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배경
2. 제1차러시아혁명
3. 2월혁명
4. 10월혁명
5. 명분과 실상
1. 배경
2. 제1차러시아혁명
3. 2월혁명
4. 10월혁명
5. 명분과 실상
본문내용
의적인 자유와 제도를 확립하겠다고 끈질기게 주장 ·약속해 온 레닌은 정권을 잡은 지 3일 만인 11월 10일 언론을 구속하는 법령을 공포하였다. 이어서 케렌스키의 임시정부에 의하여 11월 25일로 예정되었던 선거를 실시한 결과, 총 투표자 3600만 명 가운데 공산당을 지지한 자는 겨우 900만 명뿐, 유권자의 절대 다수가 레닌의 혁명정권을 반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닌은 18년 1월 18일에 소집된 제헌의회를 폭력으로 해산시키고 이에 항의하는 시민들에 대하여는 총탄으로 답하는 한편, 독재 즉 ‘어떤 것에 의해서도, 어떤 법률에 의해서도 절대로 구속되지 않고 직접 폭력에 입각하는 무제한의 권력’으로써 민주주의와 대치하였다.
이리하여 의회민주주의를 심어보려는 많은 사람들의 꿈은 산산조각이 났고, 그들이 타도한 황제보다도 훨씬 무자비한 공산당의 독재가 수립되었으며, ‘제헌국회의 죽음은 수난(受難)의 국가와 인민대중에게 새로운 고난을 예언하는 것’이라고 한 M.고리키의 예언은 불행하게도 적중하게 되었다. 철저히 계획된 속임수에 의하여, 낮고 뒤떨어진 생산력 위에 세워진 무제한의 폭력지배가 장차 나아갈 길은 처음부터 하나의 숙명으로서 마련되어 있었다.
이리하여 의회민주주의를 심어보려는 많은 사람들의 꿈은 산산조각이 났고, 그들이 타도한 황제보다도 훨씬 무자비한 공산당의 독재가 수립되었으며, ‘제헌국회의 죽음은 수난(受難)의 국가와 인민대중에게 새로운 고난을 예언하는 것’이라고 한 M.고리키의 예언은 불행하게도 적중하게 되었다. 철저히 계획된 속임수에 의하여, 낮고 뒤떨어진 생산력 위에 세워진 무제한의 폭력지배가 장차 나아갈 길은 처음부터 하나의 숙명으로서 마련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