역할-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환경공동체의 실천 만들기』자료집.
이혜숙, 1999, “지역여성운동의 성격과 전개과정”, 경상대학교 「사회과학 연구 15호」. http://nongae. gsnu.ac.kr/~iss/publications/
장미경, 2001, “시민적 공공성과 한국 여성노동운동(1987-1999)”, 제 17회 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발표.
장필화, 2001, “왜 여성이 정치에 참여해야 하는가?”, 『여성, 주민자치, 삶의 정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정수복, 2000, “시민운동에서 대안문화운동으로”, 조효제편,『NGO의 시대』, 창작과 비평사.
Elshtain,J.B. 1981, Public Man, Private Woman: Women in Social Political Thought, Prinston University Press.
Jaggar, Alison M., 1983, Feminist Politics and Human Nature, The Harvester Press Sussex.
Habermas, 1991,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이진우역, 1994,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Held, David, 1982, “자유주의적 민주주의론과 맑스주의적 민주주의론”, 『민주주의론 강의』, 1995, 안승국외 편, 인간사랑.
Gilligan, Carol, 1982,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허란주역, 1994, 철학과 현실사.
Hernes, Helga Maria, 1987, Welfare State and Woman Power, Olso : Norweigian University Press.
Lukes, Steven, 1982, “자유와 평등에 대한 개념적 재성찰”, 안승국외 편, 1995, 『민주주의론 강의』, 인간사랑.
Moser, Caroline O.N., 1993, 『여성정책의 이론과 실천』, 2000, 장미경외 역, 문원출판.
Schneider, Elizabeth M., 1990, “The Dialectic of Rights and Politics: Perspectives from the Women’s Movement”, Linda Gordon, Women, the State, and Welfare, The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Randal, Vicky, 1982, 『여성과 정치』, 김민정외 역, 2000, 풀빛.
Waerness, Kari, 1989, “보살핌의 합리성” 앤쏘우스틱 사쑨 편, 『여성과 국가』, 한국여성개발원.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