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궁중음악의 쇠퇴
2. 민간 풍류방음악의 발달
3. 전문예능인의 음악
4. 조선후기 음악사의 경향
2. 민간 풍류방음악의 발달
3. 전문예능인의 음악
4. 조선후기 음악사의 경향
본문내용
다.
많은 관현타악기의 합주로 연주되던 음악의 편성이 축소되면서, 현악기가 줄어들거나 탈락되어 관악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전문 음악인에 의한 궁중음악이나 민간의 대풍류곡들이 관악위주의 편성이 된다.
다양한 변주곡이 만들어져 연주곡목을 확대하였다. <영산회상>과 <가곡>의 곡목이 확대되는 과정이나, <보허자>의 변주곡이 모두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기존의 음악작품을 부분적으로 변형시켜 곡목을 확대하는 방법이 우리음악에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 가는 전통적인 방법이었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음악의 일반적인 특징은 대부분의 악곡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음역이 고음화되는 경향이다. 여러 변주곡이 첨가되어 큰 규모의 모음곡이 되는 과정에서, 느린 악곡의 장식음이 덜어져 나가면서 속도가 빨라지는 악곡을 계속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울러 평조의 악곡이 줄어들고, 그 보다 높은 악조인 우조의 악곡이 늘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유교의식이나 궁중 의례의 부수적인 기능을 주로 담당하던 조선 전기의 음악과는 달리, 민간의 음악이 조선 음악문화를 주도하면서, 개인의 감정을 중시하기 시작한 당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많은 관현타악기의 합주로 연주되던 음악의 편성이 축소되면서, 현악기가 줄어들거나 탈락되어 관악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전문 음악인에 의한 궁중음악이나 민간의 대풍류곡들이 관악위주의 편성이 된다.
다양한 변주곡이 만들어져 연주곡목을 확대하였다. <영산회상>과 <가곡>의 곡목이 확대되는 과정이나, <보허자>의 변주곡이 모두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기존의 음악작품을 부분적으로 변형시켜 곡목을 확대하는 방법이 우리음악에서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 가는 전통적인 방법이었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음악의 일반적인 특징은 대부분의 악곡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과, 음역이 고음화되는 경향이다. 여러 변주곡이 첨가되어 큰 규모의 모음곡이 되는 과정에서, 느린 악곡의 장식음이 덜어져 나가면서 속도가 빨라지는 악곡을 계속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울러 평조의 악곡이 줄어들고, 그 보다 높은 악조인 우조의 악곡이 늘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유교의식이나 궁중 의례의 부수적인 기능을 주로 담당하던 조선 전기의 음악과는 달리, 민간의 음악이 조선 음악문화를 주도하면서, 개인의 감정을 중시하기 시작한 당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 데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