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혁명과 홍위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문혁과 홍위병이 거론되는 이유

2.홍위병은 누구인가

3.문혁의 추동력 대자보와 홍위병의 등장

4.문혁의 발화 불씨는 번져 전 들판을 태우고

5.홍위병 운동의 전개 손오공들의 습격

6.걷잡을 수 없는 사태 진전 폭력으로 치닫는 홍위병

7.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동자들로 조직한 선전대가 현장에 나타나 이들의 폭력을 줄이려 했지만 이들이 오히려 홍위병들로부터 공격받아 사망하거나 부상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들은 공교롭게도 그들의 든든한 후원자였던 마오쩌둥에 의해 세가 꺾이고 만다. 1968 년 7월 마오쩌둥은 베이징의 인민대회당으로 홍위병 5 대 영수를 불러들인다. 그는 이들을 향해 '문화대혁명을 2 년 동안 해왔지만 자네들은 첫째, 투쟁하지 않고 둘째, 비판하지 않고 셋째, 개혁하지 않았다.'고 꾸짖었다. 마오쩌둥은 이어 '투쟁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네들이 소수의 대학에서 하고 있는 것은 무장투쟁이야. 이제 노동자나 농민, 병사, 주민 어느 누구도 환영하고 있지 않으며 자네들은 대중에게서 이탈돼 있어'라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마오쩌둥의 홍위병에 대한 결별 선언이었다. 마오쩌둥은 이 자리에서 홍위병 지도자들에게 계속 폭력적인 활동을 할 경우 섬멸하겠다는 극언까지 했다. 마오쩌둥은 이어 이들 홍위병을 빈농과 중농으로부터 재교육받아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전국의 농촌과 공장 등에 보내 실제 노동에 참가하도록 만든다. 이른바 하방이 등장한 것이다.
중등교육을 받은 도시의 학생들을 오지의 농촌에 거주하도록 하는 상산하향운동도 전국적으로 실시됐다. 마오쩌둥의 지시와 충동으로 학원을 뛰쳐나와 전국을 공포와 파괴, 살육과 탈취의 현장으로 몰아넣었던 홍위병들은 마오쩌둥의 갑작스러운 방향 변경으로 정치 표면에서 자취를 감춰야 했던 것이다.
조사를 마치며
문화대혁명의 테두리를 확정하고 이를 직접 촉발한 사람은 마오쩌둥이다. 문화대혁명의 종결을 선언한 사람도 마오쩌둥이다. 이것은 한 사람의 정치적 권력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보여준다. 그로 인해서 수많은 학생들이 맹목적인 충성심으로 10년을 허비했다. 또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모택동이 죽은지 5년뒤인 81년 중국공산당 제11기 6차 중앙위원회는 '건국 이래의 몇 가지 역사문제에 대한 당의 결의'에서 문화대혁명을 이렇게 평가했다. "당 국가 인민에게 건국이래 가장 심한 좌절과 손실을 가져다준 모택동의 극좌적 오류이며 그의 책임이다."
) http://www.chosun.com/w21data/html/news/199907/199907210341.html
마오쩌둥은 이상 추구 때문에 현상에의 불만으로 가득찬 젊은이의 직선적 열정에 교묘히 불을 질렀다. 홍위병은 철저하게 마오쩌둥에게 이용당했다. 후회를 하고 반성을 한다고 해도 역사는 이미 지나가 버렸다. 우리는 다시는 그러한 잘못된 역사의 반복이 없도록 해야한다. 문혁을 이끌었던 홍위병을 조사하면서 배운 점이었다.
참고 site
http://www.metro.seoul.kr/kor/friend/7/2/1/200109/15.html
http://html.yonsei.ac.kr/%7Ehlee/word002m/word115.htm
http://mail.donga.ac.kr/~kimjh/wenhua/wenge.htm
문화대혁명과 홍위병
중국학
강춘화 교수님
어문학부
02011139 최아영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6.0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