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劇場, theater]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럽

2. 아시아

3. 한국

본문내용

35년 연극 전문극장으로 등장한 동양극장(東洋劇場)이다. 여기에서 한국의 신극이 성장하고 꽃을 피웠다. 광복 전까지 전문적인 연극 극장은 동양극장뿐이었으며, 후에 부민관(府民館:시민회관 별관) ·명치좌(明治座:市公館) 등이 등장하여 당시의 대표적인 극장이자 영화관 구실을 하였다.
광복 후에는 급격히 증가한 영화의 수요에 따라 영화관이 급증하였다. 이들 영화관이 일부 연극극장을 겸하였으나, 연극 전용극장은 국립극장이 된 부민관, 그 후의 시공관, 62년 등장한 드라마센터 정도이고, 두드러진 시설과 수용능력을 갖춘 것은 대한극장, 소실된 시민회관, 세종문화회관 등이다. 그 동안 국립극장은 독립된 시설을 갖지 못하다가 73년 장충단의 1만 3000평 부지에 현대식 극장을 마련하여 순수무대예술의 전당이 되었다.
60∼70년대에 개설된 영화극장들이 대규모화한 데 반해 60년대 말부터 연극혁신운동의 하나로 소극장운동(小劇場運動)이 일어나 80년대 초까지 연극인회관 ·세실극장 ·창고극장 등 객석 30∼3,000 내외의 소극장이 꾸준히 개설되어 연극인구의 저변확대에 기여하였다. 78년 4월 개관한 세종문화회관은 객석 4,200석, 500명을 동시에 출연시킬 수 있는 500여 평의 최신식 무대 등 세계 굴지의 극장으로 등장하였으며, 객석 530석 규모의 소극장도 갖추고 있으며, 93년 개관한 예술의전당은 오페라하우스(음악극) ·역극극장 ·실험극장의 3개 공연장을 갖추고 있다. 60년대에 설치되어 80년에 철거된 남산 야외음악당은 그 동안 한국 유일의 야외극장으로 시민의 위락을 위한 시민극장이었음은 기록할 만하다.

키워드

극장,   유럽,   아시아,   한국,   형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5.19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