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비만이란?
*비만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비만을 계산하는 방법
Ⅰ. 비만
A. 비만의 정의
B. 비만의 개요
C. 비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D. 비만의 원인
E. 비반의 분류
F. 한의학적인 병리기전
*비만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비만을 계산하는 방법
Ⅰ. 비만
A. 비만의 정의
B. 비만의 개요
C. 비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D. 비만의 원인
E. 비반의 분류
F. 한의학적인 병리기전
본문내용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하고 지방조직으로 흘러 들어가 지방으로 변해 이것이 축적되어 비만이 발생하는 것이다. 비만체질자는 근육세포내에서 산소의 작용이 활발하지 못하여 결국 당이 이용되지 못하고 지방조직으로 흘러 들어가 지방으로 변하게 된다.
③ 지방세포의 양상에 따른 분류
⑴ 비대형: 지방세포의 수는 정상이고 크기만 증가하는 것으로 성인형 비만이 이에 속한다.
⑵ 증식형: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크기는 정상이고 각개의 지방함유량도 정상이다. 소아형 비만이 이에 속한다.
⑶ 혼합형: 세포의 수, 크기, 지방함량이 모두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형이다.
④ 축적된 신체부위에 따른 분류
⑴ 중심성: 주로 복부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남성은 WHR(weist/hip ratio)이 1이상일때를, 여성은 WHR이 0.9이상을 중심성 비만으로 분류한다.
⑵ 말초성: 엉덩이나 허벅지 또는 어깨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살은 쪄 있지만 남성은 WHR이 1미만일 때를, 여성은 0.9 미만일 때 말초성 비만으로 분류한다.
⑤ 한의학적 분류
⑴ 脾虛 水濕停滯型
⑵ 痰飮型
⑶ 陽虛 水濕型
⑷ 食積型
⑸ 肝鬱型
⑹ 瘀血型
F. 한의학적인 병리기전
한의학 문헌에 나타난 비만증의 병기를 종합하여 보면 膏梁厚味한 음식을 과식하거나 다식하면 비위의 운화작용을 실조케 하고, 비위의 운화기능이 실조되면 열을 발생하며 열이 성하면 진액을 灼하고 음액이 耗傷하여 음식을 구하게 되므로, 음식섭취가 왕성케 되어 비만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氣虛하면 운화기능이 무력하여지고, 이차적으로 濕痰이 발생하여 비만을 야기하며, 濕痰은 체내의 수액대사기능이 실조하여 나타난 병리적 산물임과 동시에 체내의 수액대사를 실조케 하는 요인으로 濕痰이 체내에 형성되면 비만을 야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氣虛와 濕痰과의 관계는 밀접한데 氣虛하면 水濕을 운화하는 기능이 무력하여져서 이차적으로 濕痰을 유발시키며 반대로 濕痰이 체내에 형성되면 氣의 운행을 무력하게 하므로 氣虛를 유발하기도 하는 상호전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만증과 장부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로 脾와 肺, 腎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비만증을 야기하는 주요인인 濕이나 痰과 같은 인자들은 인체의 수액대사가 실조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인체의 수액대사는 주로 肺의 宣發과 肅降, 脾의 運化輸布 및 身의 蒸騰氣化와 같은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③ 지방세포의 양상에 따른 분류
⑴ 비대형: 지방세포의 수는 정상이고 크기만 증가하는 것으로 성인형 비만이 이에 속한다.
⑵ 증식형: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크기는 정상이고 각개의 지방함유량도 정상이다. 소아형 비만이 이에 속한다.
⑶ 혼합형: 세포의 수, 크기, 지방함량이 모두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형이다.
④ 축적된 신체부위에 따른 분류
⑴ 중심성: 주로 복부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남성은 WHR(weist/hip ratio)이 1이상일때를, 여성은 WHR이 0.9이상을 중심성 비만으로 분류한다.
⑵ 말초성: 엉덩이나 허벅지 또는 어깨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살은 쪄 있지만 남성은 WHR이 1미만일 때를, 여성은 0.9 미만일 때 말초성 비만으로 분류한다.
⑤ 한의학적 분류
⑴ 脾虛 水濕停滯型
⑵ 痰飮型
⑶ 陽虛 水濕型
⑷ 食積型
⑸ 肝鬱型
⑹ 瘀血型
F. 한의학적인 병리기전
한의학 문헌에 나타난 비만증의 병기를 종합하여 보면 膏梁厚味한 음식을 과식하거나 다식하면 비위의 운화작용을 실조케 하고, 비위의 운화기능이 실조되면 열을 발생하며 열이 성하면 진액을 灼하고 음액이 耗傷하여 음식을 구하게 되므로, 음식섭취가 왕성케 되어 비만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氣虛하면 운화기능이 무력하여지고, 이차적으로 濕痰이 발생하여 비만을 야기하며, 濕痰은 체내의 수액대사기능이 실조하여 나타난 병리적 산물임과 동시에 체내의 수액대사를 실조케 하는 요인으로 濕痰이 체내에 형성되면 비만을 야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氣虛와 濕痰과의 관계는 밀접한데 氣虛하면 水濕을 운화하는 기능이 무력하여져서 이차적으로 濕痰을 유발시키며 반대로 濕痰이 체내에 형성되면 氣의 운행을 무력하게 하므로 氣虛를 유발하기도 하는 상호전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만증과 장부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주로 脾와 肺, 腎이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비만증을 야기하는 주요인인 濕이나 痰과 같은 인자들은 인체의 수액대사가 실조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인체의 수액대사는 주로 肺의 宣發과 肅降, 脾의 運化輸布 및 身의 蒸騰氣化와 같은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추천자료
비만(비만의 규정, 발명, 이상비만, 체중감량, 등)에 대하여 쓰시오
비만(비만의규정, 발명, 이상비만, 체중감량)에 대하여
비만,비만질병,식욕,비만판정
알코올과 비만 (알코올과 비만의 관계)
알코올과 비만 (알코올과 비만의 관계)
비만의 정의와 이해를 통한 비만관리법과 치료 방안 (다이어트등-올바른 식단포함)
[소아비만] 소아비만의 원인과 문제점 및 치료방안
[아동비만] 아동비만의 예방과 치료방법
아동비만의 원인과 증상 (아동비만의 원인과 증상, 문제점과 아동비만의 해결방안)
★ 아동비만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 ☆ (아동비만의 현황·실태·원인, 아동비만 정책과 프로...
유아비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자신의 견해 [유아비만]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분석 및 비만의 해결 방안
비만의 원인과 증상, 비만 임상검사, 비만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식이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