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단계에서『정치경제학』은 포지티브한 그 무엇으로서가 아니라 지배적인 담론에 대한 부정이라는 네가티브한 형태로서만 존재할 수 있다.
2. 맑스(주의)경제학은『정치경제학』을 구성하는 중요한 하나의 유산이지만『정치경제학』과 동의어는 될 수 없다.
3.『정치경제학』의 생명력은 주류경제학의 협소한 틀을 벗어나서 더욱 폭넓게 연구대상을 확장함으로써만 유지될 수 있다.
2. 맑스(주의)경제학은『정치경제학』을 구성하는 중요한 하나의 유산이지만『정치경제학』과 동의어는 될 수 없다.
3.『정치경제학』의 생명력은 주류경제학의 협소한 틀을 벗어나서 더욱 폭넓게 연구대상을 확장함으로써만 유지될 수 있다.
본문내용
파들 간의 물질적 이해관계의 반영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흐름과『정치경제학』의 차이가 무엇인가라는 점이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모든 이론이 궁극적으로는 당파적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계급 또는 계급내 분파들의 물질적 이해관계가 얽히는 순간, 이미 계급적 이해관계들은 초당파적 성격 또는 순수객관성을 표방하는 어떤 이론도 자신의 동지나 적으로 삼는 과정―물론 그 이론이 문제가 되는 현안(또는 주요모순?)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이러한 현실적 과정으로부터 격리되는 기간은 길어지겠지만―이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식론적 차원에서 진리 또는 과학성의 판별기준을 설정 또는 인정하는가의 여부는 이미 이론이 참가하는 실천의 場―또는 '이론적 실천'(?)의 영역―에서는 무의미한 논점으로 될 가능성이 크다.
) 예를 들어, 계급이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entry point)에 불과하며, 진리의 절대적 기준은 없다라고 보는 이른바 포스트모던 정치경제학적인 흐름이 결국『정치경제학』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일 것이다. 拙稿,「포스트모던 정치경제학 : 평가와 전망」,『정치경제학의 우회』(한울, 1998) 참조.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모든 이론이 궁극적으로는 당파적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계급 또는 계급내 분파들의 물질적 이해관계가 얽히는 순간, 이미 계급적 이해관계들은 초당파적 성격 또는 순수객관성을 표방하는 어떤 이론도 자신의 동지나 적으로 삼는 과정―물론 그 이론이 문제가 되는 현안(또는 주요모순?)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이러한 현실적 과정으로부터 격리되는 기간은 길어지겠지만―이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식론적 차원에서 진리 또는 과학성의 판별기준을 설정 또는 인정하는가의 여부는 이미 이론이 참가하는 실천의 場―또는 '이론적 실천'(?)의 영역―에서는 무의미한 논점으로 될 가능성이 크다.
) 예를 들어, 계급이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entry point)에 불과하며, 진리의 절대적 기준은 없다라고 보는 이른바 포스트모던 정치경제학적인 흐름이 결국『정치경제학』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일 것이다. 拙稿,「포스트모던 정치경제학 : 평가와 전망」,『정치경제학의 우회』(한울, 1998) 참조.
추천자료
시대적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 - 고대 경제사상, 중세의 경제사상, 중농주의 중상주의, 고...
근대, 현대경제학의 흐름(주류경제학과 비주류경제학으로 구분하여)
경제학 패러독스를 읽고 - 상상력과 경제학적 성과의 상관관계
[경제학][경제학 기본원칙][고전학파 경제학][후생경제학][유럽의 경제학][케인즈 경제학][경...
★일본 자민당 붕괴와 정치환경의 변화★
손해배상제도의 경제학적 의미, 소비와 절약의 경제학적 의미, 불법복제의 경제학적 의미, 전...
[역사학파][경제학파]역사학파(경제학파)의 이론, 역사학파(경제학파)의 배경, 역사학파(경제...
고전학파 경제학 존 스튜어트 밀의 일생과 자유론, 고전학파 경제학 존 스튜어트 밀의 경제사...
[경제학파][경제학][경제학이론][경제]케인즈학파(경제학파), 고전학파(경제학파), 조절학파(...
제도학파 경제학의 개념, 제도학파 경제학의 배경, 신제도학파 경제학의 성격, 신제도학파 경...
[복잡계경제학][지식기반경제학][사이버경제학][웹경제학][마르크스경제학][케인즈경제학][레...
보건경제학 - 경제학파(經濟學派)에 대해서 {경제학파의 정의, 고전학파, 마르크스학파, 한...
경제학개론_사람들은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경제학의 기본 전제를 설명하고 부합되는 예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