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국가경쟁력을 위한 여성과학기술인력 양성의 필요성
2 여성과학기술인력의 활용실태
3. 여성과학기술 인력의 활용방안
2 여성과학기술인력의 활용실태
3. 여성과학기술 인력의 활용방안
본문내용
성별 직업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정보화가 곧 여성에게 노동시장에서의 동등한 지위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는 것에 대해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보화 및 지식중심의 기술변화가 여성의 취업과 지위상승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고는 있지만, 거시적인 외부여건의 점진적 개선이 `나'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는 때는 나 자신의 인적자본 형성에 대한 투철한 노력이 주어질 때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여성 개개인이 과학기술자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직업에 대하여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인적자본 형성을 위해 노력하며 직업인으로서의 투철한 직업의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ㅇ.과학기술 분야 여성에 관한 기초자료 및 통계 구축
그동안 많은 국제회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여성에 관한 적합한 자료의 부족을 주목 해왔다. 왜냐하면 첫째, 과학기술분야에서의 여성의 과소대표 및 과소활용의 심각성이 비교가능한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완전히 드러나지 못한 채 남아있기 때문이다. 둘째, 일관되며 비교가능한 자료의 부재는 유효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주요 걸림돌이기 때문이다. 포괄적이며 비교가능한 자료 없이는 유능한 여성에게 동등교육기회를 보장하고, 경력추구를 돕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방어해 내기 어렵다. 또한 국가간에 체계적인 정보와 경험의 교환을 위해서는 통계자료들이 국제적으로 비교가능한 것이 되어야 한다.
예컨대 「1995 베이징 세계행동강령」은 가시적인 핵심이슈를 제공하기 위해 性구분된 자료수집에서의 국제협력과 일치를 촉구했으며, 국제협력기구들의 `과학과 性'에 관한 보고서 및 회의에서 性구분된 통계자료의 수집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여성의 동등 접근, 동등수혜을 위한 이행전략의 하나로 명시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과학기술 분야 여성에 관한 기초자료와 통계가 매우 부족하다. 일례로 여성의 첨단과학기술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여성인력 양성 및 활용구조, 장애요인 등에 대한 미시적, 거시적 자료가 요구되지만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과학기술인력의 동일전공으로의 취업여부는 차치하더라도 일반적인 취업상태를 살펴보기 위한 거시적인 자료가 매우 빈약하다. 본문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미국에서는 국립과학재단이 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정확한 정의 위에서 성별, 종사업 체별, 전공별로 취업률 등의 취업여부, 임금 등 근로조건, 교육훈련실태, 경력추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배포하고 있다.
또한 기존 통계의 상당 부분이 성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과학기술처가 생산·보급하고 있는 연구인력에 대한 통계 및 교육부의 일부 교육통계가 성별 구분이 되어 있지 않아 그 유용성이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정부는,
- 국제적으로 비교가능하며 신뢰할 만한 거시적 통계자료 및 여성고숙련 과학기술인력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나가야 하며
- 새로운 통계구축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예산을 감안하여 민간부문의 통계자료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원함으로써 정부통계를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전문 학회들의 회원관련 자료 및 민간연구소 등이 보유하고 있는 인력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비해내는 작업은 새롭고 매우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시사저널, 506호:46-52P
지식기반 경제에서의 여성과학기술인력의 활용,김영옥,여성연구 97 여름:49-74P,한국여성개발원,에서 상당부분재인용
(위 문헌이 참고한 문헌들)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해당연도.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연감」, 해당연도.
김명자(1995), 「여성인력 과학기술분야 활용방안」, 정무장관(제2)실.
정진화(1993), 「기술인력의 배출과 활용」, 산업연구원.
통계청(1991.4), 「장래인구 추계」.
한국여성개발원(1995), 「제4차 세계여성회의:북경선언·행동강령」.
文部省, 「1992年 文部統計要覽」, 日本:文部省.
Carr, M.(1996), "Gender,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United Nations,"
1996 Wo rld Science Report, Paris:UNESCO Publishing.
Grossman, G. & E. Helpman(1993), "Endogenous Innovation in the Theory of
Growth ," Working Paper, No. 4527, NBER.
Lucas, R.(1988),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Monetar y Economics, Vol. 22.
McGregor, E. & S. Harding(1996), "Science by whom?," 1996 World Science
Report, Paris:UNESCO Publishing.
National Science Foundation(1992), Wome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 ing: An Update, Washington, D.C.:National Science Foundation.
OECD(1992), Technology and Economy:The Key Relationships, Paris:OECD,
이근(역 ), 1995, 「과학과 기술의 경제학」, 서울:경문사.
Romer, P.M.(1990),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8, No.5.
Romer, P.M.(1986),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4.
Steady, F.(1993), Women and Children First, Schenkman, Harding, S. & E.
McGregor(1996), 321쪽에서 재인용.
The Office of Science & Tecnology(1995), Making The Most:Women in Science,
Engineering & Technology, London:OST.
ㅇ.과학기술 분야 여성에 관한 기초자료 및 통계 구축
그동안 많은 국제회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여성에 관한 적합한 자료의 부족을 주목 해왔다. 왜냐하면 첫째, 과학기술분야에서의 여성의 과소대표 및 과소활용의 심각성이 비교가능한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완전히 드러나지 못한 채 남아있기 때문이다. 둘째, 일관되며 비교가능한 자료의 부재는 유효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주요 걸림돌이기 때문이다. 포괄적이며 비교가능한 자료 없이는 유능한 여성에게 동등교육기회를 보장하고, 경력추구를 돕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방어해 내기 어렵다. 또한 국가간에 체계적인 정보와 경험의 교환을 위해서는 통계자료들이 국제적으로 비교가능한 것이 되어야 한다.
예컨대 「1995 베이징 세계행동강령」은 가시적인 핵심이슈를 제공하기 위해 性구분된 자료수집에서의 국제협력과 일치를 촉구했으며, 국제협력기구들의 `과학과 性'에 관한 보고서 및 회의에서 性구분된 통계자료의 수집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여성의 동등 접근, 동등수혜을 위한 이행전략의 하나로 명시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과학기술 분야 여성에 관한 기초자료와 통계가 매우 부족하다. 일례로 여성의 첨단과학기술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여성인력 양성 및 활용구조, 장애요인 등에 대한 미시적, 거시적 자료가 요구되지만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과학기술인력의 동일전공으로의 취업여부는 차치하더라도 일반적인 취업상태를 살펴보기 위한 거시적인 자료가 매우 빈약하다. 본문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미국에서는 국립과학재단이 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정확한 정의 위에서 성별, 종사업 체별, 전공별로 취업률 등의 취업여부, 임금 등 근로조건, 교육훈련실태, 경력추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배포하고 있다.
또한 기존 통계의 상당 부분이 성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과학기술처가 생산·보급하고 있는 연구인력에 대한 통계 및 교육부의 일부 교육통계가 성별 구분이 되어 있지 않아 그 유용성이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정부는,
- 국제적으로 비교가능하며 신뢰할 만한 거시적 통계자료 및 여성고숙련 과학기술인력에 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나가야 하며
- 새로운 통계구축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예산을 감안하여 민간부문의 통계자료 구축을 위한 노력을 지원함으로써 정부통계를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전문 학회들의 회원관련 자료 및 민간연구소 등이 보유하고 있는 인력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비해내는 작업은 새롭고 매우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시사저널, 506호:46-52P
지식기반 경제에서의 여성과학기술인력의 활용,김영옥,여성연구 97 여름:49-74P,한국여성개발원,에서 상당부분재인용
(위 문헌이 참고한 문헌들)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해당연도.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연감」, 해당연도.
김명자(1995), 「여성인력 과학기술분야 활용방안」, 정무장관(제2)실.
정진화(1993), 「기술인력의 배출과 활용」, 산업연구원.
통계청(1991.4), 「장래인구 추계」.
한국여성개발원(1995), 「제4차 세계여성회의:북경선언·행동강령」.
文部省, 「1992年 文部統計要覽」, 日本:文部省.
Carr, M.(1996), "Gender,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United Nations,"
1996 Wo rld Science Report, Paris:UNESCO Publishing.
Grossman, G. & E. Helpman(1993), "Endogenous Innovation in the Theory of
Growth ," Working Paper, No. 4527, NBER.
Lucas, R.(1988),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Monetar y Economics, Vol. 22.
McGregor, E. & S. Harding(1996), "Science by whom?," 1996 World Science
Report, Paris:UNESCO Publishing.
National Science Foundation(1992), Wome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 ing: An Update, Washington, D.C.:National Science Foundation.
OECD(1992), Technology and Economy:The Key Relationships, Paris:OECD,
이근(역 ), 1995, 「과학과 기술의 경제학」, 서울:경문사.
Romer, P.M.(1990),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8, No.5.
Romer, P.M.(1986),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94.
Steady, F.(1993), Women and Children First, Schenkman, Harding, S. & E.
McGregor(1996), 321쪽에서 재인용.
The Office of Science & Tecnology(1995), Making The Most:Women in Science,
Engineering & Technology, London:OST.
추천자료
과학기술부 연구개발사업의 추진방향에 관한 고찰
미국의 과학기술정책 조정에 관한 고찰
중국 과학기술 현황에 관한 고찰
우리나라 과학기술 정책의 문제점
과학기술의 전도사-최형섭
과학기술발전으로 인한 사회의 특징과 변화 및 형법적 대응과제
세종대왕과 과학기술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발전
과학기술의 발달은 우리인간에게 축복인가 재앙인가
중국의 생활과학_첨단기술
[중앙교육행정체제][교육과학기술부][교육행정][교육정책]중앙교육행정체제의 시대적 환경변...
북한의 과학기술
시민권(시민의 권리)의 개념, 분류, 시민권(시민의 권리)의 범주와 역할, 형성, 시민권(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