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함수는 변화의 언어이다
함수의 관계는 모두 몇 가지일까?
4000년전의 수학책
함수의 관계는 모두 몇 가지일까?
4000년전의 수학책
본문내용
가지 대응 중 함수에 의한 대응이 몇 가지인지 구할 수 있다. 이 때, 함수의 개수는 다음과 같이 그려보지 않고도 구할 수 있다.
X, Y의 원소의 개수를 각각 p, q라 할 때,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는 q의 p제곱(가지)이다.
즉, X={1, 2, 3}, Y={4, 5}일 때, X에서 Y로의 함수는 2×2×2(2의 세제곱) = 8(가지)이다.
X, Y의 원소의 개수를 각각 p, q라 할 때, X에서 Y로의 함수의 개수는 q의 p제곱(가지)이다.
즉, X={1, 2, 3}, Y={4, 5}일 때, X에서 Y로의 함수는 2×2×2(2의 세제곱) = 8(가지)이다.
추천자료
spss를 이용한 회귀분석
주가변동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양자역학][양자역학 EPR의 역리][양자역학과 흑체복사][양자역학과 장][양자역학과 불확정성...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단축키
등전위면 결과 레포트
간단한 주사위 게임
경마게임피피티(C언어)
[운영체제(OS) Shell(셸) 구현]운영체제(OS) Shell 구현 (소스포함)
수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목적과 효과, 수학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자료...
MATLAB 기초
[극한, 극한 정의, 극한 오개념, 극한 수학적 기초, 극한 학습지도, 극한 지도방향]극한의 정...
[기업 기법][원가추정기법][위험관리기법][기업설명회 기법][경영분석기법][고객만족경영기법...
효율성(비용지향적)평가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