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기의 8분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편종(編鐘)
방향(方響)
징과 대금(大金)
편경(編磬)
특경(特磬)
금(琴)
장고(杖鼓0
태평소(太平簫)

본문내용

엇갈리게 꿰어 매단 것이다. 뇌고나 영고처럼 진고(晋鼓)를 따라 같이 쳤다.
노도는 북 두 개를 서로 엇갈리게 꿰어 북통에 붉은 칠을 하였다. 뇌도, 뇌고가 천신제향에 쓰이고 영도, 영고가 지신 제향에 쓰인데 대하여 노도, 노고는 북면이 4면이고 인신 제향에 쓰였다. 인신의 제향은 선농(先農), 선잠(先蠶), 문묘(文宣王: 孔子) 등의 제향인데 선농.선잠은 없어지고 지금은 문묘의 제향에 쓰인다. 노도와 노고도 조선왕조 세종 때부터 사용되었으며, 노도도 음악을 시작하기 전에 세 번 흔들어 소리를 낸다.
소고(小鼓)는 북보다 작은 크기의 북으로 농악이나 사당패, 선소리패 등에서 사용하는 악기이다. 보통 지름이 한뼘 반 정도가 되게 만든 통에 개가죽을 양쪽에 대고 개가죽 끈이 나 노끈으로 매어 만든다. 소고는 북보다 높은 소리가 나는데 북과 음색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방편이었다. 소고에는 손에 들 수 있게 손잡이를 만들어 놓았는데 사당패나 선소리패의 소고는 좀 크고 농악에서 쓰이는 소고는 비교적 작다
박은 6개의 판자쪽을 사슴 가죽끈으로 꿰어 만든 타악기이다. 한쪽을 가죽끈으로 묶어 놓았기 때문에 반대쪽을 잡고 부챗살처럼 벌렸다가 급히 모으면서 치면 큰 소리가 난다. 대개 음악을 시작할 때와 그칠 때 치며 연주를 시작할 때는 한번을 치며 끝날 때는 세 번 이상 쳐서 연주를 마쳤으나 오늘날에는 세 번만 쳐서 음악을 끝낸다. 악절이 바뀌거나 모음곡을 연주할 경우 한 곡이 끝날 때 마다 한번씩 치고, 무용 반주에서는 춤사위가 달라질 때마다 박을 친다. 그러므로 박은 지휘자의 역할을 담당하며 실제 연주에서는 음악의 내용과 진행을 잘 아는 원로 악사가 담당한다. 또한 궁중 음악의 연주시 박을 치는 악사의 의상은 초록색으로 일반 연주자의 붉은 색과 구별되며 무대 한쪽에 서서 지휘역을 담당하며 이를 집박(執拍)이라고 한다. 또한 상아나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모양의 박도 있는데 이것의 이름은 아박(牙拍)이라 하여 춤을 출 때 손에 들고 손에 들고치면서 춤을 추는데 이 춤을 아박무(牙拍舞)라고 한다.
축은 나무 상자 중앙에 방망이가 꽂혀 있고, 상자는 대(臺) 위에 올려져 있다. 축은 어와 함께 종묘와 문묘의 제례악에 사용된다. 축은 음악의 시작을 신호하는 악기로서 동쪽에 놓고, 그치는 것을 신호하는 어는 서쪽에 놓는다. 음악을 시작할 때 먼저 특종을 한 번 친 다음 축 세 번, 절고 한 번 치는 것을 세차례 반복한 다음, 다시 특종을 한 번 치고서 합주가 시작된다. 어와 함께 고려 때부터 사용된 이 악기는 지금도 문묘와 종묘의 제례악에 쓰인다.
어는 나무로 만든 호랑이의 등 위에 27개의 톱니가 있다. 문묘와 종묘의 제례악에 쓰이는데 음악을 마칠 때 9갈래로 쪼개진 대나무 채로 호랑이의 머리를 세 번 치고 등 위의 톱니를 한 번 긁는 것을 세 번 반복한다.
태평소(太平簫)는 궁중 의식 음악에 쓰일 때 불리는 이름이고 민간에서는 이 악기를 '호적(胡笛)' 또는 '날나리' 등으로 부른다. 나무를 깎아 만든 원추형 관의 넓은 쪽 끝에 구리로 나팔 모양 을 만들어 붙이고 반대편에는 갈대로 만든 작은 서(reed)를 꽂아 입에 물고 부는 악기이다. 한국 전통악기 중에서 음량이 가장 큰 선율 악기로, 궁중에서 군대의 행진음악이나 민간에서 농악, 굿 등에도 널리 쓰인다. 농악에서 쓰일 때 태평소는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 모리 등 가락에 따라 구성지게 불기도 하지만 즉흥적으로 중심 가락의 변주를 만들기도 한 다. 판굿에서 유일한 선율악기로 단조로울 수 있는 판을 활기차고 들뜬 분위기로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은 대취타, 정대업, 시나위, 농악 등에 사용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5.21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