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전통시대 여성의 지위와 역할
2. 미모를 위해서는 굶어 죽기도했던
3. 소설『홍루몽』
4. 武則天(무칙천) - 중국사의 유일한 여성황제
5.장예모 감독의 작품을 통해 알아보는 중국의 여성 의식
6.생활문화
Ⅱ.본론
1.전통시대 여성의 지위와 역할
2. 미모를 위해서는 굶어 죽기도했던
3. 소설『홍루몽』
4. 武則天(무칙천) - 중국사의 유일한 여성황제
5.장예모 감독의 작품을 통해 알아보는 중국의 여성 의식
6.생활문화
본문내용
ovie/movie_516.htm
바.결론
지금까지 장예모 감독의 작품을 시대별로 몇 가지 작품을 살펴보았다. 붉은 수수밭이나 홍등에서는 매우 소극적이고, 가부장적인 중국 사회가 느껴졌다. 아주 여성들이 불쌍하고, 저러한 나라도 있구나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귀주이야기부터의 작품은 꼭 성적인 그러한 시각에서만 그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밖으로 마음껏 표출하는 적극적인 여성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는 중국의 여성상은 예전에는 매우 소극적인 여성상이었지만, 지금은 개방화되고 여인들의 자유로운 생각이 많이 나아진 거 같다. 하지만, 나라가 사회주의 국가이고 하다보니까 아무래도 여성들의 지위가 남성들에 비해 대단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소극적인 여성상이나 적극적인 여성상을 통해서 중국의 전통이나 사회적 상황을 알리려고 했던 장예모 감독이 세계적인 감독이 될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을 작품을 보고 감상을 하면서 느끼게 되었다.
6.생활문화
1.성문화
과거 봉건왕조의 불합리한 윤리덕목 때문에, 수많은 여성들은 질곡의 세월을 보내야만 했다. 전족은 그 시대의 여성의 암울했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악습이다. 문헌에 의하면 이 악습은 오대에 시작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발바닥을 거꾸로 뒤집어 초생달 모양을 만든 다음 비단으로 꽁꽁 묶어 자라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전족을 하면 자연 둔부가 이상적으로 비대해지고 아장아장 걸을 수 밖에 없다. 남당의 이후주는 귀빈들에게 전족을 시켜 하얀버선을 신고 춤을 추게 하면서, 마치 금빛 연꽃잎에 흰 구름이 맴도는 듯하다고 찬탄했다 한다. 송대에는 일반 귀족부녀자녀들에게 확대되었고 심지어 민간에까지 번졌다. 전족을 한 여인은 근복적으로 사회활동이 불가능하고 단지 남성들의 감상거리일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전족을 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잃는 여인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모든 면에서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주의 중국 수립 이후 여성은 '하늘 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말처럼 , 사회적으로 완전한 평등 혹은 그 이상의 권리를 획득했다. 모택동은 이제 시대가 변하여 남녀는 동등하다. 남성이 할 수 있는 일이면 여성도 할 수 있다고 했으며, 중국 정부의 방침도 남녀평등의 완전한 실현을 추구하고 있다. 3월 8일 국제 부녀절의 제정과 여성의 출산 휴가제, 동등한 승진권 등은 정부의 이러한 의지를 엿보게 한다.
여성권의 신장과 관련하여 생겨나는 사회 현상은 '음이 성하고 양이 쇠한다'라는 말로 대변된다. 몇가지 구체적은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직업 영역이 남성들의 전통적인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전체 고용인구의 여성비중이 44%에 달하고 전국 인민대표의 21.03%가 여성이다. 둘째, 일반 가정의 수입 중 여성 수입이 40%를 차지할 정도로 여성의 경제적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여성의 교육 수준이 날로 높아져, 여아의 취학율이 96.9%, 여대생 비율이 33.6%나 된다. 넷째, 여성의 결혼 조건이 변하였다. '삼고(키가크고,수입이 많고, 학력이 높음)'는 엘리트 청년이 갖추어야 할 필수 덕목이 되었다. 다섯째, 가정풍속도가 바뀌었다. 이제 가사와 육아는 여성의 독차지가 아니며, 중대한 가정사의 남성의 독단은 용납되지 않는다. 여섯째, 자유연애, 계약결혼, 국제결혼 등 결혼 형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여성 국제 결혼의 경우 91년도에 2천여 쌍이며, 특히 상해여성의 국제결혼율이 전체 90% 를 차지한다. 일곱째, 이혼이 늘고 있다. 1980년 결혼법의 재정 이후 매년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1994년 결혼한 929만 쌍중 이혼한 쌍이 98만 건으로 10%를 상회하고 있다. 게다가 이중 65%가 여성이 이혼을 요구했다. 심지어는 여성이 위자료를 제시하며 이혼을 요구하기도 하고 재혼을 원치 않는다. 그리고 대도시엔 독신여성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 남편들은 공처가이며, 단순히 아내의 말을 잘 듣는 경지를 넘어 아내로 부터 얼마나 신뢰를 받느냐의 단계에 진입했다. 이제 중국의 여성들은 과거 조용한 내조자 현숙한 어머니의 역할에서 더 나아가 능력있는 사회의 일꾼으로 활약하고 있다. 여성의 권리 확대 및 경제적 독립은 현대 사회의 대조류에 비추어 볼 때 대단히 긍정적이다. 그렇지만 이면엔 남성의 상대적 왜소화 가정의 부실화 및 파괴 등의 부정적인 요소가 도사리고 있다.
강준영·전병곤·지세화저,《한권으로이해하는중국》,(도서출판 지영사, 1997)P.286-287
2.
바.결론
지금까지 장예모 감독의 작품을 시대별로 몇 가지 작품을 살펴보았다. 붉은 수수밭이나 홍등에서는 매우 소극적이고, 가부장적인 중국 사회가 느껴졌다. 아주 여성들이 불쌍하고, 저러한 나라도 있구나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귀주이야기부터의 작품은 꼭 성적인 그러한 시각에서만 그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밖으로 마음껏 표출하는 적극적인 여성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는 중국의 여성상은 예전에는 매우 소극적인 여성상이었지만, 지금은 개방화되고 여인들의 자유로운 생각이 많이 나아진 거 같다. 하지만, 나라가 사회주의 국가이고 하다보니까 아무래도 여성들의 지위가 남성들에 비해 대단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소극적인 여성상이나 적극적인 여성상을 통해서 중국의 전통이나 사회적 상황을 알리려고 했던 장예모 감독이 세계적인 감독이 될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을 작품을 보고 감상을 하면서 느끼게 되었다.
6.생활문화
1.성문화
과거 봉건왕조의 불합리한 윤리덕목 때문에, 수많은 여성들은 질곡의 세월을 보내야만 했다. 전족은 그 시대의 여성의 암울했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악습이다. 문헌에 의하면 이 악습은 오대에 시작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발바닥을 거꾸로 뒤집어 초생달 모양을 만든 다음 비단으로 꽁꽁 묶어 자라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전족을 하면 자연 둔부가 이상적으로 비대해지고 아장아장 걸을 수 밖에 없다. 남당의 이후주는 귀빈들에게 전족을 시켜 하얀버선을 신고 춤을 추게 하면서, 마치 금빛 연꽃잎에 흰 구름이 맴도는 듯하다고 찬탄했다 한다. 송대에는 일반 귀족부녀자녀들에게 확대되었고 심지어 민간에까지 번졌다. 전족을 한 여인은 근복적으로 사회활동이 불가능하고 단지 남성들의 감상거리일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전족을 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잃는 여인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모든 면에서 평등을 주장하는 사회주의 중국 수립 이후 여성은 '하늘 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말처럼 , 사회적으로 완전한 평등 혹은 그 이상의 권리를 획득했다. 모택동은 이제 시대가 변하여 남녀는 동등하다. 남성이 할 수 있는 일이면 여성도 할 수 있다고 했으며, 중국 정부의 방침도 남녀평등의 완전한 실현을 추구하고 있다. 3월 8일 국제 부녀절의 제정과 여성의 출산 휴가제, 동등한 승진권 등은 정부의 이러한 의지를 엿보게 한다.
여성권의 신장과 관련하여 생겨나는 사회 현상은 '음이 성하고 양이 쇠한다'라는 말로 대변된다. 몇가지 구체적은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직업 영역이 남성들의 전통적인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전체 고용인구의 여성비중이 44%에 달하고 전국 인민대표의 21.03%가 여성이다. 둘째, 일반 가정의 수입 중 여성 수입이 40%를 차지할 정도로 여성의 경제적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 셋째, 여성의 교육 수준이 날로 높아져, 여아의 취학율이 96.9%, 여대생 비율이 33.6%나 된다. 넷째, 여성의 결혼 조건이 변하였다. '삼고(키가크고,수입이 많고, 학력이 높음)'는 엘리트 청년이 갖추어야 할 필수 덕목이 되었다. 다섯째, 가정풍속도가 바뀌었다. 이제 가사와 육아는 여성의 독차지가 아니며, 중대한 가정사의 남성의 독단은 용납되지 않는다. 여섯째, 자유연애, 계약결혼, 국제결혼 등 결혼 형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여성 국제 결혼의 경우 91년도에 2천여 쌍이며, 특히 상해여성의 국제결혼율이 전체 90% 를 차지한다. 일곱째, 이혼이 늘고 있다. 1980년 결혼법의 재정 이후 매년 이혼율이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1994년 결혼한 929만 쌍중 이혼한 쌍이 98만 건으로 10%를 상회하고 있다. 게다가 이중 65%가 여성이 이혼을 요구했다. 심지어는 여성이 위자료를 제시하며 이혼을 요구하기도 하고 재혼을 원치 않는다. 그리고 대도시엔 독신여성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 남편들은 공처가이며, 단순히 아내의 말을 잘 듣는 경지를 넘어 아내로 부터 얼마나 신뢰를 받느냐의 단계에 진입했다. 이제 중국의 여성들은 과거 조용한 내조자 현숙한 어머니의 역할에서 더 나아가 능력있는 사회의 일꾼으로 활약하고 있다. 여성의 권리 확대 및 경제적 독립은 현대 사회의 대조류에 비추어 볼 때 대단히 긍정적이다. 그렇지만 이면엔 남성의 상대적 왜소화 가정의 부실화 및 파괴 등의 부정적인 요소가 도사리고 있다.
강준영·전병곤·지세화저,《한권으로이해하는중국》,(도서출판 지영사, 1997)P.286-28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