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최고경영자의 자세를 중심으로
(서론)
1. 최고경영자의 존재의미
(본론)
2. 유교 철학에서 보여지는 지식인과 최고 경영자와의
상관성과 오늘날 최고 경영자의 바람직한 자세
(결론)
3. 요약 및 제언
(서론)
1. 최고경영자의 존재의미
(본론)
2. 유교 철학에서 보여지는 지식인과 최고 경영자와의
상관성과 오늘날 최고 경영자의 바람직한 자세
(결론)
3. 요약 및 제언
본문내용
로 수행된다. 도전과 실험의 과정에는 반드시 실패도 뒤따르게 마련이고 “실패”그 자체 역시 “실패하지 않는 방식”을 터득하게 해주는 학습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들이 실패 그 자체를 두려워해서는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결론』
21세기 정보·지식경영의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변화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변화속도가 문제이다. 남보다 빠르게, 혁신적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변하지 않으면 조직에서 도태되거나 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경쟁자보다 좀더 빠르게, 생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혁신적으로 변화하면서 변화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안정적으로 경영을 하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정보·지식시대, 이제는 단순히 명령을 내리고 직원들이 순순히 복종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필요한 것은 지식과 정보보다도 인간적인 매력을 지닌 리더십이다. 직원들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발굴해 주고, 미래에 대한 비전을 설정하며 북돋워 주고, 지도하고 조언도 해 주면서 그들과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리더십이다. 리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기계발로 자기가 바로 세계중심임을 자부할 수 있는 자질, 즉 실력과 도덕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최고 경영자뿐만 아니라 기업성원 모두가 21세기 세계 무대를 이끌어가기 위해 리더로서 자기 의식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의 경쟁력이 조직의 경쟁력이 되고, 조직의 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으로 결집돼야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이니 말이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다양한 변화에 재빨리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길을 잘 선택한다면, 다음세기에는 우리가 아시아의 등불이 아닌 세계의 등불로 거듭날 수 있으며, 세계무대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껏 나는 사실 중용 자체에 대한 성실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내가 가진 의견에다 斷章取義하는 것으로 일관한 것 같다. 또한 다양한 해석 능력 부족으로 중용의 도를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 문제에 국한시켜 논의를 진행해 나아간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겨영학도로서 앞으로 기업을 이끌어 가는 한 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때, 지금 내가 피력한 이러한 사항들만이라도 지켜 나가도록 노력한다면 그것도 의미 있는 삶의 자세라고 본다.
中庸의 道는 過와 不及의 忌憚없는 가운데가 아니라, 그 兩端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知者와 愚者의 기하학적 가운데가 아니라, 그들 모두를 포괄하고 있는 者이다. 그러한 포괄의 상태가 오래오래 지속됨이 바로 中庸이다. 다시 중용의 한 대목을 인용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맺는다.
『참고 문헌』
김학주 역주, 大學·中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데니스 웨이틀리, 성공을 부르는 14가지 셀프 리더십, 서울:프레스빌, 1996.
잭웰치와 GE 방식: 혁신적인 최고 경영자의 경영 통찰력과 리더십 비법, 로버트 슬레이트
:강석진,이테복(공) 옮김, 서울:물푸레, 1988.
최인욱 著, 성웅 이순신, 서울:을유문화사, 1978.
『결론』
21세기 정보·지식경영의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변화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변화속도가 문제이다. 남보다 빠르게, 혁신적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변하지 않으면 조직에서 도태되거나 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경쟁자보다 좀더 빠르게, 생산적으로 변화해야 한다. 혁신적으로 변화하면서 변화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안정적으로 경영을 하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정보·지식시대, 이제는 단순히 명령을 내리고 직원들이 순순히 복종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 필요한 것은 지식과 정보보다도 인간적인 매력을 지닌 리더십이다. 직원들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발굴해 주고, 미래에 대한 비전을 설정하며 북돋워 주고, 지도하고 조언도 해 주면서 그들과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리더십이다. 리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기계발로 자기가 바로 세계중심임을 자부할 수 있는 자질, 즉 실력과 도덕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최고 경영자뿐만 아니라 기업성원 모두가 21세기 세계 무대를 이끌어가기 위해 리더로서 자기 의식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인의 경쟁력이 조직의 경쟁력이 되고, 조직의 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으로 결집돼야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이니 말이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다양한 변화에 재빨리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길을 잘 선택한다면, 다음세기에는 우리가 아시아의 등불이 아닌 세계의 등불로 거듭날 수 있으며, 세계무대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껏 나는 사실 중용 자체에 대한 성실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내가 가진 의견에다 斷章取義하는 것으로 일관한 것 같다. 또한 다양한 해석 능력 부족으로 중용의 도를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 문제에 국한시켜 논의를 진행해 나아간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겨영학도로서 앞으로 기업을 이끌어 가는 한 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때, 지금 내가 피력한 이러한 사항들만이라도 지켜 나가도록 노력한다면 그것도 의미 있는 삶의 자세라고 본다.
中庸의 道는 過와 不及의 忌憚없는 가운데가 아니라, 그 兩端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知者와 愚者의 기하학적 가운데가 아니라, 그들 모두를 포괄하고 있는 者이다. 그러한 포괄의 상태가 오래오래 지속됨이 바로 中庸이다. 다시 중용의 한 대목을 인용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맺는다.
『참고 문헌』
김학주 역주, 大學·中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데니스 웨이틀리, 성공을 부르는 14가지 셀프 리더십, 서울:프레스빌, 1996.
잭웰치와 GE 방식: 혁신적인 최고 경영자의 경영 통찰력과 리더십 비법, 로버트 슬레이트
:강석진,이테복(공) 옮김, 서울:물푸레, 1988.
최인욱 著, 성웅 이순신, 서울:을유문화사, 1978.
추천자료
지구촌의 종교전통과 경제행위
부당노동행위
( 요약정리)경제행위와 제도, 스레인 에거트슨 저 ,
집단의 중요성, 집단행위의 특성 및 집단의 구조적 특성과 유효성
공무원 불법행위 고찰
직장내 성희롱의 개념, 직장내 성희롱의 구분, 직장내 성희롱의 현황, 직장내 성희롱의 요인,...
학습조직 구축전략, LG전자와 3M 학습조직 비교,학습조직 모형,국내 학습조직 동향
비영리조직(민간비영리단체, NPO) 정의, 비영리조직(민간비영리단체, NPO) 의의, 재무보고, ...
시민사회의 역사, 시민사회의 구성, 시민사회의 위상, 시민사회의 생활세계(위르겐하버마스의...
[막스 베버]막스 베버의 연구가능주제, 막스 베버의 정치지도자론, 막스 베버의 인간행위, 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