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리 문학』, 숭실고전문학연구회 편, 태학사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均如
禮敬諸佛歌
○ 心未 筆留 慕呂白手隱 佛體 前衣 拜內手隱 身萬隱 法界毛叱所只至去良 塵塵馬洛 佛體叱刹亦 刹刹每如 邀里白手隱 法界 滿賜隱 佛體 九世 盡良 禮爲白齊 嘆曰 身語意業無厭疲 此良夫作沙毛叱等耶
○ 마음의 붓으로 사모하는 부처님 前에 참배하는 이 몸은 法界의 끝까지 가고지라. 塵塵마다 佛刹이 있고 刹刹마다 뫼시온 法界에 차신 부처님을 九世 다하도록 禮敬하고자 아아 身語意業 厭疲함이 없음을 常行으로 하고자.
**『국문학사』, 김동욱, 일신사 『향가문학론』, 김승찬, 새문사
밑힝미 부드루 그리싶힝 부텨 알하 저르누흔 모밑 법계(法界) 밑딪로기 니르고야 진진(塵塵)마다 부텨 ㅅ 뎌리 뎔뎔마다 모시리싶힝 법계 칭샨 부텨 구세(九世) 다아 례힝싶져 아야 신어의업무피염(身語意業无疲厭) 이러 브질 사맛다라
마음의 붓으로 그려 놓은 부처의 앞에서 절하는 이 몸은 법계가 끝날 때까지 이를게라 세상마다 부처 절에 절마다 위해 놓은 법계에 가득 찬 부처 구세가 다하도록 례하자 아야 몸과 말, 뜻과 행실 피로함 잊고서 이렇게 상례(常例)를 삼았더라
**『작품으로 읽는 우리 문학』, 숭실고전문학연구회 편, 태학사
稱讚如來歌
○ 今日部伊冬衣 南无佛也白孫舌良衣 無尺辯才叱海等 一念惡中涌出去良 塵塵虛物叱邀呂白乎隱 切德叱身乙對爲白惡只 際于萬隱德海 間王冬留讚伊白制 隔句 必只一毛叱德置 毛等尺良白乎隱乃兮
○ 오다 주비딪링 南无佛이여 싶힝손 혀아잎 無盡辯才ㅅ 바딪 一念악힝 솟나가라 塵塵虛物ㅅ 뫼시리싶힝 功德ㅅ身을 對힝싶디 까업는 德바딪힝 西王딪루 기리싶져 아으 비록 一毛ㅅ德두 몬딪 다아 싶힝뇌
**『古歌硏究』, 양주동 著
廣修供養歌
○ 火條執音馬 佛前 乙直體良焉多衣 炷隱須彌也 油隱大海逸留去耶 手焉法界毛叱色(巴)只爲 手良每如法叱供乙留 法界滿賜仁佛體 佛佛周物叱供爲白制 阿耶 法供沙叱多奈 伊於衣波最勝供也
○ 브셔 자빛며 佛前燈을 고티란딪 燈炷는 須彌여 燈油는 大海 이루가라 소다 法界밑도록 힝며 소내마다 法ㅅ供잎루 法界 칭샨 부텨 佛佛 딪밑 供힝싶져 아으 法供힝 하나 이 어의바 最勝供이여
**『古歌硏究』, 양주동 著
懺悔業障歌
○ 顚倒逸耶 菩提向焉道乙迷波 造將來臥乎隱惡寸隱 法界餘音玉只出隱伊音叱如支 惡寸習落臥乎隱三業 淨戒叱主留卜以支乃遺只 今日部頓部叱懺悔 十方叱佛體閼遣只賜立 落句 衆生界盡我懺盡 來際永良造物捨齊
**『古歌硏究』, 양주동 著
隨喜功德歌
○ 迷悟同體叱 緣起叱理良尋只見根 佛伊衆生毛叱所只 吾衣身不喩仁人音有叱下呂 修叱賜乙隱頓部叱吾衣修叱孫丁 得賜伊馬落人米無叱昆 於內人衣善陵等沙 不冬喜好尸置乎理叱過 後句 伊羅擬可行等 嫉妬叱心音至刀來去
**『古歌硏究』, 양주동 著
請轉法輪歌
○ 彼仍反隱 法界惡之叱佛會阿希 吾焉頓叱進良只 法雨乙乞白乎叱等耶 無明土深以埋多 煩惱熱留煎將來出米 善芽毛冬長乙隱 衆生叱田乙潤只沙音也 後言 菩提叱菓音烏乙反隱 覺月明斤秋察羅波處也
○ 뎌 너븐 法界옛 佛會아힝 나다 頓ㅅ 낫악 法雨를 비싶봇다라 無明土 기피 무더 煩惱熱루 다려내매 善芽 몬딪 기른 衆生ㅅ田을 저지샴여 後言 菩提ㅅ열음 오잎빛 覺月 빛까 까싶라 바치여
**『국문학사』, 김동욱, 일신사 『향가문학론』, 김승찬, 새문사
請佛住世歌
○ 皆佛體 必于化緣盡動賜隱乃 毛乙寶非鳴良 世呂中止以友白乎等耶 曉留朝于萬夜未 向屋賜尸朋知良 尸也 伊知皆矣爲米 道尸迷反群良哀呂舌 落句 吾里心音水淸等 佛影不冬應爲賜下呂
**『古歌硏究』, 양주동 著
常隨佛學歌
○ 我佛體 皆往焉世呂修將來賜留隱 難行苦行叱願乙 吾焉頓部叱逐好友伊音叱多 身靡只碎良只塵伊去米 命乙施好尸歲史中置 然叱皆好尸卜下里 皆佛體置然叱爲賜隱伊留兮 城上人 佛道向隱心下 他道不冬斜良只行齊
**『古歌硏究』, 양주동 著
恒順衆生歌
○ 覺樹王焉 迷火隱乙根中沙音賜焉逸良 大悲叱水留潤良只 不冬萎玉內乎留叱等耶 法界居得丘物叱丘物叱 爲乙吾置同生同死 念念相續牙間斷 佛體爲尸如敬叱好叱等耶 打心 衆生安爲飛等 佛體頓叱喜賜以留也
**『古歌硏究』, 양주동 著
普皆廻向歌
○ 皆吾衣修孫 一切善陵頓部叱廻良只 衆生叱海惡中 迷反群无史悟內去齊 佛體叱海等成留焉日尸恨 懺爲如乎仁惡寸業置 法性叱宅阿叱寶良 舊留然叱爲事置耶 病吟 禮爲白孫佛體刀 吾衣身伊波人有叱下呂
**『古歌硏究』, 양주동 著
總結無盡歌
○ 生界盡尸等隱 吾衣願盡尸日置仁伊而也 衆生叱邊衣于音毛 際毛冬留願海伊過 此如趣可伊羅行根 向乎仁所留善陵道也 伊波普賢行願 又都佛體叱事伊置耶 阿耶 普賢叱心音阿于波 伊留叱餘音良他事捨齊
**『古歌硏究』, 양주동 著
*大華嚴首座 圓通兩重大師 均如傳
**『국문학사』, 김동욱, 일신사 『향가문학론』, 김승찬, 새문사

키워드

향가,   향가,   향가,   향가,   향가,   향가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5.1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