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목차
Ⅰ. 머리말
Ⅱ. GDP 디플레이터의 槪念
Ⅲ. GDP 디플레이터의 變動要因
1. 생산측면의 GDP 디플레이터
2. 지출측면의 GDP 디플레이터
Ⅳ. 物價指數와의 比較
Ⅴ. 맺음말
*한글97
Ⅱ. GDP 디플레이터의 槪念
Ⅲ. GDP 디플레이터의 變動要因
1. 생산측면의 GDP 디플레이터
2. 지출측면의 GDP 디플레이터
Ⅳ. 物價指數와의 比較
Ⅴ. 맺음말
*한글97
본문내용
장에 공급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조사대상으로 하며 여기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소비재, 자본재, 중간재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세 지표는 포괄범위에서 상이한데 대체로 GDP디플레이터의 포괄범위가 가장 넓다. 이들 지표의 주요 차이점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포괄범위 비교
GDP 디플레이터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구매주체
국내 및 국외의 소비자와 생산자
국내의 소비자
국내의 생산자
대상품목
국산 소비재 및
자본재, 수출상품
국산소비재 및
수입소비재
국산 소비재, 자본재
및 중간재
한편 지출측면의 GDP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수요부문별 디플레이터를 물가지수와 비교해 볼 수 있다.
GDP =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 내수 + 수출 - 수입
먼저 수요항목별 디플레이터중 소비자물가지수와 포괄범위상 유사한 지표로는 소비디플레이터를 들 수 있다. 이들 두 지표는 서비스부문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포괄범위가 거의 유사하고 변동률 추이도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소비디플레이터 : 국산 소비재 + 수입 소비재 + 서비스
·소비자물가지수 : 국산 소비재 + 수입 소비재 + 서비스(금융보험 제외)
<그림 2> GDP디플레이터와 물가지수의 변동률 추이
다음으로 생산자물가지수와 개념상 유사한 디플레이터를 찾는다면 최종소비와 고정투자를 합한 내수중에서 재화부분에 대한 디플레이터를 들 수 있다. 이 지표는 생산자물가지수의 보조지수인 加工段階別 物價指數중 최종재물가지수와 포괄범위가 유사하고 변동률 추이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민계정의 디플레이터중 내수(소비+투자)디플레이터는 재화와 서비스를 포괄하고 국산 및 수입품을 포함하는 등 포괄범위가 가장 넓어 국민들이 실감하는 국내물가에 가장 근접한 지표로 볼 수 있다.
·내수 디플레이터 : 국산 및 수입 소비재와 자본재 + 서비스(건설포함)
·가공단계별 최종재물가지수 : 국산 및 수입 소비재와 자본재
<표 2> 주요 물가지표의 변동률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대비
'96년
'97년
'98년
'99년
'00년
2001. 1/4
2/4
소비 디플레이터
6.0
5.6
7.9
0.7
2.3
5.3
5.5
소비자 물가지수
4.9
4.5
7.5
0.8
2.3
4.2
5.3
내수 디플레이터
(재 화)
5.3
(2.5)
5.6
(4.5)
5.6
(10.8)
1.6
(-1.9)
3.6
(-0.6)
4.0
(5.0)
5.0
(4.1)
최종재 물가지수
2.4
3.4
14.4
-0.8
-0.9
2.0
3.4
Ⅴ. 맺음말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GDP디플레이터는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종합적인 물가지표를 의미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종합적인 국내물가수준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물가지표는 아니다. GDP디플레이터는 생산측면에서 보면 상대가격과 생산성을 복합적으로 반영하므로 기업의 채산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며, 지출측면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가격지표이지만 여기에는 수출품가격이 포함되어 있어 국내물가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다. 오히려 GDP디플레이터보다는 국민계정의 內需(소비+투자)디플레이터가 포괄범위도 넓고 국내거래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국민의 체감물가에 가장 근접한 물가지표로 볼 수 있다. 또한 GDP디플레이터는 국내물가 뿐만 아니라 수출품 및 수입품가격 등 국외물가도 포함하므로 총량적인 변동에서 국내물가지표와 괴리를 보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종합물가지수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GDP디플레이터에 대해 그 성격을 정확히 알고 이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 1. 주요산업의 추계방법
(1) 제조업, 광업 등
o 제조업 등의 경우 생산지수로 연장하여 실질산출액을 산출하고 여기에 가격지수를 적용하여 명목산출액을 구한 후 부가가치는 각각의 부가가치율을 곱하여 산출함. 동 산업의 디플레이터는 생산자물가와 수출단가, 부가가치율의 영향을 받게 됨
·실질부가가치 = 실질산출액 × 기준년 부가가치율
·명목부가가치 = 실질산출액 × 가격지수 × 명목부가가치율
·디플레이터 =
명목부가가치
=
가격지수 × 명목부가가치율
실질부가가치
기준년 부가가치율
(2) 전기가스수도업, 운수창고통신업 등
o 전기가스수도업 등은 이중디플레이션방법을 사용하는데 먼저 명목금액을 추계한 후 실질산출액 및 중간투입은 각각의 명목금액을 해당 가격지수로 환가하여 산출하고, 실질부가가치는 실질산출액에서 실질중간투입을 차감하여 산출함. 이와 같은 산업의 디플레이터는 관련 가격지수(PPI, CPI, 수입물가 등)의 영향을 받음.
·명목부가가치 = 명목산출액 - 명목중간투입
·실질부가가치 = (명목산출액/가격지수) - (명목중간투입/가격지수)
·디플레이터 =
명목산출액 - 명목중간투입
(명목산출액/가격지수) - (명목중간투입/가격지수)
(3) 사업서비스업, 개인 및 사회서비스업 등
o 사업서비스업 등은 명목산출액을 먼저 추계한 후 이를 가격지수(주로 CPI)로 환가하여 실질산출액을 산출하고, 부가가치는 각각의 산출액에 부가가치율을 곱하여 도출함. 이들 산업의 디플레이터는 관련가격지수와 부가가치율의 영향을 받음
·명목부가가치 = 명목산출액 × 명목부가가치율
·실질부가가치 = (명목산출액/가격지수) × 기준년 부가가치율
·디플레이터 =
명목부가가치
=
가격지수 × 명목부가가치율
실질부가가치
기준년 부가가치율
2.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비교
구 분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작성목적
국내생산자가 공급하는 재화 와 對기업서비스의 가격변동 측정
일반가계가 구입하는 재화가격과 서비스요금의 변동 측정
대상품목
국내 거래규모가 큰 949개 품목
가계소비지출 비중이 큰 소비재와 서비스 509개 품목
대상품목 선정기준
국내거래액 비중이 상품은 1/10,000 이상, 서비스는 1/2,000 이상인 품목
도시가계의 소비지출 품목중 비중이 1/10,000 이상인 품목
조사가격
생산자 판매가격
소비자 구입가격
지수산식
라스파이레스식
라스파이레스식
이용범위
시장동향분석, 구매 및 판매계약, 예산편성 및 심의, 자산재평가 등
소비자의 생계비 변동 파악, 노사간 임금조정 기초자료 등
<표 1> 포괄범위 비교
GDP 디플레이터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구매주체
국내 및 국외의 소비자와 생산자
국내의 소비자
국내의 생산자
대상품목
국산 소비재 및
자본재, 수출상품
국산소비재 및
수입소비재
국산 소비재, 자본재
및 중간재
한편 지출측면의 GDP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수요부문별 디플레이터를 물가지수와 비교해 볼 수 있다.
GDP = 소비 + 투자 + 수출 - 수입 = 내수 + 수출 - 수입
먼저 수요항목별 디플레이터중 소비자물가지수와 포괄범위상 유사한 지표로는 소비디플레이터를 들 수 있다. 이들 두 지표는 서비스부문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포괄범위가 거의 유사하고 변동률 추이도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소비디플레이터 : 국산 소비재 + 수입 소비재 + 서비스
·소비자물가지수 : 국산 소비재 + 수입 소비재 + 서비스(금융보험 제외)
<그림 2> GDP디플레이터와 물가지수의 변동률 추이
다음으로 생산자물가지수와 개념상 유사한 디플레이터를 찾는다면 최종소비와 고정투자를 합한 내수중에서 재화부분에 대한 디플레이터를 들 수 있다. 이 지표는 생산자물가지수의 보조지수인 加工段階別 物價指數중 최종재물가지수와 포괄범위가 유사하고 변동률 추이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민계정의 디플레이터중 내수(소비+투자)디플레이터는 재화와 서비스를 포괄하고 국산 및 수입품을 포함하는 등 포괄범위가 가장 넓어 국민들이 실감하는 국내물가에 가장 근접한 지표로 볼 수 있다.
·내수 디플레이터 : 국산 및 수입 소비재와 자본재 + 서비스(건설포함)
·가공단계별 최종재물가지수 : 국산 및 수입 소비재와 자본재
<표 2> 주요 물가지표의 변동률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대비
'96년
'97년
'98년
'99년
'00년
2001. 1/4
2/4
소비 디플레이터
6.0
5.6
7.9
0.7
2.3
5.3
5.5
소비자 물가지수
4.9
4.5
7.5
0.8
2.3
4.2
5.3
내수 디플레이터
(재 화)
5.3
(2.5)
5.6
(4.5)
5.6
(10.8)
1.6
(-1.9)
3.6
(-0.6)
4.0
(5.0)
5.0
(4.1)
최종재 물가지수
2.4
3.4
14.4
-0.8
-0.9
2.0
3.4
Ⅴ. 맺음말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GDP디플레이터는 국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종합적인 물가지표를 의미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거래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종합적인 국내물가수준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물가지표는 아니다. GDP디플레이터는 생산측면에서 보면 상대가격과 생산성을 복합적으로 반영하므로 기업의 채산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며, 지출측면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가격지표이지만 여기에는 수출품가격이 포함되어 있어 국내물가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다. 오히려 GDP디플레이터보다는 국민계정의 內需(소비+투자)디플레이터가 포괄범위도 넓고 국내거래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국민의 체감물가에 가장 근접한 물가지표로 볼 수 있다. 또한 GDP디플레이터는 국내물가 뿐만 아니라 수출품 및 수입품가격 등 국외물가도 포함하므로 총량적인 변동에서 국내물가지표와 괴리를 보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종합물가지수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GDP디플레이터에 대해 그 성격을 정확히 알고 이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 1. 주요산업의 추계방법
(1) 제조업, 광업 등
o 제조업 등의 경우 생산지수로 연장하여 실질산출액을 산출하고 여기에 가격지수를 적용하여 명목산출액을 구한 후 부가가치는 각각의 부가가치율을 곱하여 산출함. 동 산업의 디플레이터는 생산자물가와 수출단가, 부가가치율의 영향을 받게 됨
·실질부가가치 = 실질산출액 × 기준년 부가가치율
·명목부가가치 = 실질산출액 × 가격지수 × 명목부가가치율
·디플레이터 =
명목부가가치
=
가격지수 × 명목부가가치율
실질부가가치
기준년 부가가치율
(2) 전기가스수도업, 운수창고통신업 등
o 전기가스수도업 등은 이중디플레이션방법을 사용하는데 먼저 명목금액을 추계한 후 실질산출액 및 중간투입은 각각의 명목금액을 해당 가격지수로 환가하여 산출하고, 실질부가가치는 실질산출액에서 실질중간투입을 차감하여 산출함. 이와 같은 산업의 디플레이터는 관련 가격지수(PPI, CPI, 수입물가 등)의 영향을 받음.
·명목부가가치 = 명목산출액 - 명목중간투입
·실질부가가치 = (명목산출액/가격지수) - (명목중간투입/가격지수)
·디플레이터 =
명목산출액 - 명목중간투입
(명목산출액/가격지수) - (명목중간투입/가격지수)
(3) 사업서비스업, 개인 및 사회서비스업 등
o 사업서비스업 등은 명목산출액을 먼저 추계한 후 이를 가격지수(주로 CPI)로 환가하여 실질산출액을 산출하고, 부가가치는 각각의 산출액에 부가가치율을 곱하여 도출함. 이들 산업의 디플레이터는 관련가격지수와 부가가치율의 영향을 받음
·명목부가가치 = 명목산출액 × 명목부가가치율
·실질부가가치 = (명목산출액/가격지수) × 기준년 부가가치율
·디플레이터 =
명목부가가치
=
가격지수 × 명목부가가치율
실질부가가치
기준년 부가가치율
2.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비교
구 분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작성목적
국내생산자가 공급하는 재화 와 對기업서비스의 가격변동 측정
일반가계가 구입하는 재화가격과 서비스요금의 변동 측정
대상품목
국내 거래규모가 큰 949개 품목
가계소비지출 비중이 큰 소비재와 서비스 509개 품목
대상품목 선정기준
국내거래액 비중이 상품은 1/10,000 이상, 서비스는 1/2,000 이상인 품목
도시가계의 소비지출 품목중 비중이 1/10,000 이상인 품목
조사가격
생산자 판매가격
소비자 구입가격
지수산식
라스파이레스식
라스파이레스식
이용범위
시장동향분석, 구매 및 판매계약, 예산편성 및 심의, 자산재평가 등
소비자의 생계비 변동 파악, 노사간 임금조정 기초자료 등