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연
2. 주민
3. 역사
4. 정치
5. 경제
6. 사회
7. 문화
8. 과학기술
9. 대한관계
2. 주민
3. 역사
4. 정치
5. 경제
6. 사회
7. 문화
8. 과학기술
9. 대한관계
본문내용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음악가 펠라 쿠티(Fela Kuti)는 전통적인 요루바족(族)의 음악과 자유로운 재즈를 적절하게 혼합한 음악형태로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소니 아데(Sonny Ade)는 주술음악, 소니 오코순(Sonny Okosun)는 아프로-레게, 사데(Sade)는 솔뮤직으로 알려져 있다. 작가로는 노벨상을 수상한 올레 소잉카(Wole Soyinka) 외에 치누아 아체베(Chinua Achebe), 벤 오크리(Ben Okri)가 유명하다.
8. 과학기술
1886년 나이지리아의 케이블 와이어리스가 해저케이블을 구축하고 국제 통신을 시작하였고, 1985년 국내외 통신 사업을 담당할 나이지리안 텔레커뮤니케이션(NITEL)이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1998년 현재 144개의 통신 서비스 제공 면허가 발부되었다. 통신 정책의 수립 및 통신 사업자에 대한 주파수 할당 등과 같은 통신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연방통신부(FMOC)는 1990년 초 통신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 지침을 마련하였다. NITEL은 국내, 국제 통신 서비스를 독점하고 있으며, 36개주의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1996년 말 현재 회선 보급률은 0.36%이고, 교환기 디지털화율은 1997년 6월 현재 약 58% 정도 달성되었다.
셀룰러 전화 서비스는 NITEL과 모빌 텔레커뮤티케이션 서비스(MTS)사가 시작하였으나 1995년 말 MTS는 NITEL에 상호 접속료를 지불하지 않아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1996년 중반부터 NITEL의 서비스는 M-텔이 제공하고 있다. 1999년 현재 가입자수는 1만 명이다. 인터넷 서비스는 1998년 현재 29개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들이 면허를 취득하였고, 서비스를 제공중이지만 서버의 부족으로 서비스에 한계가 있다.
상업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국에 대한 면허가 1991년 자유화되었다. 방송산업의 규제 기관은 국가방송위원회이다. 전국방송을 실시하는 방송사는 국영방송사인 나이지리아 텔레비전국(NTA) 등 2개, 지역방송사는 클랩보드 텔레비전, 인디펜던트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IBN)와 미나자 시스템이 있으며 1999년 현재 총 14개사가 면허를 취득하였다.
9. 대한관계
나이지리아는 한국과 1980년 2월에 수교하고, 북한과는 1976년 5월에 수교하여 남·북한에 다같이 상주공관을 두고 있다. 1980년 10월에 나이지리아 하원의원단(下院議員團)이 방한하였고, 이후 경제교류·통상관계가 활발하다. 1982년 8월, 대통령 전두환(全斗換)은 아프리카 4개국 순방 길에 대통령 샤가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 경제협력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000년 7월에는 대통령 오바산조가 한국을 국빈 방문하였다. 양국은 1982년 경제과학 기술 협력협정, 1989년 해운협정, 1998년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현재 대(對)한국 수출 8만 7000달러, 수입 2억 4820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원유이며 수입품은 전자제품, 자동차, 섬유, 기계부품류 등이다. 2001년 3월 현재 교민은 100여 명, 체류자는 250여 명이다.
음악가 펠라 쿠티(Fela Kuti)는 전통적인 요루바족(族)의 음악과 자유로운 재즈를 적절하게 혼합한 음악형태로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소니 아데(Sonny Ade)는 주술음악, 소니 오코순(Sonny Okosun)는 아프로-레게, 사데(Sade)는 솔뮤직으로 알려져 있다. 작가로는 노벨상을 수상한 올레 소잉카(Wole Soyinka) 외에 치누아 아체베(Chinua Achebe), 벤 오크리(Ben Okri)가 유명하다.
8. 과학기술
1886년 나이지리아의 케이블 와이어리스가 해저케이블을 구축하고 국제 통신을 시작하였고, 1985년 국내외 통신 사업을 담당할 나이지리안 텔레커뮤니케이션(NITEL)이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1998년 현재 144개의 통신 서비스 제공 면허가 발부되었다. 통신 정책의 수립 및 통신 사업자에 대한 주파수 할당 등과 같은 통신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연방통신부(FMOC)는 1990년 초 통신 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 지침을 마련하였다. NITEL은 국내, 국제 통신 서비스를 독점하고 있으며, 36개주의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1996년 말 현재 회선 보급률은 0.36%이고, 교환기 디지털화율은 1997년 6월 현재 약 58% 정도 달성되었다.
셀룰러 전화 서비스는 NITEL과 모빌 텔레커뮤티케이션 서비스(MTS)사가 시작하였으나 1995년 말 MTS는 NITEL에 상호 접속료를 지불하지 않아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1996년 중반부터 NITEL의 서비스는 M-텔이 제공하고 있다. 1999년 현재 가입자수는 1만 명이다. 인터넷 서비스는 1998년 현재 29개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들이 면허를 취득하였고, 서비스를 제공중이지만 서버의 부족으로 서비스에 한계가 있다.
상업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국에 대한 면허가 1991년 자유화되었다. 방송산업의 규제 기관은 국가방송위원회이다. 전국방송을 실시하는 방송사는 국영방송사인 나이지리아 텔레비전국(NTA) 등 2개, 지역방송사는 클랩보드 텔레비전, 인디펜던트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IBN)와 미나자 시스템이 있으며 1999년 현재 총 14개사가 면허를 취득하였다.
9. 대한관계
나이지리아는 한국과 1980년 2월에 수교하고, 북한과는 1976년 5월에 수교하여 남·북한에 다같이 상주공관을 두고 있다. 1980년 10월에 나이지리아 하원의원단(下院議員團)이 방한하였고, 이후 경제교류·통상관계가 활발하다. 1982년 8월, 대통령 전두환(全斗換)은 아프리카 4개국 순방 길에 대통령 샤가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 경제협력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000년 7월에는 대통령 오바산조가 한국을 국빈 방문하였다. 양국은 1982년 경제과학 기술 협력협정, 1989년 해운협정, 1998년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현재 대(對)한국 수출 8만 7000달러, 수입 2억 4820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원유이며 수입품은 전자제품, 자동차, 섬유, 기계부품류 등이다. 2001년 3월 현재 교민은 100여 명, 체류자는 250여 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