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문조사 계획서
2. 설문지 견본 1부
3. 결과 집계표
4. 설문 조사 보고서
2. 설문지 견본 1부
3. 결과 집계표
4. 설문 조사 보고서
본문내용
나오지 않았다. 이는 예측하지 못했던 변수로 작용하여 본 설문조사를 연령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에 국한하게 되었다.
(4) 위의 결과로서 관심도는 40대 > 50대 > 20대 > 30대의 순서로 나타났다.
3.통계결과에 대한 가설의 기각과 채택여부
⑴ 가설 1. 연령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
: 통계결과, 연령별 차이와 지방선거의 관심도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 다. 따라서, 가설 1. 은 채택 되었다.
⑵ 가설 2. 성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
: 통계결과가 나오지 않았으므로 기각 되었다.
4.결과에 대한 해석
연령별에 따른 관심도의 통계결과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로서 두가지 비교대상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30대의 조사인원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 40대 > 50대 > 20대> 30대의 결과로 나타났는데, 30대의 조사 대상 인원이 적정 수준이었다면 40대 > 50대 > 30대 > 20대의순으로나타날것으로예상된다.
결론을 내리자면, 40∼50대가 선거에 관심이 매우 높고 20∼30대는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우리가 조사한 결과와 T.V 신문등 방송매체의
[영남일보] 5월 31일자 - 20대 77.4% , 30대 80.1% , 40대 92.0% , 50대 90.6%
[조선일보] 6월 10일자 - 20대 67.4% , 30대 75.5% , 40대 88.2% , 50대 85.6%
[매일신문] 6월 10일자 - 대구 유권자 중, 20∼30대가 전체의 58.4%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관심이 높고 낮다라는 단순 비교는 연령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대체적으로 지방선거 자체에 대한 전체적인 관심은 40∼50대가 높지만 투표에 대한 의사(=투표율)는 20∼30대도 높은편이었다. 이것의 의미는, 40∼50대는 투표를 하더라도 지지하는 정당과 후보자가 뚜렷이 있는 반면 20∼30대(특히 20대)는 그렇지 않다는것이다. 그래서 투표할 의지는 있지만 관심이 부족하여 자신이 지지할 정당과 후보자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즉흥적으로 결정을 내릴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20대와 30대의 결과가 비슷하게 나왔지만 두세대는 구별해야한다. 20대는 첫 선거권을 행사하는 '정치적 무관심 세대'라면, 30대는 '모래시계 세대'라하여 '정치적 불신 세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가지 주목할만한 사항은, 40대만 따로 놓고 볼때, 4가지 설문 항목 중 1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관심을 나타냈는데, 아마도 사회적 활동을 가장 활발히 하는 연령층이기 때문에 그러한 결과가 나온것이라 예측된다.
지금까지 선거등의 무관심의 세대였던 우리는 주제설정,설문지작성·검토,설문조사,통계·집계,결과 까지의 과정을 통해 조금이나마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앞으로 행사하게 될 첫 선거권이 더없이 소중하게 느껴진다. 덧붙여 지금의 기성세대가 치르고 있는 이 선거가 깨끗하고 공명한 선거가 되어서 우리세대의 모범이 되었으면 좋겠다.
참 고 : 연령별 선거관심도의 그래프는 엑셀로 작성하였음......
(4) 위의 결과로서 관심도는 40대 > 50대 > 20대 > 30대의 순서로 나타났다.
3.통계결과에 대한 가설의 기각과 채택여부
⑴ 가설 1. 연령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
: 통계결과, 연령별 차이와 지방선거의 관심도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 다. 따라서, 가설 1. 은 채택 되었다.
⑵ 가설 2. 성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
: 통계결과가 나오지 않았으므로 기각 되었다.
4.결과에 대한 해석
연령별에 따른 관심도의 통계결과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로서 두가지 비교대상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30대의 조사인원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어 40대 > 50대 > 20대> 30대의 결과로 나타났는데, 30대의 조사 대상 인원이 적정 수준이었다면 40대 > 50대 > 30대 > 20대의순으로나타날것으로예상된다.
결론을 내리자면, 40∼50대가 선거에 관심이 매우 높고 20∼30대는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우리가 조사한 결과와 T.V 신문등 방송매체의
[영남일보] 5월 31일자 - 20대 77.4% , 30대 80.1% , 40대 92.0% , 50대 90.6%
[조선일보] 6월 10일자 - 20대 67.4% , 30대 75.5% , 40대 88.2% , 50대 85.6%
[매일신문] 6월 10일자 - 대구 유권자 중, 20∼30대가 전체의 58.4%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관심이 높고 낮다라는 단순 비교는 연령별에 따른 선거의 관심도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대체적으로 지방선거 자체에 대한 전체적인 관심은 40∼50대가 높지만 투표에 대한 의사(=투표율)는 20∼30대도 높은편이었다. 이것의 의미는, 40∼50대는 투표를 하더라도 지지하는 정당과 후보자가 뚜렷이 있는 반면 20∼30대(특히 20대)는 그렇지 않다는것이다. 그래서 투표할 의지는 있지만 관심이 부족하여 자신이 지지할 정당과 후보자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못하고 즉흥적으로 결정을 내릴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20대와 30대의 결과가 비슷하게 나왔지만 두세대는 구별해야한다. 20대는 첫 선거권을 행사하는 '정치적 무관심 세대'라면, 30대는 '모래시계 세대'라하여 '정치적 불신 세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가지 주목할만한 사항은, 40대만 따로 놓고 볼때, 4가지 설문 항목 중 1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높은 관심을 나타냈는데, 아마도 사회적 활동을 가장 활발히 하는 연령층이기 때문에 그러한 결과가 나온것이라 예측된다.
지금까지 선거등의 무관심의 세대였던 우리는 주제설정,설문지작성·검토,설문조사,통계·집계,결과 까지의 과정을 통해 조금이나마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앞으로 행사하게 될 첫 선거권이 더없이 소중하게 느껴진다. 덧붙여 지금의 기성세대가 치르고 있는 이 선거가 깨끗하고 공명한 선거가 되어서 우리세대의 모범이 되었으면 좋겠다.
참 고 : 연령별 선거관심도의 그래프는 엑셀로 작성하였음......
추천자료
SPSS를 통해 알아본 성안길분석
학교생활만족도에관한설문결과보고서(spss,자료분석)-조사방법,가설과 변수 설정,조사 설계,...
사회복지분석론SPSS분석-게임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SPSS를 이용한 군집분석(대학생의 노트북구매사례)
SPSS를 활용한 매출증진 분석
SPSS를 이용한 온라인게임의 충성도에 대한 고객로열티분석
spss 에 따른 데이터 분석
스쿨버스 이용실태 및 spss분석자료
SAS와 SPSS를 활용한 T-test 분석
SPSS 활용을 통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겟잇뷰티, 스타뷰티쇼 조사 회귀분석,교차분석, T테스트 결과. SPSS 회귀분석, 교차분석, T...
미스터도넛(Mister Donut) 마케팅전략(SWTO,STP,4P)분석 및 새로운 전략 제안 - 경쟁자 분석,...
SPSS-사회조사분석(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spss 판별분석 핵심과 다른 분석법과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