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기술적 분석의 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3절 기대효과 및 및 활용방안
제 2 장 증권 기술적 분석의 이론적 배경
제 1 절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가정
제 2 절 기술적 분석의 이론 고찰
1. 시장이론
2. 투자심리이론
제3장 증권 기술적 분석의 방법
제1절 추세분석
제2절 패턴분석
제3절 지표분석
제4장 기술적 분석의 유효성검증 및 적용
제5장 결 론

본문내용

34 976.68 791.55 106.62 50.00
케이스 < 검정값 781 694 201 762 538 580 267
케이스 >= 검정값 1 88 581 20 244 178 502
전체 케이스 782 782 782 782 782 758 769
런의 수 3 25 8 15 11 48 69
Z .051 -23.728 -27.337 -18.143 -27.154 -22.808 -22.339
근사 유의확률 (양쪽) .960 .000 .000 .000 .000 .000 .000
1.2.3 검증결과의 해석
우리나라 증권시장이 얼마나 효율적인가, 약형효율성 만이라도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정된 통계방법인 시계열 상관분석과 run-test 결과 약형효율적 가설은 기각되어 시장의 비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이것은 아직까지 우리나라 증권시장은 약형효율성도 갖추지 않은 상태로 기술적 분석을 기초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그렇지 아니한 투자자들 보다 초과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 E. F. Fama and M. E. Blume, "Filter Rules and Stock Market Trading," Journal of Business, January 1966, pp.226-241.
.
제2절 우리나라 증권시장의 세부 기술적 분석
최근 3년 동안(1998년 1월 3일 - 2000년 12월 27일)의 종합주가지수(종가)와 거래량 및 개별종목의 거래를 근거로 한 중장기 분석을 위한 이동평균선 및 봉도표, Slow Stochastic, 상대강도지수, OBV, 이격도, SONA, 투자심리도를 분석하였다.
2.1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의 장기, 중기, 단기의 교차그래프에서 단기가 장기를 하향 돌파한후 장기간 주가하락이 계속되며, 다시 단기가 장기를 상향돌파한후 장기간 주가상승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데드 크로스와 골든 크로스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가의 이동평균들은 장기를 중심으로 수렴과 확산이 반복되는 파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의 정배열과 역배열시의 상향추세와 하향추세를 볼 수 있다.
2.2 Slow Stochastic
Slow Stochastic과 주가변동간의 관계에서 %K 가 주가의 선행지수임을 알 수 있고, %D 가 %K를 상향돌파하면 매수신호이고 하향돌파하면 매도신호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2.3 상대강도지수(신 VR)
매수와 매도의 상대강도지수가 주가의 선행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주가의 저점에서 상대강도가 높고 고점에서 낮다.
2.4 OBV
주가와 거래량의 정보를 나타내는 OBV는 대체로 주가와 정의 상관을 보이고 있어 미래 추세파악에는 미흡하나 단기 매매타이밍의 선택에 유용함을 알 수 있다.
2.5 SONA
소나도 1개월 이내의 주가 선행치로 유효하다. 특히 단기지표가 장기지표를 하향돌파시 주가하락이나, 상향돌파시의 주가상승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다.
[그림6] 1998년도 한국증권거래소 종합분석
[그림7] 1999년도 한국증권거래소 종합분석
[그림8] 2000년도 한국증권거래소 종합분석
2.6 이격도
이격도는 주가선행지표로 중요한 유의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1개월 이내의 주가에 대한 선행지표로 이용 가능하다. 최근 3년간의 주가지수와 25일 및 75일 이격도의 관계는 그림9와 같이 나타나고 있어 이격도가 주가의 선행지표임을 알 수 있다.
[그림9] 주가지수와 이격도의 관계
주가수와 이격도의
상관관계는 다음 [표3]과 같이 0.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와 이격도와의 상관계수는 음의 값이고 이격도와 투자심리선의 상관계수는 높은 양의 값으로 상호 보완관계의 지표임을 알 수 있다.
[표3] 주가지수와 이격도 및 투자심리선의 상관관계
이격도와 주가의 선행지표가 된다는 사실을 다음 [표4]에서 14일 선행지수로 했을 때의 상관계수값이 높아짐에서 알 수 있다.
[표4] 주가지수와 이격도 및 투자심리선의 상관관계(14일 선행)
2.7 투자심리선
투자심리선은 주가변동의 후행지표로 나타났다. 투자심리도가 높다는 것은 곧 주가의 고점을 지났다는 것을 의미하고, 투자심리도가 낮으면 주가가 저점을 통과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최근 3년동안의 지표에서 [그림10] 과 같이 나타나고, 상관계수도 음의 상관 유의성을 나타냄으로서 이를 증명하고 있다.
[그림10] 주가지수와 투자심리선의 관계(12일)
제5장 결 론
앞의 본 연구를 통하여 증권투자의 기술적 분석의 개념 및 방법을 고찰하고 이것들을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인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가예측을 위한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분석기법이 다양해 질 뿐만 아니라 정확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많은 편견과 무지로 기술적 분석 자체를 오해하고 소홀히 해왔었다. 그러나 기술적 분석은 증권투자의 ABC와 같은 것으로 기본적 분석에 의해 투자종목을 선정하고, 기술적 분석에 의해 매매시점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실증적 검증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증권시장에서의 기술적 분석의 유효성이 입증되었고, 심지어 자본시장이 고도로 발달하고 효율적(준강형)이라고 하는 미국의 증권시장에서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증권투자자나 투자상담자들은 적어도 기술적 분석을 시도하지 않는 일반투자자들이 있는 한 기술적 분석에 의한 투자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익성을 더 높이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한다. 또 대학에서도 기본적 분석에 의한 주식의 내재가치 평가뿐만 아니라 기술적 분석의 정확한 기법을 교육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기술적 분석에 대한 지나친 과신은 오히려 득보다는 화를 자초하므로 어디까지나 기본적 분석에 기초한 보조분석지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전체 증권의 평균가격과 거래량에 기초하여 실증분석한 것으로 시장의 전반적 상황에 대한 기술적 분석의 유효성을 입증하였기 때문에 모든 개별증권에 동일한 유효성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개별종목들은 개별종목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검증하여 적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기대된다.
참고문헌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05.07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