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버그의 지능이론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텐버그의 지능이론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능이란?
1) 지능의 정의
2) 지능검사의 목적
3) 지능검사의 관점

2. 삼원지능 이론
1) 배경
2) 대표적 이론가
3) R.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이론 (1985)
⑴ 상황하위이론(Comtextural subtheory) = 맥락적 능력 (현실상황에의 적응력)
⑵ 경험하위이론(experiential subtheory) = 경험적 능력
⑶ 요소하위이론(Componential subtheory) = 지적활동하위이론
4) R. Sternberg의 한계

3. 다중지능이론과 삼원지능이론의 비교
1) 유사점
2) 차이점

4. R.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에 입각한 지능의 측정도구 STAT

5. 교육적인 시사점

6. 결론

본문내용

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스턴버그의 교육적 시사점은 우리나라는 물론 대부분의 선진국들에서 21세기 핵심적인 교육목표 중의 하나인 창의성 육성과 관련하여 창의적 지능을 계발, 육성 할 것을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학교에서 요구되는 성취도와 실생활에서 성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성취도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는 비활성지능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실생활을 준비시키는 교육으로 전환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 결론
최근 들어 인간의 지적능력을 정의하던 기존의 방식에 대한 비판이 일군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그 비판의 주요내용은 첫째, 기존의 지능을 통하여 검사 상황 밖에 존재하는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을 측정할 수 없으며, 둘째, 인간의 지적 능력을 학업 성취를 예언할 수 있는 능력으로만 제한시킴으로써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중요한 문제 해결 능력을 무시하고 있다. 셋째, 지능 점수를 구하는 것에 초점을 둔 나머지 인간 의 인지 능력이 발달하고 변화하는 것에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판들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지능 개념이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 중 일부만을 강조함으로써 다른 중요하고 실제적인 지적능력을 설명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그 능력들을 지능개념 밖으로 내몰고 있음을 지적하는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지능이론가들은 직접 수행결과 보다는 과정 및 전략규명, 지적 행동의 개인사를 야기하는 생리적 기제, 발달 및 문화에 따른 지능의 본질적 변화에 더 관심을 갖는다. 인위적인 검사 상황에서 벗어나 실세계에서의 능력을 제시하고 지능개념의 내용을 종래의 협소한 학업적성에서 사회적 지능, 창의성, 예술적 재능 등으로 확장시키며 지능연구에서 인지적 기능 외에 정의적이고 동 기적인 기능을 포함시켜 상황 속에서 발휘되는 정신(mind in context)의 개념으로 지능을 폭넓게 이해하려는 경향이다.
종합적인 지능이론으로서 삼원이론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혼합 되어 있다. 가령 Carroll은 상황 하위이론이 문화적 상대주의를 인식하여 한 문화에서 지적 인 행동으로 간주되는 모든 행동들을 지능의 개념 안에 포함시키면서도, 요소 하위이론은 인지심리학의 대부분의 영역을 취급한다는 점에서 그 이론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반면에, Humpherys는 삼원이론을 하나의 지능 이론이라기보다는 지능의 '개념화'에 불과 한 것으로 평가 절하한다. 다시 말해서, 그 이론은 종래의 여러 지능 개념을 종합적으로 개념화한 것일 뿐, 새로운 지능이론은 아니라는 뜻이다.
삼위일체 이론은 또한 현재의 지능검사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Sternberg는 현재의 지능검사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미래의 검사들은 메타요소적(분석적) 능력, 신기성을 다루는(창의적) 능력, 상황에 적절하게 적응하는 실제적 능력을 측정해야 한다 고 주장한다.
특히 그는 '현실-세계' 또는 실제적 지능을 측정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학업을 통해 배운바 없지만, 현실적인 직업 세계에서의 성공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묵시적 지식' 을 근거로 질문지와 같은 검사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Cronbach는 실제적 지능을 측정하려 는 그의 시도에 대해서는 가치를 부여하였지만, 그가 지금까지 개발한 실제적 지능에 대한 언어 검사에 대해서는 '게임으로 즐기는 퀴즈'와 같다고 비난한다. 이에 대해 Sternberg는 일반적으로 그의 질문지 점수들은 언어지능의 측정치와 상관없다고 반박한다. 일상생활에서의 지능을 측정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Sternberg는 지능이론의 내용으로, 문제해결력 또는 유동적 능력, 언어능력 또는 결정적 능력, 사회적 및 실제적 능력으로 구분했다. 앞의 두 능력은 종래 지능이론이나 IQ검사에서 중점적으로 취급되어 온 능력이지만, 사회적 및 실제적 능력은 거의 취급되지 않은 능력이다. 따라서 그는 '탈IQ'의 하나의 주요 과제로서 그 능력들(특히 실제적 지능)에 대한 이론 및 검사 개발에 현재 주력하고 있다. Sternberg의 관점은 지능을 보다 넓게 개념화하였고 지능을 개인과 유관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지적 활동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
스턴버그는 지능을 너무 광범위하게 정의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받아들여 지지는 않았고 이론의 모호성은 지능을 실험으로 검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전통적 지능이론들이 간과했던 환경과 문화와의 관계성에 주목했다는 점과 창의적, 경험 맥락적 실제지능으로까지 지능을 확장시킨 점은 창의적 지능 계발 및 육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권대훈.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문은식, 박선환, 정미경. 교육심리학. 경기도 : 공동체. 2007.
송선희. R.Sternberg 와 H.Gardner 의 지능이론 비교 고찰.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17. JULY 2001.
이위환. 김용주. 교육심리학. 청목출판사.
전성연,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 원미사 , 2001
하대현. 『journal of early child education』vol 2, 「R.Sturnburg의 삼위일체 지능이론과 교육적 함의」. 1992.
하대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R.Sternburg 지능 이론의 발달: 의의, 국내 연구 및 과제」. 2005.
Paul Eggen Don Kauchak 공저 신종호 등 역.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6.
Robert J. Sternberg ;河大賢 譯. 新知能理論 :人間知能의 三位一體理論. 敎文社. 1991.
Jeanne Ellis Ormrod. Educational Psychology (5th ed.). Upper River,NJ: Merrill/Prentice Hill. 2006.
Rick McCown, Marcy Driscoll, Peter Geiger Roop. Educational Psychology (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1996.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1.20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