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형상을 발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존재자의 원인으로서의 공통의 좋음을 발견하는 것이며 동시에 그것을 지향하는 변증법적 과정을 모색하는 것이다.3) 플라톤은 이데아의 존재에 증명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데 그 방법이 바로, 가설의 방법에 의해서 이데아가 가정되고, 이렇게 가정된 이데아로부터 만물의 생성, 소멸을 좀더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1) 「플라톤의 대화 : 파이돈 편」, 최명관 역, (서울, 종로서적, 1981) 본문의 번역으로 인용하고,「파이돈」은 본문에서 (H. Stepanus)페이지만 표시함.
2) 케베스는 당시 일반적인 그리스인들의 상식적인 사유의 틀을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
3) 「플라톤 이데아의 실재성 비판」김은중(연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6-97)인용
1) 「플라톤의 대화 : 파이돈 편」, 최명관 역, (서울, 종로서적, 1981) 본문의 번역으로 인용하고,「파이돈」은 본문에서 (H. Stepanus)페이지만 표시함.
2) 케베스는 당시 일반적인 그리스인들의 상식적인 사유의 틀을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
3) 「플라톤 이데아의 실재성 비판」김은중(연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6-97)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