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1
실험2
실험3
종합논의
실험2
실험3
종합논의
본문내용
회계사의 운전수를 그 건축가가 위로한다.
㈏ 차량을 훼손한 운전수가 연구원을 거절 했다.(HA 맥락)
⑺-3 그 연구원을 거부한 회계사의 운전수가 그 건축가를 위로한다.
⑺-4 그 연구원을 거부한 회계사의 운전수를 그 건축가가 위로한다.
절차, 절차는 실험 3a와 동일했다.
결과 및 논의
<표 5>은 각 어절별 평균 읽기 시간을 나타낸다. 각 조건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이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원 변량분석 결과, 자극 문장의 첫 세 어절(그 연구원을 거부한)에 해당하는 관계절의 읽기 시간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하지만, 네 번째 어절(회계사의)에서는 부착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F1(1,39)=7.21 Mse=2512.69 p=.01, F2(1, 23)=7.48 Mse=1452.07 p=.01).
또한, NP-high 부분에 해당하는 다섯 번째 어절(운전수)에서도 부착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F1(1,39)=6.26 Mse=12328.41 p<.05, F2(1,23)=8.85 Mse=5225.67 p<.01) 또한 여섯 번째 어절인 관사에서는 격조사의 조건에 대한 주효과가 피험자 분석에서 경향성을 보였고, 자극 문장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F1(1,39)=3.70 Mse=17182.02 p=.061, F2(1,23)=5.11 Mse=7457.00 p<.05) 그리고, 주절의 주어/목적어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어절(건축가)에서 부착과 격조사 조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1(1,39)=5.56 Mse=1301.33 p<.05 , F2(1,23)=4.73 Mse=917.13 p<.05) 따라서 상호작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주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LA조건에서 '가'의 격조사를 갖는 문장이 이원상호작용을 발생시킨 것을 나타났다(F1(1,39)=7.72 p<.01, F2(1, 23) Mse=5.11 p<.05). 마지막으로 주절의 동사 부분에서는 부착과 격조사에 대해서 부착의 주효과와 격조사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회계사의
운전수
그
건축가
위로한다
LA
가
161
264
572
168
213
를
165
268
610
191
224
HA
가
184
300
595
190
225
를
184
320
637
186
239
표 5. 각 어절별 평균 읽기 시간 (음절/㎳)
실험 3 논의
<실험 3a>의 결과는 <실험 3b>와 마찬가지로 LA의 선호성을 강력하게 나타냈다. 다시 말해서 한국어의 경우, 관계절의 종류가 변한다 하더라도 관계절내 공범주를 찾는 과정에서 HA보다는 LA에 대한 선호성이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실험 3b>에서는 <실험 3a>와는 달리 문장의 마지막 동사에서 부착과 격표지의 상호작용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주절의 주어 / 목적어 역할을 하는 일곱 번째 어절에서 두 요인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또한, 주절의 관사부분에서 격표지에 대한 주효과가 F2분석에서 의미 있게 나왔다는 것이 <실험 3a>와의 차이점이다.
<실험 3b>에서 나타난 <실험 3a>와의 차이점 중의 관사부분의 의미 있는 반응시간의 차이는 관사 이전에 부착의 주효과에 의한 spill-over 효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주절의 주어 / 목적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나고, 한국어나 일본어에서 문장이 완결되고 중의성이 해소되는 동사부분에서 어떤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의외의 결과이다. 하지만, <실험 3a>와는 달리, <실험 3b>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표면 격표지가 최소한 (7)-1의 문장에는 적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격표지 조건을 갖고 있는 (7)-3문장에서는 다른 조건과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 3a>와 <실험 3b>의 결과는, 표면 격표지에 대한 가설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합 논의
본 연구는 관계절 부착의 중의성 해결이 보편적인 원리로 분해가 가능한지 혹은 언어 특수적인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가를 한국어를 이용해서 연구하였다. 특히, 유사한 언어구조를 가진 일본어에서는 부착의 이동현상이 나타났지만, 한국어는 인지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는 LC의 원리가 적용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관계절을 포함한 문장은 두 개의 명제적 표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절 내의 명제와 관계절을 포함한 주절의 명제가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관계절 내에서의 논항 중에 하나는 주절의 논항과 공유된다. 즉 하나의 명사구가 두 명제를 잇는 고리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관계절을 처리한다는 것은 두 명제들 사이에 공유되는 논항(관계절에서는 명사구)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명사구의 기능이라는 것은 관계절과 주절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말할 수 있고, 역할이라는 것은 어떤 문장 성분으로 작용되는 가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능은 단순히 관계절과 주절만을 연결시키는 경우와, 그 외에 하나 이상의 연결이 이루어진 복합기능이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은 관계절을 포함한 문장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 적인 기능일 것이다. 하지만, 명사구의 문장성분으로서의 역할은 기능과는 다르다. 주절에서만 그 명사구의 역할이 부여될 수 있고, 관계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명사구의 역할은 관계절과 주절에서 동일할 수 도 있고, 다를 수 있다.
즉, 명제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명사구의 기능과, 관계절 내에서의 역할의 유무와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문장 처리의 통합과정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가정은 <실험 3>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문장의 통합과정이 용이한 (6)-1문장이 다른 조건의 문장과 비교해서 반응시간이 짧았다. 마찬가지로 (7)-1의 문장도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문장은 관계절과 주절을 포함하는 명사구의 연결이 하나이고, 관계절에서 역할이 없으며, 하나의 문장성분으로만 작용한다. 따라서 통합과정이 문장의 마지막에 작용했다면, 위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통합과정의 가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명제의 연결 이외에 다른 과정이 개입되는지의 여부도 밝혀야 할 것이다.
㈏ 차량을 훼손한 운전수가 연구원을 거절 했다.(HA 맥락)
⑺-3 그 연구원을 거부한 회계사의 운전수가 그 건축가를 위로한다.
⑺-4 그 연구원을 거부한 회계사의 운전수를 그 건축가가 위로한다.
절차, 절차는 실험 3a와 동일했다.
결과 및 논의
<표 5>은 각 어절별 평균 읽기 시간을 나타낸다. 각 조건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이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원 변량분석 결과, 자극 문장의 첫 세 어절(그 연구원을 거부한)에 해당하는 관계절의 읽기 시간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하지만, 네 번째 어절(회계사의)에서는 부착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F1(1,39)=7.21 Mse=2512.69 p=.01, F2(1, 23)=7.48 Mse=1452.07 p=.01).
또한, NP-high 부분에 해당하는 다섯 번째 어절(운전수)에서도 부착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였다(F1(1,39)=6.26 Mse=12328.41 p<.05, F2(1,23)=8.85 Mse=5225.67 p<.01) 또한 여섯 번째 어절인 관사에서는 격조사의 조건에 대한 주효과가 피험자 분석에서 경향성을 보였고, 자극 문장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F1(1,39)=3.70 Mse=17182.02 p=.061, F2(1,23)=5.11 Mse=7457.00 p<.05) 그리고, 주절의 주어/목적어에 해당하는 일곱 번째 어절(건축가)에서 부착과 격조사 조건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1(1,39)=5.56 Mse=1301.33 p<.05 , F2(1,23)=4.73 Mse=917.13 p<.05) 따라서 상호작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주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LA조건에서 '가'의 격조사를 갖는 문장이 이원상호작용을 발생시킨 것을 나타났다(F1(1,39)=7.72 p<.01, F2(1, 23) Mse=5.11 p<.05). 마지막으로 주절의 동사 부분에서는 부착과 격조사에 대해서 부착의 주효과와 격조사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회계사의
운전수
그
건축가
위로한다
LA
가
161
264
572
168
213
를
165
268
610
191
224
HA
가
184
300
595
190
225
를
184
320
637
186
239
표 5. 각 어절별 평균 읽기 시간 (음절/㎳)
실험 3 논의
<실험 3a>의 결과는 <실험 3b>와 마찬가지로 LA의 선호성을 강력하게 나타냈다. 다시 말해서 한국어의 경우, 관계절의 종류가 변한다 하더라도 관계절내 공범주를 찾는 과정에서 HA보다는 LA에 대한 선호성이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실험 3b>에서는 <실험 3a>와는 달리 문장의 마지막 동사에서 부착과 격표지의 상호작용이 나타난 것이 아니라 주절의 주어 / 목적어 역할을 하는 일곱 번째 어절에서 두 요인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또한, 주절의 관사부분에서 격표지에 대한 주효과가 F2분석에서 의미 있게 나왔다는 것이 <실험 3a>와의 차이점이다.
<실험 3b>에서 나타난 <실험 3a>와의 차이점 중의 관사부분의 의미 있는 반응시간의 차이는 관사 이전에 부착의 주효과에 의한 spill-over 효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주절의 주어 / 목적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나고, 한국어나 일본어에서 문장이 완결되고 중의성이 해소되는 동사부분에서 어떤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의외의 결과이다. 하지만, <실험 3a>와는 달리, <실험 3b>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표면 격표지가 최소한 (7)-1의 문장에는 적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격표지 조건을 갖고 있는 (7)-3문장에서는 다른 조건과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 3a>와 <실험 3b>의 결과는, 표면 격표지에 대한 가설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합 논의
본 연구는 관계절 부착의 중의성 해결이 보편적인 원리로 분해가 가능한지 혹은 언어 특수적인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가를 한국어를 이용해서 연구하였다. 특히, 유사한 언어구조를 가진 일본어에서는 부착의 이동현상이 나타났지만, 한국어는 인지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는 LC의 원리가 적용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관계절을 포함한 문장은 두 개의 명제적 표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절 내의 명제와 관계절을 포함한 주절의 명제가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관계절 내에서의 논항 중에 하나는 주절의 논항과 공유된다. 즉 하나의 명사구가 두 명제를 잇는 고리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관계절을 처리한다는 것은 두 명제들 사이에 공유되는 논항(관계절에서는 명사구)의 기능과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명사구의 기능이라는 것은 관계절과 주절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말할 수 있고, 역할이라는 것은 어떤 문장 성분으로 작용되는 가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능은 단순히 관계절과 주절만을 연결시키는 경우와, 그 외에 하나 이상의 연결이 이루어진 복합기능이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은 관계절을 포함한 문장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 적인 기능일 것이다. 하지만, 명사구의 문장성분으로서의 역할은 기능과는 다르다. 주절에서만 그 명사구의 역할이 부여될 수 있고, 관계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명사구의 역할은 관계절과 주절에서 동일할 수 도 있고, 다를 수 있다.
즉, 명제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명사구의 기능과, 관계절 내에서의 역할의 유무와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문장 처리의 통합과정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가정은 <실험 3>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문장의 통합과정이 용이한 (6)-1문장이 다른 조건의 문장과 비교해서 반응시간이 짧았다. 마찬가지로 (7)-1의 문장도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문장은 관계절과 주절을 포함하는 명사구의 연결이 하나이고, 관계절에서 역할이 없으며, 하나의 문장성분으로만 작용한다. 따라서 통합과정이 문장의 마지막에 작용했다면, 위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통합과정의 가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명제의 연결 이외에 다른 과정이 개입되는지의 여부도 밝혀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애플 파이 파서(Apple pie parser)를 이용한 that절 구분하기
최종 주해 레포트 exegetical paper proper(민수기 25장 1-18절)
[인사][인사예절][악수]인사(인사예절)의 순서, 인사(인사예절)의 9용태(九容態), 인사(인사...
[교육행정] 제6장 교육행정 인간관계 - 인간관계와 갈등관리 (인간관계론, 갈등관리론)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문적인 원조관계 (전문적 관계원리, 의사소통, 전문직 원조관계 형성의...
[설교문][성경본문-창세기 31장 1-24절] 세속적 인간의 말로
[설교문][성경본문-창세기 33장 1-11절] 화평을 청하는 자의 자세
[설교문][성경본문-창세기 44장 18-34절] 중보자의 자세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7장 1-7절] 하나님께서 버리는 사람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8장 8-15절] 지금’, 즉시’ 응답하며 결단하고 실행하는 것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23장 14-17절] 하나님께서 지키라 명하신 세 절기의 영적 의미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21장 15-17절] 불효(不孝)와 그 응징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36장 20-34절] 하나님의 집을 짓는 성스러운 공사
[설교문][성경본문-레위기 14장 21-32절] 하나님께 헌금 드릴 때의 공통된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