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시의 전통과 도산십이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국문시의 존재형태

Ⅱ. 시조의 가창적 전통

Ⅲ. 도산십이곡

Ⅳ. 맺음

본문내용

이 있다고 보았을 것이다.
이별에서 퇴계가 긍정한 면은 현실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고결성이다. 그러한 고결성이 당시 方外人 타입의 인물들에서 보는 바, 사대부다운 생활과 정신질서의 파괴를 초래했거니와, 퇴계는 이와 다른 방향을 추구한 것이다. 요컨대, 속류적인 태도를 엄숙히 배격하고 내면적인 주체성을 지켜서 관조하는 학자적인 자세, 이것이 퇴계가 지향하는 바였다.
-543-
내적인 주체성은 理의 절대 존엄성을 강조해서 「理는 物을 命하지, 物의 命을 받지 않는다」라고 한 퇴계철학의 기본 입장으로, 곧 외물에 의해서 움직여질 수 없는 본연의 마음, 「순수 자아」를 지키는 자세이다.
) 理本其尊無對. 命物而不命於物. 非氣所當勝也 (「李子粹語」『增補退溪全書』V. 5, 216쪽)
여하한 권위에의 굴종도, 여하한 이욕에의 이끌림도 거부하고 옛성현의 길을 따르는 데서 본연의 마음은 지켜질 것이니, 『도산십이곡』에서
古人도 날 못보고 나도 古人 못뵈
古人을 못봐도 녀던길 앞에 있네
녀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고인이 가던 길이 앞에 있다지만 참다운 길은 결코 쉽게 찾아지는 것이 아니며 「성인도 못다 하시니 그 아니 어려운가」라고 할 만큼 그 길이 결코 가기 쉬운 길도 아니다. 끊임없는 지적 탐구와 실천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것이 곧 퇴계 생활의 학문과 수양이다.
한편 마음의 순수성을 지키려는 자세가 퇴계를 세속으로부터 유리시켜 자연에 친화하도록 하였다. 퇴계는 자신이 자연에서 소요하는 즐거움을 「심흉을 활짝 트이게 하고 정신을 말끔히 씻어주는 성정을 기르는 한가지 일이 되는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 每遇佳山麗水幽閒廻絶之處, 則或携壺獨往, 命侶俱遊, 嘯 終日而歸, 皆所以開豁心胸, 琉 精神 資養性情之一事. (「李子粹語」동상 302쪽)
『도산기』에서 말하기를, 도산서당에서 한거하는 중에 「스스로 마음에 즐거움이 얕지 않은 것이 비록 나타내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었다. 이에 각 장소에 따라 칠언 1수씩을 붙였다」고 했다.
) 其所以自娛悅於中者不淺, 雖欲無言而不可得也. 於是各逐處, 各以七言一首, 紀其事(『增輔 退溪全書』 V.1, 102쪽)
자연과의 친화에서 촉발되어 저절로 흘러나와 『도산잡영』이 읊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곧 퇴계의 문학이다.
-544-
『도산십이곡』은 여기에 가창에 대한 요구가 첨가되었을 뿐이다. 퇴계는 자기가 지은 이 노래의 효용성에 커다란 의의를 부여해서, 兒輩들로 하여금 배워서 노래하고 춤추게 하면 歌者와 聽者가 서로 「蕩滌鄙吝하고 感發融通」하는 유익함이 있게 될 것이라 했다.
) 欲使兒輩, 朝夕習而歌之 憑 而聽之, 亦令兒輩自歌而自舞蹈之, 庶幾可以蕩滌鄙吝 感發融通 而歌者與聽者不能無交有益焉. (「陶山十二曲跋」 동상 V. 1, 383쪽)
「兒輩」는 子姪들이나 門生들을 가리킬 것이며 「蕩滌鄙吝」은 마음에 끼인 세속의 더러움을 씻어낸다는 뜻이고, 「感發融通」은 순수한 마음이 느껴지고 융화된다는 뜻일 것이다. 「순수 자아」를 지키려는 학자의 예술적인 지향이기도 하다.
Ⅳ. 맺 음
위에 서술한 내용을 요약해서 결론을 삼아둔다.
一, 우리 나라 전통시대의 문학사에서 국문학의 존재 형태는, 한문학에 위축된 가운데 歌唱에 의해서 그 명맥이 유지되었다. 특히 고려말 이조전기의 국문시는 당시 문학의 담당층인 사대부들의 가창에 대한 요구에 의해서 발달되었다.
-545-
二, 원래 시조는 가창적·즉흥적·오락적인 것으로 발달하여, 이것이 관인 내지 사대부들의 생활 주변에서 하나의 풍류를 형성하고 있었다.
三, 『도산십이곡』 역시 가창적 전통의 소산이지만 즉흥적·오락적인 것은 아니었다. 즉, 일시의 유흥으로 불려졌던 것이 아니고 진지하게 창작된 것이다. 이에 국문시는 즉흥적인 오락물에서 본격적인 문학으로의 지향을 보여 주었다. 그 이후 鄭松江·尹孤山과 같은 국문시인들이 나와서 시조와 가사등 국문학 작품이 우리말로 아름답게 가꾸어지게 되었다.
四, 『도산십이곡』의 특징은 속기와 작위가 배제된 순수시라 할 것이다. 물론 근대 이후의 순문학·순수시와는 역사적 성격뿐 아니라 자체의 속성도 같지 않다. 동양문학의 일반 범주로는 한정시·자연시 계열에 속할 것이다. 내면적 주체성을 지키는 한 학자의 자득에서 流露된 것임이 특이하지만, 특히 퇴계 자신이 이 노래를 부르고 듣게 하면 인간들의 마음을 맑고 융화시키는 유익함이 있을 것이라고, 그 효용에 사회적 의의를 크게 부여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하나의 미학론으로 주목해야 할 것 같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4.26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