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사은사상의 과학적 조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서 론
Ⅱ.원불교 사은의 세계관
Ⅲ.과학적 세계관
1.현대우주론과 물질의 생성과정
2.생물계와 그 진화
Ⅳ.결 어

본문내용

전체적 방향성을 훌륭히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지적할 수 있다. 즉, 변화와 전환은 어떤 작용에 의해서 유발될 것인데 우주만물에 대한 총체적 작용의 결과가 전체적으로 볼 때, 생산적이고 안정과 진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사은관은 그러한 긍정적인 작용을 은 으로 표현하여 우주만물이 진화해가는 세계관을 제시한 것인데 앞에서 살펴 본 과학적자연관은 이와 잘 부합되고 있다고 하겠다.
사은사상은 실로 우주자연의 역동적 방향성과 윤리성을 아울러 갈파한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우리는 원불교의 세계관이 과학의 그것과 상충되지 않을뿐 아니라 잘 연계되고 부합되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는데, 한 거름 나아가서 사은사상과 과학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언급이 필요한 것 같다. 의심할 여지도 없이 과학은 앞으로도 발달을 계속하여
더욱 그 시야를 넓히고 인류의 문명(물질문명)을 높여 갈 것인데 사은사상은 여기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 왜냐 하면 종교의 궁극적 역할은 인류사회를 낙원으로 만드는데에 있겠으니 그 사상이 과학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과학이 가져올 수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줄 수 있는 방법과 대책(사상과 윤리)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스럽기 때문이다.
과학문명의 인류에 대한 부작용을 여기서 일일이 열거할 필요는 없겠으나 여기서는 대표적인 것으로 인류가 당면한 환경문제만을 예로 들고자 한다.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사상적 근거를 생각해 보면, 자기자신이나 일류자신만을 과학문명의 수해자로 삼으려는 사고가 모든 환경오염과 파괴를 야기시켰다고 볼 수 있겠다. 인류상호간의 개인적이기주의는 물론, 집단적이기주의, 나아가서는 다른 생명체나 자연계를 일류의 정복대상이나 예속적 존재로 보고 경시하는 사고에서 이 문제가 야기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사고 방식으로 과학문명의 과실을 향유하여 왔던 인류는 뒤늦게야 이것이 자기자신을 해롭게 하고 멸망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지금 그 대책을 개별적으로나마 추구하고 강구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원불교의 사은사상은 모두가 은 의 관계에 있다고 갈파한다. 생명체는 물론이고 무기물질(천지은에 포함됨)까지를 존중하고 공경하는 사고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에 입각해서 과학적 지식과 과실을 사용하고 관리한다면 어떠한 어려운 환경의 문제도 충분히 해결하여 과학문명을 인류의 행복과 번영을 위해서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게될 것이 틀림없다. 그래서 우리는 원불교의 사은사상이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지대한 공헌을 하리라는 것과 과학이 발달하면 할 수록 인류에게 필요불가결한 사상으로 받아들여지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겠다.
< 참 고 문 헌 >
[1] 원불교 정전, 교의편 제 2장 ( P 27 )
[2] 원불교 대종경 제 1장 ( P 95 )
[3] 과학에 대한 문헌을 모두 열거 할 수 없으나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기초현재문리학과 초급생물학의 대학교과서에 수록된
것이다.
[4] 주간지 TIME " 1993년 12월 10일호 참조.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5.2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