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비생 춘향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시냅스

2.연출자 의도

3.액팅

4.무대

5.조명

6.의상

7.음향

8.나의 생각

본문내용

그 내면에는 사랑이라는 힘이 작용하고 있겠지만 내면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도 거침이 없고 자신의 정절, 이도령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때로는 거칠게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는 아주 건강한 춘향이었다.
아주 재밌던 것은 춘향이 아주 구성진 전라도 사투리를 쓰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 얼마나 사실적인가?
기존의 춘향이들이 아주 우아하게 이야기를 하고 강인한 모습으로 자신의 정절을 지켜가는 것과는 많이 다르게 이 작품 속 춘향이는 선머슴 같다. 전라도 사투리를 구성지게 구사하며 월매에게 대들기도 하고 의견이 수렴 안될 때는 온몸으로 거부하는 적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춘향을 높이사는 그 정절이라는 것도 결국 지켜내기는 하나 충분히 인간적인 유혹과 고민을 한끝에 얻어낸 선택이라는 점에서 다르게 다가왔다.
춘향은 이몽룡이 떠나고 수청을 거부해서 옥살이를 하기 전까지의 춘향과 삼년 옥살이 끝에 죽을 날만 기다리는 춘향이로 나뉘어졌다.
전반부의 춘향이 그 재기 발랄함으로 인해 건강하고 능동적인 춘향이로 비췄다면 후반부의 춘향은 물론 능동적으로 자기선택을 해나가는 것이지만 꿈인지 현실인지 모를 상황을 통해 인간적인 고민을 하는 춘향으로 비췄다.
춘향의 정절이라는 것도 춘향의 능동적인 선택이라기 보다는 주변의 시선, 부담 등으로 인해 더 힘을 싣게 되는 것으로 보였다.
선머슴 같은 춘향, 인간적인 고민을 하는 춘향.
그래서 연극이 더 인간적으로 느껴졌고 유쾌하게 다가왔다.
재미난 재료의 의상, 웃음이 묻어나는 연극 소품들, 배우들의 감초 같은 연기로 인해 춘향에 대한 이해가 한층 더 깊어진 느낌이다.
4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4.27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