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흡연과 통계
2.흡연이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
3.청소년 흡연 특성
4.담배의 성분
5.금단증상
6.주류연과 부류연
7.금연에 성공하려면
8.금연 상식 퀴즈
2.흡연이 청소년기에 미치는 영향
3.청소년 흡연 특성
4.담배의 성분
5.금단증상
6.주류연과 부류연
7.금연에 성공하려면
8.금연 상식 퀴즈
본문내용
.
주류연과 부류연 담배 연기는 주류연(mainstream smoke)과 부류연(sidestream smoke)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류연은 흡연자가 들이마신 후 내품는 연기이고, 부류연은 타고 있는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연기를 말한다. 간접흡연은 부류연이 85%, 주류연이 15%를 차지한다. 부류연의 독성 화학물질의 농도는 주류연보다 높고 담배연기 입자가 더 작아서 폐의 더 깊은 부분에 침착될 수 있다.
실제로 주류연과 부류연을 분석해보면 모든 연기 내 독성성분이 부류연에 2-3배 정도 더 많다. 일산화탄소는 8배, 암모니아는 73배, 디메칠 나이트로소아민은 52배, 메칠나프탈렌은 28배, 아닐린은 30배, 나프탈아민은 39배나 더 많다. 담배 연기에 민감한 사람중 69%가 안구자극 증상을 나타내고, 29%가 코증상, 32%가 두통, 25%가 기침을 나타낸다.
간접흡연에 노출된 소아와 청소년은 천식 위험이 높아진다. 흡연자의 배우자는 비흡연자의 배우자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약 30% 높고 심장병에 걸릴 위험은 50% 더 높다. 담배를 피우는 부모를 가진 어린이와 그렇지 않은 어린이의 상기도 감염률은 담배를 피우는 집의 영아의 급성호흡기 질환 감염률이 5.7배나 높으며, 폐암발생률도 2배나 높다고 한다.
그 외의 천식, 기침, 중이염 등의 발병률도 부모가 담배를 피우는 어린이에게서 6배나 높고 폐기능도 전반적으로 낮다고 한다. 특히 임신한 여성이 간접흡연을 하게 되면 뱃속의 태아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장애를 입게 된다. 유산,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조기파막,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빈도가 높아진다.
금연에 성공하려면
금연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금연에 실패한다. 그 이유는 담배 속에 들어있는 강한 중독성물질인 니코틴 때문이다. 금연하기 위하여 자신의 의지력에만 의존하는 많은 사람들이 금연에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흔히 목표달성과 의지력에 초점을 맞추는 재래적인 방법으로 대부분 금연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행동수정 연구는 금연에 크게 기여하여 왔는데 그 이유는 행동수정 이론을 근거로 한 다양한 행동기법들이 그 결과에 있어서 효과를 보여 주어왔기 때문이다.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효과적인 금연방법에 대하여 알고 니코틴 금단증상 등 장애물과 그에 대한 극복방법을 알고 금연을 시도하는 것과 알지 못하고 시도하는 것은 결과에 있어서 엄청난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는 금연에 있어서 이미 많이 실험되고 적용되어 성공해 온 행동수정 기법을 통한 금연 방법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하며 실제적 적용면에 있어서 금연준비기, 금연행동기, 금연유지기로 나누어 보았다. 이러한 금연 방법을 실천하기 이전에 준비하여야 할 것은 당신의 마음이다. 금연 결심 금연 결심은 단지 당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다른 사람들은 당신이 금연하기를 바라지만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진정한 결심은 당신이 하여야만 한다.
◈ 당신이 흡연으로 말미암은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믿고 그로 인해 걱정한다.
◈ 금연에 대하여 정직한 시도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 흡연을 계속하는데 따르는 유익보다 금연의 유익이 더 크다고 믿는다.
◈ 흡연의 결과로 말미암아 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을 알고 있다.
이러한 생각을 가짐으로 금연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다.
금연 상식 퀴즈
1, 당신이 먹는 음식은 당신의 흡연욕구 및 금연증상과 관계가 있다
2. 담배연기 속에는 발암물질이 10종류 들어있다.
3. 금연을 시도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첫 시도에서 성공한다.
4. 만일 당신이 지금 질병이나 문제가 없다면 흡연은 당신에게 해롭지 않다.
5. 매년 흡연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은 세계적으로 약 400만 명에 달한다
6. 흡연은 주로 신체적인 문제이지 정신 감정적인 문제는 아니다.
7. 니코틴은 헤로인과 비슷한 중독성 약물이다.
8. 담배연기를 깊이 들여 마시지 않으면 안전하게 흡연할 수 있다.
9. 금연을 하면 기침이 증가하는 것은 몸이 회복하는 표시이다.
10. 니코틴 금단증상은 대략 3개월간 지속된다.
11. 흡연으로 인하여 한국의 국가적인 경제 손실 총액은 매년 약 3조원에 달한다.
12. 금연을 시작하였을 때 커피, 쵸코렛과 같은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
13.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금연한다면 체중이 많이 는다.
14. 비흡연자와 비교하여 흡연자는 폐암 발병률이 10배 높다.
15. 흡연으로 인하여 손상된 신체는 다시 회복될 수 없다.
주류연과 부류연 담배 연기는 주류연(mainstream smoke)과 부류연(sidestream smoke)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류연은 흡연자가 들이마신 후 내품는 연기이고, 부류연은 타고 있는 담배 끝에서 나오는 생담배연기를 말한다. 간접흡연은 부류연이 85%, 주류연이 15%를 차지한다. 부류연의 독성 화학물질의 농도는 주류연보다 높고 담배연기 입자가 더 작아서 폐의 더 깊은 부분에 침착될 수 있다.
실제로 주류연과 부류연을 분석해보면 모든 연기 내 독성성분이 부류연에 2-3배 정도 더 많다. 일산화탄소는 8배, 암모니아는 73배, 디메칠 나이트로소아민은 52배, 메칠나프탈렌은 28배, 아닐린은 30배, 나프탈아민은 39배나 더 많다. 담배 연기에 민감한 사람중 69%가 안구자극 증상을 나타내고, 29%가 코증상, 32%가 두통, 25%가 기침을 나타낸다.
간접흡연에 노출된 소아와 청소년은 천식 위험이 높아진다. 흡연자의 배우자는 비흡연자의 배우자보다 폐암에 걸릴 위험이 약 30% 높고 심장병에 걸릴 위험은 50% 더 높다. 담배를 피우는 부모를 가진 어린이와 그렇지 않은 어린이의 상기도 감염률은 담배를 피우는 집의 영아의 급성호흡기 질환 감염률이 5.7배나 높으며, 폐암발생률도 2배나 높다고 한다.
그 외의 천식, 기침, 중이염 등의 발병률도 부모가 담배를 피우는 어린이에게서 6배나 높고 폐기능도 전반적으로 낮다고 한다. 특히 임신한 여성이 간접흡연을 하게 되면 뱃속의 태아도 흡연으로 인한 건강장애를 입게 된다. 유산,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조기파막, 저체중아, 주산기 사망의 빈도가 높아진다.
금연에 성공하려면
금연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금연에 실패한다. 그 이유는 담배 속에 들어있는 강한 중독성물질인 니코틴 때문이다. 금연하기 위하여 자신의 의지력에만 의존하는 많은 사람들이 금연에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흔히 목표달성과 의지력에 초점을 맞추는 재래적인 방법으로 대부분 금연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행동수정 연구는 금연에 크게 기여하여 왔는데 그 이유는 행동수정 이론을 근거로 한 다양한 행동기법들이 그 결과에 있어서 효과를 보여 주어왔기 때문이다.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백승이라는 말이 있듯이 효과적인 금연방법에 대하여 알고 니코틴 금단증상 등 장애물과 그에 대한 극복방법을 알고 금연을 시도하는 것과 알지 못하고 시도하는 것은 결과에 있어서 엄청난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는 금연에 있어서 이미 많이 실험되고 적용되어 성공해 온 행동수정 기법을 통한 금연 방법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하며 실제적 적용면에 있어서 금연준비기, 금연행동기, 금연유지기로 나누어 보았다. 이러한 금연 방법을 실천하기 이전에 준비하여야 할 것은 당신의 마음이다. 금연 결심 금연 결심은 단지 당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다른 사람들은 당신이 금연하기를 바라지만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진정한 결심은 당신이 하여야만 한다.
◈ 당신이 흡연으로 말미암은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믿고 그로 인해 걱정한다.
◈ 금연에 대하여 정직한 시도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
◈ 흡연을 계속하는데 따르는 유익보다 금연의 유익이 더 크다고 믿는다.
◈ 흡연의 결과로 말미암아 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을 알고 있다.
이러한 생각을 가짐으로 금연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다.
금연 상식 퀴즈
1, 당신이 먹는 음식은 당신의 흡연욕구 및 금연증상과 관계가 있다
2. 담배연기 속에는 발암물질이 10종류 들어있다.
3. 금연을 시도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첫 시도에서 성공한다.
4. 만일 당신이 지금 질병이나 문제가 없다면 흡연은 당신에게 해롭지 않다.
5. 매년 흡연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은 세계적으로 약 400만 명에 달한다
6. 흡연은 주로 신체적인 문제이지 정신 감정적인 문제는 아니다.
7. 니코틴은 헤로인과 비슷한 중독성 약물이다.
8. 담배연기를 깊이 들여 마시지 않으면 안전하게 흡연할 수 있다.
9. 금연을 하면 기침이 증가하는 것은 몸이 회복하는 표시이다.
10. 니코틴 금단증상은 대략 3개월간 지속된다.
11. 흡연으로 인하여 한국의 국가적인 경제 손실 총액은 매년 약 3조원에 달한다.
12. 금연을 시작하였을 때 커피, 쵸코렛과 같은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
13.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금연한다면 체중이 많이 는다.
14. 비흡연자와 비교하여 흡연자는 폐암 발병률이 10배 높다.
15. 흡연으로 인하여 손상된 신체는 다시 회복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