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의 전력 사용 및 관련 현황
2. 최대 전력 전송 이론
3. 연구 방법 및 과정
1) 부하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력계산
2) 미분을 이용한 수치 계산
4. 연구 결과와 적용 가능성
-참고자료
2. 최대 전력 전송 이론
3. 연구 방법 및 과정
1) 부하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력계산
2) 미분을 이용한 수치 계산
4. 연구 결과와 적용 가능성
-참고자료
본문내용
저항 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른 부하 저항에 걸리는 전력 을
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0
150
350
0
10
150
350
54.44
20
150
350
84.78
30
150
350
113.43
40
150
350
135.73
50
150
350
153.13
60
150
350
166.67
70
150
350
177.17
80
150
350
185.26
90
150
350
191.41
100
150
350
196
110
150
350
199.33
120
150
350
201.64
130
150
350
203.13
140
150
350
203.92
150
150
350
204.17
160
150
350
203.95
170
150
350
203.37
180
150
350
202.48
190
150
350
201.34
200
150
350
200
2) 미분을 이용한 수치 계산
부하저항의 크기가 어느 정도일 때 최대 전력 전송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그래프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0이 되는 부하저항의 값을 찾는다. (최대 전력에서 기울기가 0이 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식을 미분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에서 을 에 대하여 미분하고 미분한 값을 0으로 지정한다.
Alexander Sadiku ,『회로이론』, McGraw-Hill Korea, 2007, p.163.
4. 연구 결과와 적용 가능성
본 논문은 부하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력계산과 미분을 이용한 수치 계산 두 가지 모두를 통하여 이 와 같을 때 에 걸리는 전력인 이 최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전원으로부터 직렬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내부저항을 회로의 저항과 같을 때 일정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조명에서는 최대한의 밝기를 낼 수 있고, 청소기는 가장 강력하게 먼지를 흡수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자제품의 내부 저항 규격을 와 같게 하여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가정마다 가 다르고 각각 전자제품이 회로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 이 연구의 한계이다.
참고 자료
Alexander Sadiku ,『회로이론』, McGraw-Hill Korea, 2007.
대한전자공학회,『기초 전기 전자 공학 실험』, 교학사, 2006.
박재찬,「전력낭비 ‘심각’… 펑펑 쓰더니 OECD 평균 사용량 1.7배」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980686&cp=nv, 2010년 12월 23일.
유형준,「IDT코리아, TFT 단일 전력관리칩 출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0&aid=0002087737, 2010년 12월 23일.
이경민, 「룩센, 전력관리 IC 시장에 '도전장'」,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012140030, 2010년 12월 23일.
부록
IDT코리아사의 VDAP1000
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0
150
350
0
10
150
350
54.44
20
150
350
84.78
30
150
350
113.43
40
150
350
135.73
50
150
350
153.13
60
150
350
166.67
70
150
350
177.17
80
150
350
185.26
90
150
350
191.41
100
150
350
196
110
150
350
199.33
120
150
350
201.64
130
150
350
203.13
140
150
350
203.92
150
150
350
204.17
160
150
350
203.95
170
150
350
203.37
180
150
350
202.48
190
150
350
201.34
200
150
350
200
2) 미분을 이용한 수치 계산
부하저항의 크기가 어느 정도일 때 최대 전력 전송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그래프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0이 되는 부하저항의 값을 찾는다. (최대 전력에서 기울기가 0이 되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식을 미분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에서 을 에 대하여 미분하고 미분한 값을 0으로 지정한다.
Alexander Sadiku ,『회로이론』, McGraw-Hill Korea, 2007, p.163.
4. 연구 결과와 적용 가능성
본 논문은 부하저항의 크기 변화에 따른 전력계산과 미분을 이용한 수치 계산 두 가지 모두를 통하여 이 와 같을 때 에 걸리는 전력인 이 최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전원으로부터 직렬로 연결된 전자제품의 내부저항을 회로의 저항과 같을 때 일정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조명에서는 최대한의 밝기를 낼 수 있고, 청소기는 가장 강력하게 먼지를 흡수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자제품의 내부 저항 규격을 와 같게 하여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가정마다 가 다르고 각각 전자제품이 회로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 이 연구의 한계이다.
참고 자료
Alexander Sadiku ,『회로이론』, McGraw-Hill Korea, 2007.
대한전자공학회,『기초 전기 전자 공학 실험』, 교학사, 2006.
박재찬,「전력낭비 ‘심각’… 펑펑 쓰더니 OECD 평균 사용량 1.7배」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980686&cp=nv, 2010년 12월 23일.
유형준,「IDT코리아, TFT 단일 전력관리칩 출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0&aid=0002087737, 2010년 12월 23일.
이경민, 「룩센, 전력관리 IC 시장에 '도전장'」,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1012140030, 2010년 12월 23일.
부록
IDT코리아사의 VDAP1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