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논
Ⅱ. 한국종합주가지수 수익율 비교
Ⅲ. 개별주식의 수익률자료가 상이할 수 있는 근거
Ⅴ. 가상적인 연구결과 비교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한국종합주가지수 수익율 비교
Ⅲ. 개별주식의 수익률자료가 상이할 수 있는 근거
Ⅴ. 가상적인 연구결과 비교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본문내용
있는데,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수수익률을 이용하기 보다는 통제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이용하여 초과수익률을 측정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피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사료된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한국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일별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5,271개의 14.7%에 이르는 775개의 수익률이 상이하며, 이중에서 331개 수익률의 경우 차이가 1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를 초과할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두 데이터베이스의 수익률을 「증권시장」지와 비교하였다. 한증연의 경우 일별 지수수익률의 12.9%가 「증권시장」지와 상이하였으며, 한신평의 경우 2.1%가 「증권시장」지와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론 「증권시장」지의 자료가 가장 정확하다고 확언할 수 없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두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을 논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두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가 「증권시장」지와 크게 다르다는 것은 두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에 의문점을 던지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재무관리에서 실증연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주가자료는 재무관리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나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이 바로 자본시장의 발달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라고 주장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는다. 수익률 계산 방법이 비논리적이거나 또는 자료에 많은 실수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재무관리 학문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학계는 논리적인 수익률 계산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정확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실증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였으나 자료의 방대함 등으로 인해 분석이 심도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가 추상적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던 문제점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이고 체계적으로 언급했다는 점에서 만족하며 보다 자세한 비교 분석은 차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두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심도있게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별수익률 자료를 비교하여야 하나 본 연구가 월별수익률 자료의 비교에만 한정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생각된다. 재무관리의 실증연구에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최종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가의 결론은 대단히 중요하며 필요하다. 저자들은 이런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저자들이 추측하듯이 만일 두 데이터베이스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모두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면 불행히도 우리는 어떤 결론도 내릴 수 없을지도 모른다.
參考文獻
1.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 KIS-DISKETTE MANUAL, 1997, 95쪽.
2. 한국종합주가지수, 한국증권거래소, 1990, 601쪽.
3. 한국증권연구원, "98 KSRI-Stock Database" 사용자 설명서, 1998, 39쪽.
4. 한국증권시장지, 1990년 3월 28일, 업무규정세칙 개정, 4-5.
5. 임병균, 1997, IPO주식의 장단기 성과와 영업성과, 재무관리연구 제14권 제2호, 253-271.
6. 윤평식, 김정국, 정기호, 1998, 배당락일의 주가조정에 관한 연구, 증권학회지 제22집, 111-137.
7. 윤평식, 김철중, 1997, 기업공개전 무상증자의 실시동기와 영향, 재무관리연구 제14권 제3호, 203-229.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Two Korean Stock
Returns Databases: KIS-SMAT and KSRI-SD
Yoon, Pyung-Sig·Kim, Chul-Joong
This paper examines the reliability of two commonly-used stock return databases, KIS-SMAT and KSRI-SD, by directly comparing daily KOSPI returns (for 1981 through 1997) and monthly individual stock returns (for 1988 through 1997)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s.
First,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even in daily index returns, although most of them appeared in early 80s. Secondly, the average monthly returns of the most widely-used KIS-SMAT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KSRI-SD. Finally, we showed that empirical result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what database to use, by examining the long-run performance of IPO firms and determinants of ex-dividend abnormal returns.
Although we find that two databases are quite different and that these differences may cause different empirical conclusion, we are not able to conclude which database is more reliable. Given the importance of empirical works in finance area, more comprehensive comparis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make sure that our empirical research are based on correct stock returns.
Key Words :
stock return database reliability, empirical study, KIS-SMAT, KSRI-SD
더욱 놀라운 사실은 두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한국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일별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5,271개의 14.7%에 이르는 775개의 수익률이 상이하며, 이중에서 331개 수익률의 경우 차이가 1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를 초과할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두 데이터베이스의 수익률을 「증권시장」지와 비교하였다. 한증연의 경우 일별 지수수익률의 12.9%가 「증권시장」지와 상이하였으며, 한신평의 경우 2.1%가 「증권시장」지와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론 「증권시장」지의 자료가 가장 정확하다고 확언할 수 없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두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을 논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두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가 「증권시장」지와 크게 다르다는 것은 두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에 의문점을 던지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재무관리에서 실증연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주가자료는 재무관리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나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이 바로 자본시장의 발달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라고 주장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는다. 수익률 계산 방법이 비논리적이거나 또는 자료에 많은 실수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재무관리 학문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학계는 논리적인 수익률 계산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정확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실증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였으나 자료의 방대함 등으로 인해 분석이 심도있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가 추상적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던 문제점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이고 체계적으로 언급했다는 점에서 만족하며 보다 자세한 비교 분석은 차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두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심도있게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별수익률 자료를 비교하여야 하나 본 연구가 월별수익률 자료의 비교에만 한정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생각된다. 재무관리의 실증연구에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최종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가의 결론은 대단히 중요하며 필요하다. 저자들은 이런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저자들이 추측하듯이 만일 두 데이터베이스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모두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면 불행히도 우리는 어떤 결론도 내릴 수 없을지도 모른다.
參考文獻
1.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 KIS-DISKETTE MANUAL, 1997, 95쪽.
2. 한국종합주가지수, 한국증권거래소, 1990, 601쪽.
3. 한국증권연구원, "98 KSRI-Stock Database" 사용자 설명서, 1998, 39쪽.
4. 한국증권시장지, 1990년 3월 28일, 업무규정세칙 개정, 4-5.
5. 임병균, 1997, IPO주식의 장단기 성과와 영업성과, 재무관리연구 제14권 제2호, 253-271.
6. 윤평식, 김정국, 정기호, 1998, 배당락일의 주가조정에 관한 연구, 증권학회지 제22집, 111-137.
7. 윤평식, 김철중, 1997, 기업공개전 무상증자의 실시동기와 영향, 재무관리연구 제14권 제3호, 203-229.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Two Korean Stock
Returns Databases: KIS-SMAT and KSRI-SD
Yoon, Pyung-Sig·Kim, Chul-Joong
This paper examines the reliability of two commonly-used stock return databases, KIS-SMAT and KSRI-SD, by directly comparing daily KOSPI returns (for 1981 through 1997) and monthly individual stock returns (for 1988 through 1997)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s.
First,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even in daily index returns, although most of them appeared in early 80s. Secondly, the average monthly returns of the most widely-used KIS-SMAT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KSRI-SD. Finally, we showed that empirical result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what database to use, by examining the long-run performance of IPO firms and determinants of ex-dividend abnormal returns.
Although we find that two databases are quite different and that these differences may cause different empirical conclusion, we are not able to conclude which database is more reliable. Given the importance of empirical works in finance area, more comprehensive comparis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make sure that our empirical research are based on correct stock returns.
Key Words :
stock return database reliability, empirical study, KIS-SMAT, KSRI-SD
추천자료
스포츠 리그를 위해 팀들과 게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설계
MS ACCESS 를 이용한 자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DB Design Project ( 삼국지 개념의 국가, 인재, 성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소프트웨어시스템 실험 데이터베이스 개요
액세스(ACCESS)로 구연한 온라인게임 데이터베이스 도큐먼트파일 (프로젝트)
C언어로 설계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커피숍관리)
데이터베이스
학사관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최종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젝트 보고서 인터넷 영화 예매 시스템 구축
[특허][이중출원][웹데이터베이스][표준화][진보성]특허의 개념, 특허의 분류, 특허의 요건, ...
[레포트]_공업경제학_주식투자수익률레포트
인터넷 정보검색효율의 측정방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최적화,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