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전』에 나타난 노동의 교육적 의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 말

Ⅱ. 정산종사의 교육사상

Ⅲ. 근로교육의 의미

Ⅳ. 현대교육에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런 교리사상에 바탕하여 정산종사가 제시한 근로교육은 구체적 시대적 상황속에서 경제적 현실문제 해결과 아울러 근로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처방으로 제시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정산종사가 제시해 준 근로교육이 과연 오늘 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근로교육은 단순한 노동을 통한 교육이라는 의미를 넘어 일 자체가 수행이자 공부가 그곳에서 진행되도록 하는 이른바 일속에서 수행하는 생활 속의 수행, 공부를 강조하는 교리정신은 오늘날 노작교육의 의미와도 일치하는 바라고 생각된다. 이런 노작교육은 단순한 결과 위주의 교육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이면서 학습자가 직접 경험을 통하여 학습의 기회를 확대하고 학습의 흥미와 욕구를 증대한다는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한편으로 이런 근로교육의 정신이 구체화되어지기 위해서는 근로교육이 구체적 교육 현장에서 그 의미가 확인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실험과 검증을 통한 근로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근로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그리고 평가에 이르기까지 보다 구체적이고 단계적이며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단지 일을 하다 보면 근로교육의 효과도 확인되고 일도 잘된다는 종래 도제교육의 형태로부터 벗어나 보다 과학적이고 사실적이며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하겠다..
<참고문헌>
1.우리 말 단행본.
강만길(1998),「한국근대사 속에서 본 송정산의 건국론」,17회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발표논문.
김귀성(1992),「정산종사의 사회교육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원불교사상』 15집.
김정환(1988),『현대의 비판적 교육이론』 서울: 박영사.
노영구 역(1995),『양반』 도서출판 강.
서울대교육문제연구소(1994),『교육학대사전』 하우.
손인수(1992),『미군정과 교육정책』 민영사.
신일철(1978),「인간성과 행위」,『삼성세계대사상전집』,서울: 삼성출판사.
심성보(1998),『한국교육의 새로운 모색』 내일을 여는 책.
오욱환 외(1993),『미군 점령시대의 한국교육』 지식산업사.
柳久雄( 임상희 역,1993),『교육사상사』 서울:백산서당.
유광호 외(1992),『미군정시대의 경제정책』 92-1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원불교 정화사(1992),『원불교전서』 원불교출판사.
이돈희(1992), 『죤듀이-교육론』 서울대출판부.
정산종사탄생백주년 기념사업회 편(1998),『평화통일과 정신종사 건국론』 원불교 출판사.
죤듀이(이인기 역,1988),『학교와 사회』 서울:박영사.
------(오천석 역,1988),『경험과 교육』 서울:박영사.
------(--------,1988),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984),『듀이사상선집』 서울:박영사.
크루프스카야(한신대제삼세계문제연구소 역,1989),『국민교육론』 서울:돌벼개.
한국교육철학연구회(1985),『현대교육철학의 제문제』 서울: 집문당.
2.우리 말 논문.
강승규(1990),「죤 듀이의 판단이론 연구」 고대대학원 박사논문.
곽준식.김순자(1993),「노작교육을 통한 도덕성형성에 관한 연구」 『진주농전논문집』.
구봉수(1986),「죤 듀이의 인간관과 칼 막스의 인간관 비교연구」한양대박사논문.
김기민(1992),「노작교육의 성격과 가치」 서울대 대학원 박사논문.
김영식(1978),「소련 교육사상연구」안톤세비노비치 마카렌코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론을 중심으
으로」 『교육학연구』 16.1.(1978.5) 16-28.
문형만(1978),「G. Kerschensteiner의 교육사상연구」 동국대대학원 박사논문.
박동희(1985),「노작교육의 지도사례」 『부산교육』.
박성정(1986),「산업사회에 서의 노동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이병주(1975),「도행지 박사와 중국의 교육이념」,한대중소문제연구소,『중국문제』 1-1(1975.12)
전일균(1988),「케르센슈타인의 노작교육론에 대한 연구」고려대 대학원 석사논문.
정광희(1986),「경험과 노동의 교육적 의미」-듀이와 막스를 중심으로-이대석사논문.
정건영(1967),「죤듀이의 교육적 경험론」,『교육학연구』 5 (1967).
정영수(1993),「페스탈롯찌의 노작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정진성(1990),「일제시기 노동실태와 노동쟁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의 식민지지배와 생활상』,연구논총 90-10.
관준식,김순자(1992),「노작교육을 통한 도덕성 형성에 관한 연구」,『진주농전 논문집』 31.
山崎高哉(1993),『Kerschensteiner-敎育學의 理論과 意義』 東京:玉川大學出版部.
世界敎育史硏究會 編(1978),『アメリカ 敎育史 I.II. 世界敎育史大系17 18』 , 東京:講談社.
小林澄兄(1936),『勞作敎育論』 東京: 成美堂書店.
--------(1971),『勞作敎育思想』 東京:玉川大學出版部.
小西重直(1939),『勞作敎育』 東京: 玉川大學出版部.
小澤周三 外(1993),『敎育思想史』 東京: 有斐閣.
三浦喜雄(1934),『人間學と 勞作敎育の 實踐』 東京: 新生閣.
阿部洋(1981), 『現代に生きる敎育思想』 東京: きょうせい.
Zilberman Victor(1988),"Anton Makarenko: Contribution to Soviet Educational Theory", The
Journal of Educational Thought,Vol22-1,April 1988.
Dewey J(1989),"The Place of Manual Training in Elemantary Course of Study",
J Dewey,The Early Works Vol 1.,Cabondale and Edwarsville: Southern Illinois Uni Press,
1899-1901,PP.230-237.
-----,"Work and Play in Education",Clopton W Robert/ Chen Ou Tsuin,J Dewey Lecturs
in China(1919-1920),Honolulu: The Uni Press of Hawaii,1973,PP.197-202.
송정산의 삼동윤리와 대안교육

키워드

세전,   노동,   의미,   직업,   개화파,   교육사상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5.2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