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오디오 포맷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오디오 포맷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돌비 디지털(DOLBY DIGITAL)

2. DTS(Digital Theater Systems)

3. SDDS(Sony Dynamic Digital Sound)

4. SACD(Super Audio Compact Disc)

5.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

6. THX(Tomlinson Holman Exeperiment)

7. PCM(Pulse Code Modulation)

본문내용

역할을 하였지만 디지털 5.1채널(DTS, SRD, SDDS)은 서라운드가 좌, 우로 분리되었으며 전면의 스피커 이상으로 출력이 강해졌다. 요즘 디지털 사운드 영화를 유심히 보면 일부러 서라운드 채널의 입체음향효과를 노리는 장면이 새로 생긴 것을 알수있다. 예전에는 그러한 장면이 없었는데 음향기술의 발전은 영화의 화면까지도 바꿔놓고 있다.
[Power Amp.]
극장의 음의 출력을 내는 것이 파워 앰프인데 현재 THX 인증제품은 무수히 많으며 JBL사의 제품으로는 MPX 300, 600, 1200이 있다. 극장에서 파워앰프는 기본이 6개로 구성된다. 이것은 각 채널의 숫자로 THX 기준은 특정채널에 앰프를 더 설치하거나 줄일수가 없다. 극장 규모에 따라 6, 12, 18과 같이 설치를 한다.
[Cinema Processor]
영화의 녹음방식에 따라 다른 시네마 프로세서가 필요한데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돌비 스테레오(DOLBY STEREO)와 이를 발전시킨 돌비 SR(DOLBY STEREO SPECTRAL RECORDING)을 주로 사용하였다. 기타 울트라 스테레오 등의 시네마 프로세서가 있기는 했지만 대세는 돌비에 있었다. 그런 것이 92년 돌비 디지털, 93년 DTS, 94년 SDDS 등의 5.1채널 디지털 사운드가 발표되면서 시장은 3파전이 되었고 그중 나중에 만들어진 SDDS의 경우 미국내 최대의 극장 소유주인 콜럼비아/트라이 스타 즉, 소니가 만든 덕에 많은 수의 극장에 설치되었다. 시네마 프로세서는 컴퓨터의 CPU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음을 분리하여 각 채널의 파워앰프로 보내는 일을 한다.
PCM(Pulse Code Modulation)
PCM(Pulse Code Modulation)방식은 1937년 미국 ITT의 파리 연구소에 근무하던 영국인 A.H.Reeves에 발명된 이후 지금까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국내에 사용되는 PCM방식은 1970년대 일본에서 처음 도입하였고 1980년대 초반기부터는 북미에서 도입되었다.PBX를 유지 보수하는 엔지니어가 자세히 PCM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PABX에서 스위칭되는 음성정보들이 PCM통신방식을 따르기 때문이다.
PCM방식의 기본구성은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재생중계, 복호화 및 여파기의 각 부분으로 되어있다. 음성신호는 표본화된 다음에 시분할 다중화 된다. PCM 파형은 압축되어 양자화 및 부호화 되며 dial 신호용 pulse와 동기신호가 합성되어 전송로에 송출된다.
PCM방식은 흔히 CD나 DAT(Digital Audio Tape)등에서 사용된다.
PCM은 아날로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지털 설계이다. PCM 내의 신호들은 바이너리, 즉 논리 1(높음)과 논리 0(낮음)으로 표현되는 오직 두 가지 상태만이 가능하다. 아무리 복잡한 아날로그 파형이 있다해도 이것은 변하지 않는다. PCM을 사용하여 동영상 비디오, 음성, 음악, 원격측정, 그리고 가상 현실 등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펄스 변조 방식
펄스 변조 : 표본화 신호(펄스파)를 원래의 신호 모양에 따라서 조작하는 것.
① 펄스 진폭 변조 :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의 진폭을 변화시킴.
② 펄스 폭 변조 : 신호 레벨에 딸라 펄스폭(pulse duration)을 변화시킴.
③ 펄스 위상 변조 :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의 위상이 변함.
④ 펄스 주파수 변조 : 신호 레벨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됨. 신호 레벨이 크면 펄스주기가 짧아지고 주파수가 높아짐.
⑤ 펄스 수 변조 : 신호 레벨에 따라서 펄스 수를 변화시키는 것.
⑥ 펄스 부호 변조 : 신호 레벨에 따라 펄스 열의 유무를 변화시키는 것. 각 표본별로 그 신호 레벨을 일정 비트를 가지는 2진 부호로 바꾸어 부호화함.
⑦ 델타 변조 : 신호 레벨을 일정한 계단파에 근사화시켜 레벨이 커져 갈 때는 양의 펄스로, 작아져 갈 때는 음의 펄스로 바꿈.
2. 펄스 변조 회로
[1] 표본화의 PAM 변조 회로
① 원래의 신호를 표본화 하는 회로는 그대로 PAM 변조 회로가 된다.
[2] 펄스 폭 변조
① 신호파에 톱날파를 가해서 이것을 일정한 레벨로 자른 다음 증폭해서 만든다.
[3] 펄스 위상 변조파의 발생
① 신호파의 레벨에 대응시켜 펄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PPM파는 먼저 PWM 변조회로로써 PWM 파를 만든다.
② 다음 PWM파를 미분한 다음 다이오드로 양의 펄스만을 출력시켜서 만든다.
[4] 펄스 주파수 변조파의 발생
① 아날로그 변조에서 주파수 변조와 위상 변조의 경우와 같이 신호를 적분 회로를 통해서 PPM 회로에 가하면 PFM파가 얻어진다.
3. 펄스 복조 회로
펄스 복조 회로 : 수신측에서 수신한 펄스파에서 신호분(정보)을 빼내는 회로.
[1] 펄스 진폭 변조파의 복조 회로
① PAM파는 저역필터(적분회로)로 복조할 수 있다.
② 주파수 성분에 대해 생각하면 PAM파의 고주파 성분(펄스)이 콘덴서를 통해 접지로 흐르고 남은 신호분을 출력 단자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 펄스 폭 변조파의 복조 회로
① PWM파의 복조도 PAM과 같이 적분 회로로 할 수 있다.
[3] 펄스 위상 변조파의 복조 회로
① PPM파를 PAM파로 변환하고, PAM 복조 회로로 신호파를 빼냄.
[4] 펄스 주파수 변조파의 복조 회로
① PPM과 같게 해서 신호파를 빼냄.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www.dolby.com
www.dtsonline.com
www.sdds.com
www.sonymusic.com/sacd
www.thx.com
www.wassada.com
www.stardvd.com
www.artpark.pe.kr
www.naver.com
www.av.shtel.co.kr
www.syncfish.com
www.rockjoy.com
www.junkino.com
www.dvdmake.co.kr
www.audiofamily.co.kr
www.empas.com
www.helloec.net
'21C멀티미디어' (박길철외 사이텍미디어)
'로드쇼' 1987년 10월호
'중앙일보' 2002년 7월 11일자

키워드

디지털오디오,   돌비,   DTS,   SDDS,   SACD,   MPEG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02.11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