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버틀란피의 일반 시스템 이론
III. 일반시스템 이론의 의의와 한계
IV. 마치며
II. 버틀란피의 일반 시스템 이론
III. 일반시스템 이론의 의의와 한계
IV. 마치며
본문내용
현된다는 것은 단지 현상적으로 같을 뿐이라는 차이를 간과한다. 분명히 과학의 통일성을 모든 개별과학의 물리학으로의 환원에서 찾는 것은 무밍힌 일이지만 질적으로 전혀 관계를 지울 수 없는 대상들에 대한 방정식이 현상적으로 같다는 데에서 찾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IV. 마치며
버틀란피의 일반시스템이론의 해석론에 근거해서 라즐로나 카프라는 자신들의 시스템적 견해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버틀란피의 일반시스템이론이 대상의 보다 정확한 인식을 위한 수학적, 인식론적 도구로 기능함에 비해 다른 신세대 과학론자들의 견해는 이를 세계의 존재론적 전체성을 설명하는 세계관으로 비약하고 있다. 원래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는 이론에 근거해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걸음 더 나아간 비약을 하고 있는 것이다.
IV. 마치며
버틀란피의 일반시스템이론의 해석론에 근거해서 라즐로나 카프라는 자신들의 시스템적 견해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버틀란피의 일반시스템이론이 대상의 보다 정확한 인식을 위한 수학적, 인식론적 도구로 기능함에 비해 다른 신세대 과학론자들의 견해는 이를 세계의 존재론적 전체성을 설명하는 세계관으로 비약하고 있다. 원래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안고 있는 이론에 근거해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걸음 더 나아간 비약을 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