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운동 참여 효과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본문내용

∼ 5년
77
69
8
1
1
156
41.4%
6년 ∼ 9년
60
32
92
24.4%
10년 이상
68
28
2
91
24.1%
전 체
214
56.8%
151
40.1%
10
2.7%
1
.3%
1
.3
377
100.0%
Pearson χ2 22.047(a), 자유도 12 점근 유의 확률(양쪽검정) 0.037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생활체육 축구회 활동을 하고 있는 축구회원들의 운동경력에 따라 신체적 효과를 비교한 결과, 축구회원들의 운동 경력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축구회의 활동을 통해 "다소 효과적이다"와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96.9%로 나타났으며, 특히 2-5년 참가 회원 그룹에서는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고, 10년이상, 6-9년, 1년이하의 순으로 "매우 효과적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조사되었다. 이는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운동 참여기간이 길수록 운동참여로 인한 신체적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혀주고 있다. 특히 운동 참여 경력이 2-5년사이에서 신체적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장기간 운동참여시 운동 참여로 인한 신체적 효과에 적응이 되어 무감각해지기 때문에 그 효과가 있더라도 크게 못느낄 수 없는데서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2)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운동경력별 정신적 효과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운동경력별 정신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χ²검증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표­6 운동경력별 정신적 효과 비교
정신효과
경력
매우
효과적
다소
효과적
그저
그렇다
거의
효과없다
전 체
1년 이하
13
24
1
38
10.1%
2년 ∼ 5년
70
76
9
1
156
41.4%
6년 ∼ 9년
50
39
3
92
24.4%
10년 이상
62
26
3
91
24.1%
전 체
195
51.7%
165
43.8%
16
4.2%
1
.3%
377
100.0%
Pearson χ2 20.936(a), 자유도 9, 점근 유의 확률(양쪽검정) 0.016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생활체육 축구회 활동을 하고 있는 축구회원들의 운동경력에 따라 정신적 효과를 비교한 결과, 축구회원들의 운동 경력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축구회의 활동을 통해 "다소 효과적이다"와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96.5%로 나타났으며, 특히 2-5년 참가 축구회원 그룹에서는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앞서 제시한 운동경력별 신체적 효과와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3)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운동경력별 사회적 효과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운동경력별 사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χ²검증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표­7 운동경력별 사회적 효과 비교
사회효과
경력
매우
효과적
다소
효과적
그저
그렇다
전혀
효과없다
전체
1년 이하
11
20
6
1
38
10.1%
2년 ∼ 5년
55
90
11
156
41.6%
6년 ∼ 9년
39
49
3
91
24.3%
10년 이상
47
40
3
90
24.0%
전 체
152
40.5%
199
53.1%
23
6.1%
1
.3%
375
100.0%
Pearson χ2 24.591(a), 자유도 9, 점근 유의 확률(양쪽검정) 0.0 03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생활체육 축구회 활동을 하고 있는 축구회원들의 운동경력에 따라 사회적 효과를 비교한 결과, 축구회원들의 운동 경력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축구회의 활동을 통해 "다소 효과적이다"와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93.6%로 나타났으며, 특히 2-5년 참가 축구회원 그룹에서는 "다소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본 연구에서 생활체육 축구회원들이 체육활동을 함으로써 어떠한 효과를 기대하는 자와 건강과 축구회 활동 참여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효과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직업에 따라 운동 효과는 차이가 있다. 신체적 효과는 공무원과 회사원의 그룹에서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정신적 효과는 회사원의 그룹에서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사회적 효과는 공무원과 교육직의 그룹에서 "다소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생활체육 축구회원의 운동경력에 따라 운동효과는 차이가 있다. 신체적 효과는 2-5년 참가 축구회원 그룹에서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정신적 효과는 2-5년 참가 축구회원 그룹에서 "매우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사회적 효과는 2-5년 참가 축구회원 그룹에서 "다소 효과적이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참고문헌
1. 강신복. 1985. 체육진흥 장기 기본계획.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연구소.
2. 김성배. 1994. 모두가 함께 하는 생활체육.21세기교육사
3. 김용길. 1990. 사회체육론. 현문사.
4. 김태근. 1995. 국민의 생활체육 참여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학권. 1995. 주부의 생활체육 참여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명수. 1990. 사회체육 프로그램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임번장. 1991. 생활체육의 의의 및 필요성. 스포츠과학 제 35호.
8. 임번장. 1995. 국민 여가활동 실태 조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연구소
9. 임번장. 1997. 청소년 체육활동 욕구 실태 조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연구소.
10. 이종훈. 1986. 사회체육센터의 운영현황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홍기. 1995. 생활체육 축구회원들의 실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조갑회. 1984. 조기축구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3. 채서일. 1990.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법문사.
14. 체육청소년부. 1992. 현대사회와 각국의 생활체육. 체육청소년부.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3.25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