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노인을 위한 간병인력의 개념과 필요성
1) 간병의 개념과 간병인력업무
2) 노인의 특성과 관련된 노인간병업무
3) 노인간병인력의 양성 및 지원의 필요성
3. 각국의 간병인력양성제도 및 운영프로그램
1) 일본의 간병인양성제도
2) 미국의 간병인력운영프로그램
4. 노인간병인력의 양성방안에 대한 제언
5. 결 론
< 참고 문헌>
2. 노인을 위한 간병인력의 개념과 필요성
1) 간병의 개념과 간병인력업무
2) 노인의 특성과 관련된 노인간병업무
3) 노인간병인력의 양성 및 지원의 필요성
3. 각국의 간병인력양성제도 및 운영프로그램
1) 일본의 간병인양성제도
2) 미국의 간병인력운영프로그램
4. 노인간병인력의 양성방안에 대한 제언
5. 결 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할 전망이며, 거동불편노인은 점차적으로 더 늘어만가고, 노인이 부담해야 하는 노인의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노인간병인력의 확보문제나 간병인력에 대한 비용부담감소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간병인력양성을 위한 한국적 함의로서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방안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간병인의 이수과목, 구체적 작업과정, 간병의 기술수준, 그리고 의무 등을 규정하는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양성교육체계가 제정되어야 하고, 둘째,이러한 교육체계에서 양성된 간병인력에 대해 실질적인 전문가로서 자격을 부여함과 동시에 간병인력의 입지를 세우는 법적, 제도적인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간병인력에 대한 현실적인 급여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넷째, 계속적인 간병인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화 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와 동시에 지역사회 내의 다른 간병인력자원과의 지원체계가 확립되어야 간병인력의 효율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노인이나 가족들의 간병인력에 대한 인식개선과 계속적인 홍보와 더불어 노인보호가정에 대한 심리, 정서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가족들의 부담감 감소 프로그램도 병행하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간병인력의 활성화된다면, 가정봉사원이 주력하고 있는 재가서비스와 연계하여 보건과 복지가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노인간병에 대한 사회적 해결방법을 마련하는 동시에 노인인구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국민위생동향, 후생통계협회, 1996.
김수춘외 6인, 노인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김정순, 宋永仙, 老人福祉法制의 改善, 한국법제연구원, 1995.12.
남정자외 4인, 지역보건의 정책과제와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사업지침, 1995.
서택임, 개호복지사양성상의 제문제, 老人問題硏究, vol. 14, no.1, 醫療と福祉聯合硏究會,
1993.
오성광·한동희, 노인의료공급의 활성화를 위한 노인병원제도의 도입방안, 韓國老年學,
17권 3호,1997.
의료보험연합회, 「일본의 노인보건의료와 건강보험의 급여제도」, 1994.
장영식외 4인, 신인구추계에 의한 인구규모 및 구조변동과 정책과제, 1996.
伊藤洋子, 特別養護老人home에 있어서 看護職의 役割, 老人問題硏究, vol. 14, no.1, 醫療と 福祉聯合硏究會, 1993.
井紀子, 노인홈에서의 간호란 무엇인가, 老人福祉, 103호, 1994.
前田大作, 일본의 기울어지는 가족보호와 공공서비스 역할의 확대, 『노인 보호시설과 부양체 계 의 한국적 모형개발』한국노년학회(편), 1995.
ふれあい ケア, 全國社會福祉協議會, 1997.
Brannon, Diane, Michael A. Smyer, Margaret D. Cohn, Lawrence Borchardt, Julie A.
Contributing to the Hospitalization of Nursing Home Residents. The Gerontologits, Vol.29, 502~510.
Family Caregiver Alliance, CRC Statewide Assement Database(1990-1992), 1996.
Gibson, Rose C., 미국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10년간의 연구 결과, 『노인 보호시설과 부양체 계의 한국적 모형개발』한국노년학회(편), 1995.
Kane, Rosalie A., Robert L. Kane, Sharon Arnold, Judith Garrard, Susan McDermott, and Loyd Kepferle (1988). Geriatric Nurse Practitioners as Nursing Home Employees: Implementing the Role. The Gerontologist, Vol.28, 469~477.
Kayser-Jones, J.S., Carolyn L. Wiener, and Joseph C. Barbaccia (1989). Factors
Landry, Gina M. Jay, Adam J. Garfein, Eileen Malonebeach, and Carla Walls (1988). A Job Diagnostic Survey of Nursing Home Caregivers: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The Gerontologist, Vol.28, 246~252.
Mintzer, Jacobo E., Linda Lewis, Leslye Pennypaker, William Simpson, David Bachman, Geroge Wohlreich, Alison Meeks, Steven Hunt, and Royce Sampson (1993). Behavioral Intensive Care Unit(BICU): A New Concept in the Management of Acute Agitated Behavior in Elderly Demented Patients. The Gerontologist, Vol.33, 801~806.
Pietrukowicz, Mary E. and Johnson, Mitzi M. S. (1991). Using Life Historis to Individualize Nursing Home Staff Attitudes Toward Residents. The Gerontologist, Vol.31, 102~106.
Reingold, Jacob, Helene D. Grossman, and Nelson Burros (1987). Merit Gram: A form of Recognition in a Long-Term Care Setting. The Gerontologist, Vol.27, 147~149.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Long-term Care: Diverse, Growing Population Includes Millions of Americans of All Ages, November 7, 1994.
< 참고 문헌>
국민위생동향, 후생통계협회, 1996.
김수춘외 6인, 노인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김정순, 宋永仙, 老人福祉法制의 改善, 한국법제연구원, 1995.12.
남정자외 4인, 지역보건의 정책과제와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보건복지부, 노인복지사업지침, 1995.
서택임, 개호복지사양성상의 제문제, 老人問題硏究, vol. 14, no.1, 醫療と福祉聯合硏究會,
1993.
오성광·한동희, 노인의료공급의 활성화를 위한 노인병원제도의 도입방안, 韓國老年學,
17권 3호,1997.
의료보험연합회, 「일본의 노인보건의료와 건강보험의 급여제도」, 1994.
장영식외 4인, 신인구추계에 의한 인구규모 및 구조변동과 정책과제, 1996.
伊藤洋子, 特別養護老人home에 있어서 看護職의 役割, 老人問題硏究, vol. 14, no.1, 醫療と 福祉聯合硏究會, 1993.
井紀子, 노인홈에서의 간호란 무엇인가, 老人福祉, 103호, 1994.
前田大作, 일본의 기울어지는 가족보호와 공공서비스 역할의 확대, 『노인 보호시설과 부양체 계 의 한국적 모형개발』한국노년학회(편), 1995.
ふれあい ケア, 全國社會福祉協議會, 1997.
Brannon, Diane, Michael A. Smyer, Margaret D. Cohn, Lawrence Borchardt, Julie A.
Contributing to the Hospitalization of Nursing Home Residents. The Gerontologits, Vol.29, 502~510.
Family Caregiver Alliance, CRC Statewide Assement Database(1990-1992), 1996.
Gibson, Rose C., 미국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10년간의 연구 결과, 『노인 보호시설과 부양체 계의 한국적 모형개발』한국노년학회(편), 1995.
Kane, Rosalie A., Robert L. Kane, Sharon Arnold, Judith Garrard, Susan McDermott, and Loyd Kepferle (1988). Geriatric Nurse Practitioners as Nursing Home Employees: Implementing the Role. The Gerontologist, Vol.28, 469~477.
Kayser-Jones, J.S., Carolyn L. Wiener, and Joseph C. Barbaccia (1989). Factors
Landry, Gina M. Jay, Adam J. Garfein, Eileen Malonebeach, and Carla Walls (1988). A Job Diagnostic Survey of Nursing Home Caregivers: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The Gerontologist, Vol.28, 246~252.
Mintzer, Jacobo E., Linda Lewis, Leslye Pennypaker, William Simpson, David Bachman, Geroge Wohlreich, Alison Meeks, Steven Hunt, and Royce Sampson (1993). Behavioral Intensive Care Unit(BICU): A New Concept in the Management of Acute Agitated Behavior in Elderly Demented Patients. The Gerontologist, Vol.33, 801~806.
Pietrukowicz, Mary E. and Johnson, Mitzi M. S. (1991). Using Life Historis to Individualize Nursing Home Staff Attitudes Toward Residents. The Gerontologist, Vol.31, 102~106.
Reingold, Jacob, Helene D. Grossman, and Nelson Burros (1987). Merit Gram: A form of Recognition in a Long-Term Care Setting. The Gerontologist, Vol.27, 147~149.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Long-term Care: Diverse, Growing Population Includes Millions of Americans of All Ages, November 7, 1994.
추천자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발전방안
치매노인의 건강관리방안 실증분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고령화 사회에 나타나는 노인문제중 노인의성생활의 실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문제...
고령화사회 나타나는 노인문제중 노인의료복지정책의 개념, 필요성,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
농촌노인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장기요양보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현재 노인복지 정책 중 노인장기요양 보장 제도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난 10년간 실시하면서 ...
치매, 중풍 등 다양한 노인성 질환을 노인의 입장과 가족의 입장에서 볼 때 가정보호와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