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MPEG란?
■ MPEG의 구성
■ MPEG-1
■ MPEG-2
■ MPEG-4
■ MPEG-7
■ MPEG의 구성
■ MPEG-1
■ MPEG-2
■ MPEG-4
■ MPEG-7
본문내용
on)
- 비디오 : 모양(shape), 크기(size), 질감(texture), 색상(color), 위치의 이동 (movement, and position) 등.
-오디오 : 키(key), 분위기(mood), 템포(tempo), 템포 변화(tempo changes), 음악적 공간에서의 위치(position in sound space) 등.
높은 추상 단계 기술(higher abstraction level description)
- 의미론적 정보(semantic information)
MPEG-7의 표준화 사항
기술자(Descriptors : D)와 기술 구조(Description Scheme : DS)
기술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기술정의언어(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 : DDL)
색인, 저장 및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사용될 코딩된 기술(Coded Description)
MPEG-7의 이용분야
- 인터넷 방송 및 대화형 멀티미디어 방송
- 원격 진료, 원격 공동 작업 및 원격 게임/오락
- 다채널(200~500채널)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선택
- 방송 자료(영화, 비디오, 음악 등) 분류, 저장 및 검색
- 대화형 멀티미디어 홈 쇼핑, 전자 박물관, 전자 도서관
- 대화형 교육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편집
- 에듀테인먼트(교육 + 오락) 컨텐츠 제작 및 편집
- 영화 컨텐츠 제작 및 편집
■ 오늘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자상거래, 교환, 전송 등을 위한 인프라가 점점 확대되어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많은 요소기술들이 개발됨으로서 MPEG-21의 표준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MPEG-21의 표준화 작업은 첫째로 이러한 여러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가를 이해하고, 둘째로 현존하고 있는 기술의 연결과 통합에 새로운 표준이 필요한가를 토의하며, 셋째로 위의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한 후 관련된 표준 및 기술을 통합하여 새로운 표준을 완성하는데 있다.
이와 관련된 핵심기술의 개발 및 통합은 MPEG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표준화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MPEG-21은 기존의 표준화작업을 모두 포함하여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종합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것이다. 앞으로 도래할 멀티미디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기술선진국의 대열에 들기 위해서는 MPEG-21에 관련된 원천기술의 보유가 필수적 요건이 될 것이다.
- 비디오 : 모양(shape), 크기(size), 질감(texture), 색상(color), 위치의 이동 (movement, and position) 등.
-오디오 : 키(key), 분위기(mood), 템포(tempo), 템포 변화(tempo changes), 음악적 공간에서의 위치(position in sound space) 등.
높은 추상 단계 기술(higher abstraction level description)
- 의미론적 정보(semantic information)
MPEG-7의 표준화 사항
기술자(Descriptors : D)와 기술 구조(Description Scheme : DS)
기술 구조를 표현하기 위한 기술정의언어(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 : DDL)
색인, 저장 및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사용될 코딩된 기술(Coded Description)
MPEG-7의 이용분야
- 인터넷 방송 및 대화형 멀티미디어 방송
- 원격 진료, 원격 공동 작업 및 원격 게임/오락
- 다채널(200~500채널)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선택
- 방송 자료(영화, 비디오, 음악 등) 분류, 저장 및 검색
- 대화형 멀티미디어 홈 쇼핑, 전자 박물관, 전자 도서관
- 대화형 교육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편집
- 에듀테인먼트(교육 + 오락) 컨텐츠 제작 및 편집
- 영화 컨텐츠 제작 및 편집
■ 오늘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자상거래, 교환, 전송 등을 위한 인프라가 점점 확대되어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많은 요소기술들이 개발됨으로서 MPEG-21의 표준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MPEG-21의 표준화 작업은 첫째로 이러한 여러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가를 이해하고, 둘째로 현존하고 있는 기술의 연결과 통합에 새로운 표준이 필요한가를 토의하며, 셋째로 위의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한 후 관련된 표준 및 기술을 통합하여 새로운 표준을 완성하는데 있다.
이와 관련된 핵심기술의 개발 및 통합은 MPEG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표준화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MPEG-21은 기존의 표준화작업을 모두 포함하여 멀티미디어에 관련된 종합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것이다. 앞으로 도래할 멀티미디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기술선진국의 대열에 들기 위해서는 MPEG-21에 관련된 원천기술의 보유가 필수적 요건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