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 약》
본 연구는 대학의 지역사회개방을 위한 방안 모색의 하나로 경북대학교 명예학생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과 확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경북대학교 명예학생제도는 일정 연령 이상의 지역 주민들에게 대학의 모든 강좌를 무료로 개방하고 일정한 학점을 취득하면 수료증을 교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강과목의 선택과 교육기간을 전적으로 명예학생 스스로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지역과 안동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구지역과 안동지역의 주민들은 다 같이 평생교육의 욕구가 높았고 평생교육 주관 기관으로 대학을 선호했다. 그리고 교육이 상당기간 지속적이고 그 비용이 저렴하거나 무료이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어떤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라기 보다 지적 욕구 충족과 사회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응에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경북대학교 명예학생제도는 지속 및 확산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 가장 적합한 평생교육의 방법 중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의 지역사회개방을 위한 방안 모색의 하나로 경북대학교 명예학생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과 확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경북대학교 명예학생제도는 일정 연령 이상의 지역 주민들에게 대학의 모든 강좌를 무료로 개방하고 일정한 학점을 취득하면 수료증을 교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강과목의 선택과 교육기간을 전적으로 명예학생 스스로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지역과 안동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구지역과 안동지역의 주민들은 다 같이 평생교육의 욕구가 높았고 평생교육 주관 기관으로 대학을 선호했다. 그리고 교육이 상당기간 지속적이고 그 비용이 저렴하거나 무료이기를 바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어떤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라기 보다 지적 욕구 충족과 사회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응에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경북대학교 명예학생제도는 지속 및 확산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 가장 적합한 평생교육의 방법 중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
본문내용
들에 대한 조사에서 첫째 지속 가능성과 중소도시에의 확산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응답자들은 평생교육의 욕구 및 필요성 인식정도가 상당히 높았다. 둘째, 평생교육기관으로 대학을 선호하였다. 셋째, 지속적인 형태의 교육을 원하고, 비용이 저렴하거나 무료이기를 바란다. 넷째, 자격취득보다는 지적 욕구충족과 사회변화에 대한 이해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경북대학교 명예학생제도는 대학의 지역사회개방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제도는 더욱 확산되어야 할 것이고, 안동과 같은 중소도시에서의 피교육욕구가 더 강한 점으로 보아 확산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UNESCO(1979). Terminology of Adult Education, Paris : UNESCO
곽영우(1982). 학교기관을 통한 사회교육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교육연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곽영우 강윤중(1985). 농촌과 도시여성의 사회교육요구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교육연구. 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권영완(1987). "대학성인교육에 대한 교수 태도 연구". [사회교육연구]제12권.한국사회교육협회.
김남선(1989). 지역사회개발학. 대구: 홍익출판사.
문병집(1978). 지역사회개발론. 서울: 법문사.
백명희(1985). "대학의 연장교육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연구실.
안규금(1991). 대도시 인접지역사회개발을 위한 학교의 사회교육적 역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안태윤(1995). "대학사회교육의 조직과 행정". 대학사회교육 전국심포지움 주제강연.
이민영(1988). "여성사회교육의 현황과 당면과제". [사회교육] 제 2집.호남대학 사회교육연구소.
이숙원(1988). 한국 대학개방교육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정지웅(1995). "대학사회교육의 이념과 목적". 대학사회교육 전국심포지움 주제강연.
정지웅 김지자(1986). 사회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조민주(1992). 사회교육을 위한 컴퓨터 통신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운실 이희수(1987). "개방형 고등교육체제를 중심으로 한 영국 성인교육의 발전동향". [사회교육연구]제12권. 한국사회교육협회.
한국사회교육협회(1980). 사회교육제도의 비교. 사회교육전문가 세미나 보고서.
한방교(1985). 전문대학교육의 평생교육적 측면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황종건(198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유대". [사회교육연구] 제 7권. 한국사회교육협회.
황종건(1993). "삶의 질을 위한 사회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주최 제 3회 학술세미나 주제 발표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5.8 등록)
황종건(1995). "대학사회교육의 과제와 전망". 대학사회교육 전국심포지움 주제강연.
황종건(1996). "사회교육과 사회교육 연구". 한국교육학회 사회교육연구회 주최 연구세미나 발표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5.22 등록)
황종건(1996). "성인교육의 형태와 내용". 중앙교육연구소 주최, 민주시민교육 제주세미나 발표 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 5.8 등록)
황종건(1996). "한국의 사회교육체제 분석". 21세기 정책연구원 주최 "21세기를 향한 교육" 세미나의 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 5.9 등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staina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honorary student" program as one of the ways in which open access is given to the community.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norary student program works by allowing those over a specified age to freely register for any course(s) and the duration in which the course(s) is to last, exempt from tuition, and confering upon the student a certificate upon arriving at a pre-specified grade point. This study samples citizens of Taegu and An-Dong in an effort to achieve these aims.
The results show the citizens'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as being high. They wish for the program to be longer in duration and for there to be no tuition, or little if fees are to be levied. Moreover, they prefer and are content with the university as owner and manager of the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ents in partaking in the program was not for the attainment of a certificate but for the sake of gaining knowledge,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nd the adaptability to societal changes. As a result the findings adequately give support for not only the present and future livlihood of the program but for its adequacy at the present as among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참고문헌
UNESCO(1979). Terminology of Adult Education, Paris : UNESCO
곽영우(1982). 학교기관을 통한 사회교육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교육연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곽영우 강윤중(1985). 농촌과 도시여성의 사회교육요구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교육연구. 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권영완(1987). "대학성인교육에 대한 교수 태도 연구". [사회교육연구]제12권.한국사회교육협회.
김남선(1989). 지역사회개발학. 대구: 홍익출판사.
문병집(1978). 지역사회개발론. 서울: 법문사.
백명희(1985). "대학의 연장교육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연구실.
안규금(1991). 대도시 인접지역사회개발을 위한 학교의 사회교육적 역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안태윤(1995). "대학사회교육의 조직과 행정". 대학사회교육 전국심포지움 주제강연.
이민영(1988). "여성사회교육의 현황과 당면과제". [사회교육] 제 2집.호남대학 사회교육연구소.
이숙원(1988). 한국 대학개방교육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정지웅(1995). "대학사회교육의 이념과 목적". 대학사회교육 전국심포지움 주제강연.
정지웅 김지자(1986). 사회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조민주(1992). 사회교육을 위한 컴퓨터 통신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운실 이희수(1987). "개방형 고등교육체제를 중심으로 한 영국 성인교육의 발전동향". [사회교육연구]제12권. 한국사회교육협회.
한국사회교육협회(1980). 사회교육제도의 비교. 사회교육전문가 세미나 보고서.
한방교(1985). 전문대학교육의 평생교육적 측면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황종건(1982).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유대". [사회교육연구] 제 7권. 한국사회교육협회.
황종건(1993). "삶의 질을 위한 사회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주최 제 3회 학술세미나 주제 발표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5.8 등록)
황종건(1995). "대학사회교육의 과제와 전망". 대학사회교육 전국심포지움 주제강연.
황종건(1996). "사회교육과 사회교육 연구". 한국교육학회 사회교육연구회 주최 연구세미나 발표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5.22 등록)
황종건(1996). "성인교육의 형태와 내용". 중앙교육연구소 주최, 민주시민교육 제주세미나 발표 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 5.8 등록)
황종건(1996). "한국의 사회교육체제 분석". 21세기 정책연구원 주최 "21세기를 향한 교육" 세미나의 논문. 하이텔 자료임(1996. 5.9 등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ustainabi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honorary student" program as one of the ways in which open access is given to the community.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norary student program works by allowing those over a specified age to freely register for any course(s) and the duration in which the course(s) is to last, exempt from tuition, and confering upon the student a certificate upon arriving at a pre-specified grade point. This study samples citizens of Taegu and An-Dong in an effort to achieve these aims.
The results show the citizens'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as being high. They wish for the program to be longer in duration and for there to be no tuition, or little if fees are to be levied. Moreover, they prefer and are content with the university as owner and manager of the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ents in partaking in the program was not for the attainment of a certificate but for the sake of gaining knowledge,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nd the adaptability to societal changes. As a result the findings adequately give support for not only the present and future livlihood of the program but for its adequacy at the present as among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추천자료
지역사회협의회의 개념정의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기관방문을 통한 인터뷰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학]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와교육
[사회복지협의회][사회복지][지역사회복지협의회][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협의회의 성격, 사회...
지역사회복지론 -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지역사회복지 현안과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의 역할에 대해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 또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을 통한 사회통합이 일어나고 있는 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주민 욕구와 지역사회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
사회복지 현장에서 겨울철 김장을 담그기 힘든 지역 주민들을 위해 김장을 나눠주기 위해서 ...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념에 대하여 서술 - 지역사회복지
다른 나라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중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도입하고 싶은 모형을 선택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통제적 성격과 지역사회환경과 생활개선의 의미를 기술하고 이 두 운동...
[프로그램개발평가] 학습자가 생활하는 지역사회의 욕구와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