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 format에 대하여...(Dolby,SDS,DT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오디오 포맷
□ 총 페이지수 : 11
□ 목 차:

나름대로 열심히 정리를 했어요
도움이 되길 바래요

1. 돌비방식

2. DTS

3. CDS

4. SDDS

내용미리보기

1966년 영국의 돌비사(社)가 개발하였다. 테이프 리코더나 레코드 플레이어로 악음(樂音)을 재생할 때, 테이프 마찰음(고음역의 잡음)이나 럼블(rumble:모터로부터 턴테이블에 기계 진동을 전달하는 잡음)이 귀에 들리며, 동시에 잡음에 의해서 녹음신호가 변조되어 귀에 거슬리는 소리로 되는 수가 많다. 특히 녹음되어 있는 음의 레벨이 낮을 때 심하다. 이 잡음을 적게 하고 SN비(신호대잡음비:신호량과 잡음량과의 비)를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들으려는 녹음신호의 레벨이 크고 잡음과의 레벨차가 많을 때, 레벨이 작은 잡음은 잘 들리지 않는다는 마스킹의 원리를 응용한 것인데, 녹음신호와 잡음과의 레벨차가 일정 이하의 낮은 레벨로 녹음할 때는, 높은 음역의 작은 악음의 레벨을 높여 SN비를 크게 하고 재생시에는 그만큼 낮추면 테이프 마찰음 등 잡음이 적어진다. 돌비방식에는 레코드 제작에 사용하는 A타입과, 카세트테이프 레코더 등에 끼우는 간이형(簡易型)의 B타입 등이 있는데, B타입이 많이 보급되어 있다.

본문내용

타이타닉" 등 대부분의 블록버스터 음향영화들은 루카스필름 산하의 스카이워커 사운드에서 믹싱을 하고있다.
THX는 저음, 중음, 고음으로 적절히 음을 분리 재생을 한다. 이를 위해서 이 특성에 맞는 기자재를 지정하여 THX인증을 하였다. 모든 THX극장은 이 기자재를 사용하며 THX사운드 필름으로 음을 검사하고 난 뒤에야 극장에 THX인증을 내주었다.
최근에 THX 5.1은 돌비 디지털, DTS, SDDS를 사용한 디지털 사운드 방식으로 더욱더 선명하고 실감나는 영화음을 재생하게 된 것이다.
헐리우드의 B급 영화(전통 드라마가 아닌 SF나 호러처럼 다소 황당한 소재나 내용을 담았던 영화로 오늘날은 헐리우드에서 가장 선호하는 작품들이 되었다)들은 초기에 저예산의 35mm영화들이 많았다. "벤허", "아라비아의 로렌스" 등의 70mm영화들은 6트랙의 입체음향을 가졌지만 1970년대 초까지 35mm영화는 탁한 모노(Mono)음으로 지금과 같은 현실감있는 음향은 꿈과 같았다. 그러다 돌비 스테레오(Dolby Stereo)의 발표는 35mm영화에 입체음시대를 열었고 영화음향의 혁명과도 같았으나 초기에는 적용하는 영화들이 소수에 불과했다. 또하나 유니버설사가 발표한 센서라운드는 고음이 강했던 영화음에 저음을 보강하여 점차 극장에서 듣는 영화음의 질은 높아갔다. 1977년 조지 루카스의 "스타 워즈(Star Wars)"와 스티븐 스필버그의 "미지와의 조우(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는 돌비 스테레오로 제작되었고 전세계에 돌비를 보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스타 워즈"는 첨단의 특수효과와 음향효과 담았던 영화인데 조지 루카스는 자신이 만든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들에 음향에 큰불만을 있었다. 극장마다 너무나 다른 음향을 재생하였고 자신이 의도한 효과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스타 워즈"와 "제국의 역습(Star Wars:The Empire Strikes Back)", "레이더스(Raiders of the Lost Ark)" 등 자신이 제작한 영화들의 성공으로 엄청난 부를 쌓은 조지 루카스는 두가지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데 하나가 시각효과전문회사인 ILM(Industrial Light & Magic)이고 또 하나가 영화와 극장의 음향기준을 만든 THX 프로그램이었다. 1983년 "제다이의 귀환(Star Wars:Return of the Jedi)"의 발표와 동시에 미국에 2개 극장에 설치를 시작으로 THX 사운드 시스템이 설치되었고 그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웠다.
THX란 루카스의 제안으로 오디오 메이커인 스넬(Snell)의 톰린슨 홀먼에 의해 고안된 영화와 극장음향의 적정 기준을 말한다. THX의 이름은 조지 루카스의 영화 " THX 1138"과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Tomlison Holman's eXpriment의 약자다. 4채널(L, C, R, Sur)의 돌비 스테레오(돌비 A타입)를 모델로 보다 넓은 대역의 영화음을 재생하도록 영화음을 믹싱하고 극장의 모든 기자재 및 극장구조, 방음, 방진 등의 기준을 만들었다. 여기에 6개월마다 정기점검을 받아야 하며 최초 $ 20,000, 연 $ 2,000 정도의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사항을 만족시켜야 비로소 THX인증을 내준다. 이렇게 까다로운 기준 때문에 돌비와 같이 많은 극장에 보급할 수는 없었지만 이 기준으로 인해 전세계 모든 THX인증 극장은 비슷한 소리를 재생한다. 지금까지 전세계 600여개 극장이 THX극장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모든 극장은 THX가 선정한 THX인증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극장과 더불어 영화의 사운드트랙 믹싱을 루카스 필름 산하의 스카이워커 사운드에서 하고 있는데 모두 하나의 기준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는 것이다. 보다 실감나고 선명한 소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가 잘 아는 영화 "Terminator 2 (Judgment Day)", "Jurassic Park", "Titanic" 등의 영화가 모두 THX 사운드로 만든 영화로 지금까지 1,000여편의 영화들이 만들어졌고 이 영화들의 음향을 제대로 듣기 위해선 THX극장에 가야한다.
THX는 1994년 진일보한 디지털 사운드를 채용한 THX 5.1을 발표하였다. DTS, 돌비 디지털, SDDS의 3가지 5.1채널(L, C, R, L-Sur, R-Sur, LFE:Low Frequency Effect) 포맷을 도입하여 아날로그의 음역을 훨씬 초월하는 넓은 대역과 CD음질의 맑고 선명한 음향을 제공케 되었다. 그리고 계속 발전을 거듭하여 1999년에는 돌비와 더불어 돌비 디지털 서라운드 EX를 발표하는데 별도의 서라운드 채널을 1개 더 보강하여 6.1 채널을 가졌다. 이것은 스카이워커 사운드가 개발하여 모든 THX 극장에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런 강제적인 조항들로 인하여 THX는 영화음향을 획일화하고 발전을 저해한다는 시각도 있지만 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이런 얘기는 근거가 없다.
THX음향을 말로 설명하는 것은 사실 어렵지만 THX극장에 가면 다른 극장과 차별되는 넓은 대역의 음장과 풍부한 저음과 선명한 고음을 함께 재생하며 그 출력 또한 매우 높아 실감나는 현장감을 느끼게 된다. 음 분리도에 있어서도 뛰어난데 매번 영화가 상영하기 전에 THX 음향시험을 해야 하며 최근 선보이는 TEX 버전은 THX 5.1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현재 THX는 영화와 극장 그리고 가정극장(Home Theater) 분야에 인증을 내주고 있는데 가정극장에 경우 극장과는 약간 다르다. 일일이 각 가정의 음향을 검사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일단 각 음향기기를 제조하는 회사의 앰프와 스피커, LDP와 DVDP 등에 THX 기준을 제시하고 이 기기들에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넣게 하였으며 함께 설명서를 동봉하여 각 가정의 크기에 따른 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다.
참고로 THX는 돌비나 DTS, SDDS와 같은 음향의 포맷은 아니다. 음향의 기준을 세우고 모든 음향을 이 기준에 따라 제작하고 재생하는 것을 말하며 마치 KS마크가 가진 의미와 비슷한 영화음향의 표준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5.03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