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스턴버그(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Q를 초월한 개념이며, 따라서 학생의 지 능도 지능검사점수를 근거로 협소하게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학생이 교육 장면이나 일 상 생활에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표출하는 모든 지적 행동을 근거로 폭넓게 바라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② 교사는 지능의 개별적인 양상을 인식해야하며, 특히 학생들이 저마다 처해있는 환경 에서 지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각자 소유하고 있는 강점을 살려 자신들의 약점을 보상할 수 있게끔 교육적으로 이끌어주어야 한다는 것 을 시사한다.
- 지금까지 지능이론이 주력해 온 지능측정의 세련화보다 지능의 훈련과 계발에 많은 관심 을 가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즉, 지능에서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도록 도와주고 강점을 최대로 활용하여 약점을 보상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 지능훈련은 개인의 실제생활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문화권에서 유용한 교육과 훈련을 전혀 다른 환경 문화권에서 시행하는 것은 잘못이 며 교육의 내용을 선택할 때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자료를 제시해야함을 시 사한다.
- 지적인 활동과 과정을 몇 개의 단계나 과정으로 명료화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 이다.
이는 정보처리과정을 응용하여 지능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적활동을 단계화하는 것은 그 만큼 학습의 오류를 수정하고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라 할 수 있다.
- 지적 행위의 과정을 단계나 과정으로 세분화함으로써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을 도모할 수 있다.
지능이 이러한 학습하는 방법(상위통제요소)과 그 반응의 자동화 정도를 포함한다면 지능 은 훈련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1. 교육심리학, 임규혁·임웅 공저, 2008, 학지사
2. 新知能理論, Robert J.Sternberg 저, 하대현 역, 1991, 교문사
3. (新 학교교육 현장적용을 위한) 교육심리학, 김희수 저, 2003, 한올출판사
4. 교육심리학의 이해, 박아청 저, 2003, 교육과학사
5. 교육심리학, 김청자·장선철 공저, 2003, 동문사
6. 교육심리학, 이정원 저, 2004, 책과 사람들
7. Gardner와 Sternberg의 지능이론, 구영실 저, 2001
8. R. Sternberg의 삼위일체 지능이론과 교육적 함의, 하대현 저, 1992
9. Sternberg의 성공지능(SI)에 관한 고찰, 김정휘 저, 2004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21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9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