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용력(Carrying Capacity)
1) 수용력의 개념(Carrying Capacity Concept)
2) 허용 가능한 변화의 한계역(Limtis of Acceptable Change, LAC)
3) 산림휴양 기회의 설정(Zoning of Forest Recreation Opportunities)
1) 수용력의 개념(Carrying Capacity Concept)
2) 허용 가능한 변화의 한계역(Limtis of Acceptable Change, LAC)
3) 산림휴양 기회의 설정(Zoning of Forest Recreation Opportunities)
본문내용
인 기준이 필요하며, ROS 분류를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표 2). 물리적 환경은 일반적으로 도로와의 거리(Remoteness), 규모(Size), 그리고 인위성의 정도(Evidence of humans) 같은 기준에 의해 분류된다. ROS 전체의 분류 시스템은 산림의 도로망에 의해 운영된다. 도로의 위치와 유무는 ROS
표 2. ROS 분류를 위한 기준
Setting Component
Mapping Criteria Used
Physcial
Remoteness
Size
Evidence of humans
Social
User density
Managerial
Management regimentation
Management noticeability
출처: ROS User's Guide, Forest Service, USDA
의 분류에 있어 물리적 환경구성에서 가장 먼저 도식화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다음 단계로 지역의 규모가 고려되어 지는데 일반적인 원시지역은 준원시지역에 비해 훨씬 큰 규모를 갖는다. 인위성의 정도 세 번째 고려해야 할 기준으로 인간의 영향 또는 변경 정도의 다양성을 가지는 환경적 조건은 휴양기회를 제공하는 지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각각의 휴양환경은 환경요소들이 연동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적절한 활동, 어떤 활동과 경험을 위해 요구되는 환경은 각 ROS 등급분류의 기준이다. 실질적인 이용에 있어 이러한 기준은 이론적인 모델의 적용과 같은 영향력을 끼치지 않는다. 휴양환경은 휴양객의 일정한 이용수준과 접근성의 한계, 그리고 모든 산림경영활동의 통제수준을 의미한다. 각 등급은 특정 사항을 요구한다(표 3). 이러한 기준은 다른 산림의 자연적 경계 그리고 독특한 경관 그리고 식생 형태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현재 산림상황에 따른 도식화는 그것이 계획에 있어 나타나므로 최종적인 ROS 등급은 결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경영단위는 그 단위의 다른 용도에 적합하도록 ROS의 등급을 지정 받게 될 것이다.
표 3. ROS 등급 기준(미국의 경우)
휴 양
기회 분류
도로와의 거리
(Remoteness)
규모
(Size)
인위성 정도
(Evidence of humans)
Primitive
모든 도로, 철길, 또는 자동차이용이 가능한 오솔길로부터 최소 3 mile이상 떨어진 지역
5,000acre 이상
(자동차가 다닐 수 없는 준원시지역과 인접한 경우 이보다 작아야 함)
인간에 의해 자연환경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지역
Semi-
Primitive Nonmoterized
모든 도로, 철길, 또는 자동차이용이 가능한 오솔길로부터 최소 0.25mile에서 3 mile이상 떨어진 지역; 원시도로와 자동차이용이 제한된 도로 포함
2,500acre 이상
(원시지역과 인접한 경우 이보다 작아야함)
변화가 없는 자연환경이 많은 부분을 차지함
Semi-
Primitive Motorized
원시도로나 오솔길의 0.5mile을 자동차 이용; 원시도로로부터 0.5mile떨어진 지역은 제한이 없음
2,500acre 이상
변화가 없는 자연환경이 많은 부분을 차지함; 원시도로나 자동차 이용이 가능한 오솔길을 볼 수 있다.
Roaded Natural
원시도로로부터 0.5mile 떨어지고, 철길이 있는 지역
크기 기준 없음
인간에 의한 자연환경의 변화가 적절히 조화를 이룸
Rural
거리기준이 없음
크기 기준 없음
자연환경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
Urban
거리기준이 없음
크기 기준 없음
자연경관은 부차적인 것이고, 도시형의 환경이 구성됨
출처: ROS User's Guide, Forest Service, USDA
ROS 분류가 산림경영을 이끌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현재에서는 불분명한 것이다. 각 산림은 ROS에 의해 해석되고 이것에 따라 기준을 설정한다. ROS는 경영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ROS의 과정을 설정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은 국유림 경영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자원의 조사는 각 하부경영단위에 대한 ROS 분류 과정의 한 부분이다. 자원조사가 끝나면 주어진 산림에서 대중의 요구와 ROS 분류를 비교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대중이 요구하는 만큼 ROS 분류체계를 적용된 휴양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임도의 밀도가 낮은 편이지만, 원시지역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임도의 개설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산림경영계획은 다른 분류 지역까지 장기적인 개발 계획이 필요하며, 또한 대중의 요구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표 2. ROS 분류를 위한 기준
Setting Component
Mapping Criteria Used
Physcial
Remoteness
Size
Evidence of humans
Social
User density
Managerial
Management regimentation
Management noticeability
출처: ROS User's Guide, Forest Service, USDA
의 분류에 있어 물리적 환경구성에서 가장 먼저 도식화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다음 단계로 지역의 규모가 고려되어 지는데 일반적인 원시지역은 준원시지역에 비해 훨씬 큰 규모를 갖는다. 인위성의 정도 세 번째 고려해야 할 기준으로 인간의 영향 또는 변경 정도의 다양성을 가지는 환경적 조건은 휴양기회를 제공하는 지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각각의 휴양환경은 환경요소들이 연동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적절한 활동, 어떤 활동과 경험을 위해 요구되는 환경은 각 ROS 등급분류의 기준이다. 실질적인 이용에 있어 이러한 기준은 이론적인 모델의 적용과 같은 영향력을 끼치지 않는다. 휴양환경은 휴양객의 일정한 이용수준과 접근성의 한계, 그리고 모든 산림경영활동의 통제수준을 의미한다. 각 등급은 특정 사항을 요구한다(표 3). 이러한 기준은 다른 산림의 자연적 경계 그리고 독특한 경관 그리고 식생 형태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현재 산림상황에 따른 도식화는 그것이 계획에 있어 나타나므로 최종적인 ROS 등급은 결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경영단위는 그 단위의 다른 용도에 적합하도록 ROS의 등급을 지정 받게 될 것이다.
표 3. ROS 등급 기준(미국의 경우)
휴 양
기회 분류
도로와의 거리
(Remoteness)
규모
(Size)
인위성 정도
(Evidence of humans)
Primitive
모든 도로, 철길, 또는 자동차이용이 가능한 오솔길로부터 최소 3 mile이상 떨어진 지역
5,000acre 이상
(자동차가 다닐 수 없는 준원시지역과 인접한 경우 이보다 작아야 함)
인간에 의해 자연환경의 변화가 거의 없는 지역
Semi-
Primitive Nonmoterized
모든 도로, 철길, 또는 자동차이용이 가능한 오솔길로부터 최소 0.25mile에서 3 mile이상 떨어진 지역; 원시도로와 자동차이용이 제한된 도로 포함
2,500acre 이상
(원시지역과 인접한 경우 이보다 작아야함)
변화가 없는 자연환경이 많은 부분을 차지함
Semi-
Primitive Motorized
원시도로나 오솔길의 0.5mile을 자동차 이용; 원시도로로부터 0.5mile떨어진 지역은 제한이 없음
2,500acre 이상
변화가 없는 자연환경이 많은 부분을 차지함; 원시도로나 자동차 이용이 가능한 오솔길을 볼 수 있다.
Roaded Natural
원시도로로부터 0.5mile 떨어지고, 철길이 있는 지역
크기 기준 없음
인간에 의한 자연환경의 변화가 적절히 조화를 이룸
Rural
거리기준이 없음
크기 기준 없음
자연환경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
Urban
거리기준이 없음
크기 기준 없음
자연경관은 부차적인 것이고, 도시형의 환경이 구성됨
출처: ROS User's Guide, Forest Service, USDA
ROS 분류가 산림경영을 이끌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현재에서는 불분명한 것이다. 각 산림은 ROS에 의해 해석되고 이것에 따라 기준을 설정한다. ROS는 경영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ROS의 과정을 설정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은 국유림 경영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자원의 조사는 각 하부경영단위에 대한 ROS 분류 과정의 한 부분이다. 자원조사가 끝나면 주어진 산림에서 대중의 요구와 ROS 분류를 비교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대중이 요구하는 만큼 ROS 분류체계를 적용된 휴양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임도의 밀도가 낮은 편이지만, 원시지역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임도의 개설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산림경영계획은 다른 분류 지역까지 장기적인 개발 계획이 필요하며, 또한 대중의 요구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