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현실주의 계열
낭만주의 계열
혁명계열
주요작가와 작품활동
1. 魯迅(노신)
문학활동
작품
광인일기
공을기
약
고향
아큐정전
축복
술집에서
행복한 가정
하늘을 보수한 이야기
치수
2. 陳衡哲(진형철)
3. 汪敬熙(왕경희)
4. 楊振聲(양진성)
5. 葉紹鈞(엽/섭소균)
6. 謝冰心(1900~ )
7. 許地山(허지산)
8. 王統照(왕통조
9. 廬隱(려은)
10. 王魯彦(왕노언)
11. 郁達夫(욱달부)
12. 郭沫若(곽말약)
현실주의 계열
낭만주의 계열
혁명계열
주요작가와 작품활동
1. 魯迅(노신)
문학활동
작품
광인일기
공을기
약
고향
아큐정전
축복
술집에서
행복한 가정
하늘을 보수한 이야기
치수
2. 陳衡哲(진형철)
3. 汪敬熙(왕경희)
4. 楊振聲(양진성)
5. 葉紹鈞(엽/섭소균)
6. 謝冰心(1900~ )
7. 許地山(허지산)
8. 王統照(왕통조
9. 廬隱(려은)
10. 王魯彦(왕노언)
11. 郁達夫(욱달부)
12. 郭沫若(곽말약)
본문내용
나지 못하고, 시적 분위기조차 이루어지지 않는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그러나 당시 이들의 시들은 전통적인 형식을 탈피한 대담한 詩作로 독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때 이후 초기시인들의 의욕이 강렬해서 <<신청년>>에 매호 시들이 발표되었고, 1920년에는 최초의 현대시집인 호적의 <<嘗試集(상시집)>>이 출간되었다. 초기 현대시단은 호적의 詩體(시체)의 해방 제창아래, 그의 시론 <談新詩(담신시);신시를 말함>>을 기초로, 여러 시론과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역시 그것에 따른 詩作이론이나 작품생산은 이루지 못했다. 이에 兪平伯(유평백)은 "우리들 시를 짓는 사람들은 결코 형식상의 혁신으로 만족해서는 안된다. 우리들은 반드시 정신과 형식 양측을 모두 혁신해야 한다. 主義는 시의 정신이고, 예술은 시의 형식이다"라고 내용과 형식 모두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당시 시인은 아니지만 노신이 <<신청년>>에 唐俟(당사)라는 필명으로 현대시를 발표하고, 시를 쓴 동기를 '다만 그때에 시단이 너무 적막했기 때문에'라고 했는데, 문학혁명을 주도했던 작가들도 대부분이 현대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詩作에 참여했다.
1921년에는 郭沫若(곽말약)의 시집 <<女神(여신)>>은 반항정신과 낭만주의적인 시풍으로 인기를 누리면서 시단에 크게 활기를 더했다. 같은 해에 周作人은 일본의 短歌(단가)나 俳句(배구)와 같은 짧은 형식의 '小詩'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에 일본의 단가와 배구, 인도시인 타고르의 시집<<飛鳥集(비조집)>>등이 번역되었다. 1922년 1월에는 문학연구회는 중국최초의 시 전문지 <<詩(시)>>를 창간하였는데, 朱自淸(주자청), 劉延陵(유연릉), 兪平伯(유평백), 葉聖陶(엽성도), 王統照(왕통조), 鄭振鐸(정진탁), 徐玉諾(서옥락) 등의 의해 편집되었으나, 7기로 정간되었다. 같은해 湖畔詩人(호반시인)으로 불리는 樊漠華(번막화), 馮雪峰(풍설봉), 應修人(응수인), 汪靜之(왕정지)의 청년시인도 <<湖畔(호반)>>이란 공동시집을, 이어서 <<春的歌集;봄노래집>>을 출판하였다. 그러나, 역시 독자들로부터 외면당하였는데, 이는 '시의 音韻과 音節을 무시한다면 그것은 이미 시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는 것'이 그 이유였다. 1923년부터 시단은 그 당시 한계성을 드러낸 채 적막해졌다.
1926년때부터는 북경 <<晨報副刊(신보부간)·詩鐫(시전)>>이 창간되면서 徐志摩(서지마),聞一多(문일다)를 중심으로 方瑋德(방위덕), 陳夢家(진몽가), 劉夢葦(유몽위)등의 新月派(신월파)라 불리는 신진 시인들은 詩作과 시 연구를 하였다. 그들은 중국현대시의 한계의 원인을 '음률'을 무시한 것이라 여기고, 西洋詩의 格律을 도입하여 중국현대시의 새로운 格式과 音律 창조를 위해 노력하여 현대시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참고자료
중국현대문학사 - 김시준 / 지식산업사
중국현대단편선- 노신 외 / 혜원출판사
노신과 중국현대문학의 이해- 엄영욱 / 전남대 출판부
중국 현대시의 이해 -향원 / 중문
노신소설전집- 김시준 역 / 서울대학교출판부
중국문학사-김학주 / 신아사
이때 이후 초기시인들의 의욕이 강렬해서 <<신청년>>에 매호 시들이 발표되었고, 1920년에는 최초의 현대시집인 호적의 <<嘗試集(상시집)>>이 출간되었다. 초기 현대시단은 호적의 詩體(시체)의 해방 제창아래, 그의 시론 <談新詩(담신시);신시를 말함>>을 기초로, 여러 시론과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역시 그것에 따른 詩作이론이나 작품생산은 이루지 못했다. 이에 兪平伯(유평백)은 "우리들 시를 짓는 사람들은 결코 형식상의 혁신으로 만족해서는 안된다. 우리들은 반드시 정신과 형식 양측을 모두 혁신해야 한다. 主義는 시의 정신이고, 예술은 시의 형식이다"라고 내용과 형식 모두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당시 시인은 아니지만 노신이 <<신청년>>에 唐俟(당사)라는 필명으로 현대시를 발표하고, 시를 쓴 동기를 '다만 그때에 시단이 너무 적막했기 때문에'라고 했는데, 문학혁명을 주도했던 작가들도 대부분이 현대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詩作에 참여했다.
1921년에는 郭沫若(곽말약)의 시집 <<女神(여신)>>은 반항정신과 낭만주의적인 시풍으로 인기를 누리면서 시단에 크게 활기를 더했다. 같은 해에 周作人은 일본의 短歌(단가)나 俳句(배구)와 같은 짧은 형식의 '小詩'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에 일본의 단가와 배구, 인도시인 타고르의 시집<<飛鳥集(비조집)>>등이 번역되었다. 1922년 1월에는 문학연구회는 중국최초의 시 전문지 <<詩(시)>>를 창간하였는데, 朱自淸(주자청), 劉延陵(유연릉), 兪平伯(유평백), 葉聖陶(엽성도), 王統照(왕통조), 鄭振鐸(정진탁), 徐玉諾(서옥락) 등의 의해 편집되었으나, 7기로 정간되었다. 같은해 湖畔詩人(호반시인)으로 불리는 樊漠華(번막화), 馮雪峰(풍설봉), 應修人(응수인), 汪靜之(왕정지)의 청년시인도 <<湖畔(호반)>>이란 공동시집을, 이어서 <<春的歌集;봄노래집>>을 출판하였다. 그러나, 역시 독자들로부터 외면당하였는데, 이는 '시의 音韻과 音節을 무시한다면 그것은 이미 시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는 것'이 그 이유였다. 1923년부터 시단은 그 당시 한계성을 드러낸 채 적막해졌다.
1926년때부터는 북경 <<晨報副刊(신보부간)·詩鐫(시전)>>이 창간되면서 徐志摩(서지마),聞一多(문일다)를 중심으로 方瑋德(방위덕), 陳夢家(진몽가), 劉夢葦(유몽위)등의 新月派(신월파)라 불리는 신진 시인들은 詩作과 시 연구를 하였다. 그들은 중국현대시의 한계의 원인을 '음률'을 무시한 것이라 여기고, 西洋詩의 格律을 도입하여 중국현대시의 새로운 格式과 音律 창조를 위해 노력하여 현대시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참고자료
중국현대문학사 - 김시준 / 지식산업사
중국현대단편선- 노신 외 / 혜원출판사
노신과 중국현대문학의 이해- 엄영욱 / 전남대 출판부
중국 현대시의 이해 -향원 / 중문
노신소설전집- 김시준 역 / 서울대학교출판부
중국문학사-김학주 / 신아사
추천자료
중국현대사 - 5.4운동에 대한 연구
[현대문학사] 계몽주의 문학의 시대
루쉰과 현대문학
한국현대문학사1,2(권영민) 1896-2000 요약 정리
5·4 학생운동을 통해 본 중국 현대사에 대한 논의(중어중문학과 중국현대사)
대학교양강좌(대학교양강의)의 의의, 대학교양강좌(대학교양강의)의 서양문학교육과 교양국어...
[한국문학][문학][고전문학][현대문학]한국(한국문학) 고전문학, 한국(한국문학) 근대문학, ...
[민중][민중예술][민중시][한국현대문학][김태준][뷔히너][남미민중][인도민중]민중과 민중예...
[현대중국입문 공통] 가족은 예나 지금이나 중국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장이머우...
현대문학 - 조수리와 소이흑의 결혼
[현대중국입문]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인생(活着)>을 보고 주인공 푸꿰이(福貴)와 지아전(家...
현대중국입문 장이머우감독의 영화 \'인생(活着\')으로 보는 중국현대사
[현대문학사] 1930년~1945년대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