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전원 15V, 10V에 근사했다.
두 개의 전원이 동시에 동작할 때의 영향에선 측정치 또한 이론적으로 거의 맞았으나 계산치에서 VPS2의 R3에 대한 전류, 전압값이 (-)가 나왔는데 이는 방향고려(전류/전압강하) 때문이라 생각한다. 결국 두 전원에 대한 전류, 전압의 합은 측정치와 약간의 오차가 있기는 하지만 거의 같다.
테브냉의 정리에서 계산치 VTH, RTH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했다.
실험회로 그림 7.3에서 R5를 제거하면 (a)과 같은 회로로 볼 수 있으므로
그림 7.3 (a)
{ V}_{TH }
=
{ V}_{ BC}
=
{ V}_{ BD}
-
{ V}_{CD }
=
{ { R}_{4 } } over {( { R}_{1 }+ { R}_{4 }) }
×V -
{ { R}_{ 3} } over {( { R}_{2 }+ { R}_{3 }) }
×V
= 8.19 - 11.11 = -3.57V
회로에서 전압원을 단락시키면 (b)와 같은 회로가 되므로
{ R}_{TH }
=
{ R}_{ BC}
=
{ R}_{ 1}
//
{ R}_{4 }
+
{ R }_{2 }
//
{ R}_{3 }
= 213.14 + 258.82
= 471.96Ω
따라서,
{ I}_{ TH}
=
{ { V}_{TH } } over { { R}_{TH } }
=
{ 3.57} over {471.96 }
= 7.56㎃
(b)
이는 측정치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 V}_{TH }
와
{ R}_{TH }
의 측정치와 계산치가 거의 같았음에도
{ I}_{ L}
의 원회로와 테브냉의 등가회로의 측정치는 근사했으나, 계산치는 그보다 약 3㎃가 높게 나왔다. 두 세번 다시 계산해 보았음에도 역시 같은 값이었다.
그럼 측정치가 잘못되었다는 것인데 회로 또한 이상이 없어 문제점을 찾을 수가 없
었다. 부하저항 330Ω만을 놓고 했는데 1000Ω과 3300Ω으로 바꿔가며 또한 해보았다면 좋은 비교를 할 수 있었을거라 생각된다.
중첩의 원리【실험3】에서 회로를 구성한 다음 전원공급기를 연결하려고 할 때, 전원공급기에 over-current(과부하)가 일어났다. 회로에 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스파크가 일어났는데 회로에는 이상이 없었다. 결국 교수님에 의해 전원공급기의 A채널과 B채널에 각각 걸려있는 ground(그라운드)때문이란 것을 알 수 있었고 작은 쇠붙이같은 ground를 빼주니까 과부하가 없어져 제대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전에 자세히 보지 못했던 그 쇠붙이가 ground라는 것을 처음 알았고 개인적으로 교수님께 질문해 복잡한 회로인 경우 회로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ground가 noise(잡음)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는 걸 알았으나 정확하게 개념이 서지 않는다. ground가 전원공급기에 왜 필요한지, 전원공급기의 양 채널에 걸려 있을때와 빼줄 때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또,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PSpice프로그램에서 간단한 회로설계에 있어서도 접지를 붙여야만 시뮬레이션이 돌아가는데 이는 왜 그런것일까?
두 개의 전원이 동시에 동작할 때의 영향에선 측정치 또한 이론적으로 거의 맞았으나 계산치에서 VPS2의 R3에 대한 전류, 전압값이 (-)가 나왔는데 이는 방향고려(전류/전압강하) 때문이라 생각한다. 결국 두 전원에 대한 전류, 전압의 합은 측정치와 약간의 오차가 있기는 하지만 거의 같다.
테브냉의 정리에서 계산치 VTH, RTH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했다.
실험회로 그림 7.3에서 R5를 제거하면 (a)과 같은 회로로 볼 수 있으므로
그림 7.3 (a)
{ V}_{TH }
=
{ V}_{ BC}
=
{ V}_{ BD}
-
{ V}_{CD }
=
{ { R}_{4 } } over {( { R}_{1 }+ { R}_{4 }) }
×V -
{ { R}_{ 3} } over {( { R}_{2 }+ { R}_{3 }) }
×V
= 8.19 - 11.11 = -3.57V
회로에서 전압원을 단락시키면 (b)와 같은 회로가 되므로
{ R}_{TH }
=
{ R}_{ BC}
=
{ R}_{ 1}
//
{ R}_{4 }
+
{ R }_{2 }
//
{ R}_{3 }
= 213.14 + 258.82
= 471.96Ω
따라서,
{ I}_{ TH}
=
{ { V}_{TH } } over { { R}_{TH } }
=
{ 3.57} over {471.96 }
= 7.56㎃
(b)
이는 측정치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 V}_{TH }
와
{ R}_{TH }
의 측정치와 계산치가 거의 같았음에도
{ I}_{ L}
의 원회로와 테브냉의 등가회로의 측정치는 근사했으나, 계산치는 그보다 약 3㎃가 높게 나왔다. 두 세번 다시 계산해 보았음에도 역시 같은 값이었다.
그럼 측정치가 잘못되었다는 것인데 회로 또한 이상이 없어 문제점을 찾을 수가 없
었다. 부하저항 330Ω만을 놓고 했는데 1000Ω과 3300Ω으로 바꿔가며 또한 해보았다면 좋은 비교를 할 수 있었을거라 생각된다.
중첩의 원리【실험3】에서 회로를 구성한 다음 전원공급기를 연결하려고 할 때, 전원공급기에 over-current(과부하)가 일어났다. 회로에 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스파크가 일어났는데 회로에는 이상이 없었다. 결국 교수님에 의해 전원공급기의 A채널과 B채널에 각각 걸려있는 ground(그라운드)때문이란 것을 알 수 있었고 작은 쇠붙이같은 ground를 빼주니까 과부하가 없어져 제대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전에 자세히 보지 못했던 그 쇠붙이가 ground라는 것을 처음 알았고 개인적으로 교수님께 질문해 복잡한 회로인 경우 회로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ground가 noise(잡음)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는 걸 알았으나 정확하게 개념이 서지 않는다. ground가 전원공급기에 왜 필요한지, 전원공급기의 양 채널에 걸려 있을때와 빼줄 때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또,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PSpice프로그램에서 간단한 회로설계에 있어서도 접지를 붙여야만 시뮬레이션이 돌아가는데 이는 왜 그런것일까?
추천자료
기초 회로 실험 예비레포트 01.R-L-C수동소자
[기초회로실험][예비]OP-AMP 증폭실험
RC 회로 주파수 응답
테브닌등가회로 리포트(예비+결과)
직렬회로의 전압전류 측정, 전압분배 및 KVL 레포트(예비+결과)
자판기회로 설계 결과 보고서
클램핑 회로 (Clamping circuit) (예비 레포트)
클리핑 회로 (clipper) (예비 레포트)
디지털 논리회로(2진 시스템 부울대수와 드모르간의 정리 활용법)
[전자회로실험] OP앰프 기본 원리1) 실험 1. 반전 증폭기2) 실험 2. 비반전 증폭기3) 실험 3....
[전자회로실험] 1. 접합 다이오드, 2. 다이오드 리미터와 클램퍼 - 실험목적, 이론, 결과 및 ...
평형 브리지회로
A+받은 기초전기회로실험 (예비보고서) 3주차 - 실험 16. 키르히호프 전압법칙(단일전원) &am...
선형회로에서의_최대_전송_구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