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양 철학과 그 해석 인간 해방을 중심으로..
들어가며
중심말 利欲으로부터의 해방
계급 질서로부터의 해방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해방
맺으며
들어가며
중심말 利欲으로부터의 해방
계급 질서로부터의 해방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해방
맺으며
본문내용
있다. 누가 참된 정치를 알겠는가? 다만 바로잡으려고 하지 않을 뿐이다.
『도덕경』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孰知其極, 其無正.」
』 라고 하였다. 이 말은 화와 복이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자신의 행동이 참된 정치임을 내세우며 세상을 바로잡겠다고 하는 명분들도 다만 인위적인 편견에 지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지적한 것이다.
老子와 莊子가 제시한 해방의 방법은 결국 자연의 도의 따르는 것으로 귀결된다. 老子와 莊子는 모든 것을 상대화시킴으로써 사물의 상대적 일면만을 절대화하는 이데올로기를 批判했다. 그리고 이러한 상대화를 통해서 절대 가치 체계에서 소외된 개체의 자기 동일성을 확보함으로써 이데올로기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를 얻으려고 한 것이다.
老子의 사상이 사회적 지향이라면 莊子의 지향은 개인의 해탈로 귀결된다. 莊子 첫머리에 곤이라는 물고기가 변해서 된 붕새. 등 넓이가 몇 천리나 되는지 알지 못하며 날개를 펴면 웅장하기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고 날갯짓을 할 때마다 물살이 3천리나 튄다는 그 새. 9만리를 곧장 올라가서 남쪽 바다를 향해 여섯 달을 날아간 뒤에야 한 번 쉰다는 붕새는 아무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莊子의 정신 세계를 상징한 것이다.
『장자』 「소요유」 「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 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 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
雲. 是鳥也, 海運則將徒於南冥. 南冥者, 天池也.」
맺으며
오늘날 우리는 資本主義의 발전에 따른 물질적 풍요에 따른 것과 그 반대급부로 물질에 속박된 삶을 모습을 보이며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인한 계층간 대립을 보고 있으며 사회의 다양성으로 인한 이데올로기의 혼란을 보고 있다.
儒家는 생리적 본능이나 이욕추구를 비본질적 자아로 보고 그러한 상태의 구속으로부터 해방을 얻어 도덕적 자아를 완성하려는 것이었다. 道家는 자의적인 주관들이 만들어 낸 허구적 이데올로기들이 인간을 억압하는 것을 반대하고 모든 것을 상대화하여 만물과 하나된 인간의 참 자유를 얻으려고 하였다. 墨家는 개인 내지는 집단의 이익에 얽매인 사회 조건 속에서 정치적 평등과 사회적 평등을 통한 계급 해방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볼 때, 동양철학에서 보는 인간 해방은 비본질적 존재인 또다른 자기 자신으로부터 자유를 얻는 것이었으며 그 과정은 수양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동양철학이 추구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자기로부터의 해방이다.
『도덕경』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孰知其極, 其無正.」
』 라고 하였다. 이 말은 화와 복이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자신의 행동이 참된 정치임을 내세우며 세상을 바로잡겠다고 하는 명분들도 다만 인위적인 편견에 지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지적한 것이다.
老子와 莊子가 제시한 해방의 방법은 결국 자연의 도의 따르는 것으로 귀결된다. 老子와 莊子는 모든 것을 상대화시킴으로써 사물의 상대적 일면만을 절대화하는 이데올로기를 批判했다. 그리고 이러한 상대화를 통해서 절대 가치 체계에서 소외된 개체의 자기 동일성을 확보함으로써 이데올로기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를 얻으려고 한 것이다.
老子의 사상이 사회적 지향이라면 莊子의 지향은 개인의 해탈로 귀결된다. 莊子 첫머리에 곤이라는 물고기가 변해서 된 붕새. 등 넓이가 몇 천리나 되는지 알지 못하며 날개를 펴면 웅장하기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고 날갯짓을 할 때마다 물살이 3천리나 튄다는 그 새. 9만리를 곧장 올라가서 남쪽 바다를 향해 여섯 달을 날아간 뒤에야 한 번 쉰다는 붕새는 아무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莊子의 정신 세계를 상징한 것이다.
『장자』 「소요유」 「北冥有魚, 其名爲鯤. 鯤之大, 不知其幾千里也. 化而爲鳥,
其名爲鵬. 鵬之背, 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
雲. 是鳥也, 海運則將徒於南冥. 南冥者, 天池也.」
맺으며
오늘날 우리는 資本主義의 발전에 따른 물질적 풍요에 따른 것과 그 반대급부로 물질에 속박된 삶을 모습을 보이며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인한 계층간 대립을 보고 있으며 사회의 다양성으로 인한 이데올로기의 혼란을 보고 있다.
儒家는 생리적 본능이나 이욕추구를 비본질적 자아로 보고 그러한 상태의 구속으로부터 해방을 얻어 도덕적 자아를 완성하려는 것이었다. 道家는 자의적인 주관들이 만들어 낸 허구적 이데올로기들이 인간을 억압하는 것을 반대하고 모든 것을 상대화하여 만물과 하나된 인간의 참 자유를 얻으려고 하였다. 墨家는 개인 내지는 집단의 이익에 얽매인 사회 조건 속에서 정치적 평등과 사회적 평등을 통한 계급 해방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볼 때, 동양철학에서 보는 인간 해방은 비본질적 존재인 또다른 자기 자신으로부터 자유를 얻는 것이었으며 그 과정은 수양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동양철학이 추구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자기로부터의 해방이다.
추천자료
동아시아 군주 권력과 국가(대동사상과 이상적인 황제 정치)
노자의 도덕경에 대해서(도가사상)
[실학] 한국의 민주사상과 실학의 의의
[묵자][공리주의][묵자의 원류와 사회적 배경][묵자의 학설][묵자의 공리주의]묵자의 원류와 ...
[성리학의 이해] '주자의 생애와 철학사상'에 대하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
교육사상가(유아교육) 아리스토텔레스와 에라스무스, 교육사상가(유아교육) 루터와 코메니우...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무스, 루터,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
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학)의 개념과 원리, 풍수지리사상(풍수지리학)의 용어와 영향, 풍수지...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서양사상(서양철학)의 특징, 서양사상(서양철학)의 의의,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피스트, 서...
서양사상(서양철학)의 개요,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피스트,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크라테...
동학사상(東學思想)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과 그 의미 - 동학의 인간평등사상, 민중속에 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