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modern and Poststructural Critism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A Representative State-of-the-Art Study
II. Where Poetics and Politics Meet
III.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IV. Postmodern Cyborgs
V. Conclution
교육 의사소통과 교육공학의 딜레마는 기술과학이 이상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소박한 관념론(naive realism)의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postmodern과 poststructural theory에 기반을 두고 있는 영속적인 재사고(persistent rethinking)는 누가 기술과학을 적용하여 혜택을 받을 것인가?와 전제와 관련된 합리적 근거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필요로 한다.

*

본문내용

하세요!(Dickens, Hard Times, 1854/1990)
Gradgrind는 문화적 리터러시를 과대평가하는 가공의 구식 교장이 하는 이 말로써 이 장의 절을 끝맺는다. Gradgrind의 교육철학은
1. 적용에 있어서 권위주의적이고 광신적이며 허튼 소리에 불과하다.
2. 질적인 면에서 고루하고 추상적이며 빈약하다.
3. 적응(orientation) 면에서 볼 때 유물론적이고 상업적이다(Lodge, 1969).
포스트모던과 후기구조주의 이론이 이 장에서 탐색했던 것은 교육 의사소통 및 교육공학에서 교수 메시지 설계자와 그 밖의 전문가에게 유용하다. 비판주의가 고려되지 않는 (교육)현장은 학생들의 의례적인 절차 또는 기계, 프로그램에 의한 훈련에 불과할 뿐이다.
포스트모던과 후기구조주의의 인본주의적 비판이론 적용은 필연적인 가능성(perspective)을 제공할 것이다. 포스트모던과 후기구조주의의 대부분의 결론은 교육 현장이 정치적, 문화적, 해석적이라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비판주의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인류 평등주의 문제와 새로운 지식의 창조를 주장하며, 비판적 인식론은 의사소통과 문화로서의 교육의 공학을 고려하여 기술과학의 비중립성을 꿈꾼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5.28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