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고향- 윤동주 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핵심 정리

2.감상의 길잡이(1)

3.감상의 길잡이(2)

4.감상의 길잡이(3)

본문내용

다.) 결국 이 작품은 현실적 공간을 뛰어넘어 밝고 넓은 초현실의 공간으로 승화하고자 하는 영원한 삶에 대한 동경을 노래하고 있는데, 이 몸부림을 더욱 자극시키고 채찍질하는 것이 바로 소리처럼 느껴지는 '바람'과 '지조 높은 개'가 밤새워 우는 '울음'인 것이다.
감상의 길잡이(3))
이 시는 자신의 상황을 간략하게 요약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시인은 자기의 고향을 죽은 자신의 시신을 만나는 음산한 곳이고, '어둔 방'으로 집약하여 표상할 수 있는 곳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또 역설적으로 이 좁고 어두운 곳은 넓은 움직임의 공간에로의 부름을 가지고 있다. 시인이 고향의 어두운 상황을 슬퍼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시인은 어떤 면에 비추어 그러한 질문이 발해지는 것인가? 시인의 자기 성찰은 자신 가운데 세 분신을 발견한다.
하나는 삶의 가능성을 죽음의 세계 속에 묻어버린 과거의 자기, 고향에 남아있는 자기요, 다른 하나는 이것을 반성하고 있는 현재의 자기이다. 세 번째의 '아름다운 혼'은 그때 그때의 감각적, 체험적 쾌락과 고통을 넘어서고 또 그것을 밑거름으로 하여 삶을 하나의 조화된 통일체로 완성해 가는 성장의 원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시인은 이러한 세 개의 분신 중 우는 것이 누구냐고 묻고 있는데, 우는 것은 이 세 분신 모두라고 할 수 있지만, 그 중에도 다양하고 조화된 생의 통일성을 관장하는 영혼 -- 좁은 방에 대하여 하늘에서 오는 바람 소리처럼, 현재를 초월하는 원리인 '아름다운 혼'이 희생된 삶의 가능성을 생각하여 운다고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 시대와 내면적 인간 中 (글, 김우창 교수)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3.20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