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관리기사 1차 기출문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6-1 설비보전의 종류

6-2 TPM 및 설비종합효율

본문내용

동 시 간




실 질
가동시간




가 치
가동시간




8 대 손실
설비 종합효율의 계산
① SD 손실
시간가동률``=`` {부하시간-정지시간} over {부하시간} × 100
(예)~~~~ ={460분- 60분} over {460분} × 100 = 87%
② 생산조정손실
③ 설비고장손실
성능가동률`=`{기준사이클타임 × 가공수량} over {가동시간} × 100
(예) ~~~= {0.5분/개 × 400개} over 400분 × 100 = 50%
④ 프로세스 고장손실
⑤ 정상생산손실
⑥ 비정상 생산손실
양품률 = {가공수량-불량수량} over {가공수량} × 100
(예) ~~~= {400개 - 8개} over 400개 × 100 = 98%
⑦ 품질불량손실
⑧ 재가공손실
설비종합효율=시간가동률×성능가동률×양품률
(예) 0.87×0.50×0.98×100=42.6%
[참고]
생산의 종합적 효율화를 높이려면 생산의 output인 P Q C D S M을 최대로 해야 하는데, 효율화대상인 4M을 극대화 해야 한다.
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생산량(P:Production) 품질(Q:Quality)
원가(C:Cost) 납기(D:Delivery)
안전(S:Safety) 환경(M:Morale)
② 효율화 대상
Machine:설비의 효율화 Material:원재료, 에너지의 효율화
Man:작업의 효율화 Method:관리의 효율화
2. 설비효율화를 저해하는 Loss (손실)
(1) 8 대 Loss (장치산업인 경우)
구 분
8 대 loss
내 용
휴지
loss
① SD(shut-down) loss
(계획보전 loss)
연간보전계획에 의한 SD공사, 정기정비, 법정정비, 자주검사, 일반보수공사 등으로 인한 휴지시간
② 생산조정 loss
생산계획상의 생산조정 정지시간 재고조정을 위한 정지시간
정지
loss
③ 설비고장 loss
설비 기기가 규정된 기능을 상실하여 돌발적으로 정지하는 시간
④ 프로세스(process)
고장 loss
공정 내의 취급물질의 화학적 물리적인 물성변화, 조작미스, 분진비산 등으로 펌프가 정지하는 시간
성능 loss
⑤ 정상생산 loss
플랜트의 스타트 후의 안정화, 정지전의 감속운전, 품종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속도 저하로스
⑥ 비정상생산 loss
플랜트 이상으로 인하여 저부하운전, 저속운전, 기준생산 rate 이하로 down시켜 운전함에 따른 성능 loss
불량
loss
⑦ 품질불량 loss
불량품, 폐기품, 2등급품으로 인한 물량, 시간상의 loss
⑧ 재가공 loss
최종공정에서 불량품을 양품으로 만들기 위해 원류공정으로 recycle하는데 따른 loss
(2) 6 대 Loss (가공 조립산업인 경우)
구 분
6대 로스
내 용
목 표




① 고장정지
loss
돌발적, 만성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고장정지에 수반하는 시간적인 로스
제로
② 작업준비
조정 loss
준비작업 기종대체에 수반하는 시간적인 로스. 생산을 정지하고 나서 다음 품종으로 대체, 최초의 양품이 되기까지의 정지시간
극소화




③ 공전 순간정지
loss
일시적인 트러블에 의한 설비의 정지 또는 공전 로스. 본래는 정지로스의 구분에 해당하지만 시간적 정량화가 곤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구분의 로스로써 포착한다.
제로
④ 속도저하
loss
이론 사이클 타임과 실제의 사이클 타임과의 차를 로스로써 포착한다.
제로




⑤ 불량 수선 loss
공정 중에 불량이 되는 물량적 로스
제로
⑥ 초기유동관리
수율 loss
초기생산시에 물량적 로스(시작업시나 작업준비기종대체에 발생되는 로스)
극소화
(3) 6 대 Loss 에 대한 대책
① 고장정지 loss
㉠ 기본조건의 철저한 정비 ㉡ 올바른 사용조건의 엄수
㉢ 열화의 복원 ㉣ 설비약점의 개선
㉤ 인적 결함의 방지(조작결함 수리결함방지)
② 작업준비 조정 loss
㉠ 설비 치공구의 정도 검토 ㉡ 표준화
③ 순간 정지 loss
㉠ 현장의 철저한 감시 ㉡ 미소결함의 시정
㉢ 최적조건의 파악
④ 속도저하 loss
고장정지 loss 및 불량 loss에 대한 대책과 유사함
⑤ 불량 수선 loss
㉠ 불량현상의 충분한 파악
㉡ 원인계의 재검토
㉢ 잠재적 결함 요인의 점검방법 재검토
㉣ 모든 불량요인에 대한 대책 수립
⑥ 초기유동관리수율 loss
㉠ 치구 금형의 철저한 정비
㉡ 작업자의 운전기능 향상
㉢ loss의 현재화
(4) 만성 loss 와 돌발 loss
만성이란 지속적인 것으로 항상 동일한 현상이 어떤 산포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을 규명하기가 쉽지 않고 대책을 취하기가 어렵다. 돌발이란 상황변화에 따라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규명이 비교적 쉬우며 대책을 취하면 쉽게 해결된다. 따라서 만성은 각종 대책을 세워도 잘 해결되지 않는 경향이 있으므로 혁신적인 대책을 세우는 현상타파의식을 필요로 한다.
복원적문제
원래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복원적 대책이 필요
혁신적 문제
극한 상태로 낮추기 위해
혁신적 대책 필요
극한값의 대비에 의해 손실로
표면화시킨다.
① 만성 loss의 특징
㉠ 지속적이다. ㉡ 표면화가 곤란하다.
㉢ 원인결과가 불명확하다. ㉣ 대책수립이 어렵다.
㉤ 1회 손실비용이 적다.
② 돌발 loss의 특징
㉠ 돌발적이다. ㉡ 표면화가 쉽다.
㉢ 원인 결과가 명확하다. ㉣ 대책수립이 쉽다.
㉤ 1회손실비용이 크다.
[참고] 만성손실의 특징
① 원인은 하나지만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수히 많다.
② 복합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그 요인의 조합이 상황마다 달라진다.
(5) 고장의 형태와 손실
① 고장의 형태
㉠ 파국고장:돌발고장, 기능정지형 고장으로 작동이나 기능 자체를 정지시키는 고장의 형태이다.
㉡ 열화고장:특성치나 성능을 차츰 감소시키는 고장의 형태이다.
ⓐ 기능저하형 고장 ⓑ 품질저하형 고장
② 고장으로 인한 손실
㉠ 품절로 인한 판매기회의 상실
㉡ 불량품 및 스크랩의 증대
㉢ 부분품/공정품의 공급중단으로 인한 후속공정의 정체
㉣ 납기지연으로 인한 고객의 불만
㉤ 유휴자본코스트(감가상각비 등)의 발생
㉥ 유휴노무비의 발생
㉦ 기계수리비용의 발생
㉧ 산업공해의 발생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2.05.28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2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